공부의 선순환 구조 (feat.즐거움과 성취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736242
바쁜분은 아래 요약만 보고 가십쇼!
힘들고 지겹고 토나오고 뚝배기 깨지는 공부를 지속하다보면,
어느 시점에서부터는
“오.. 전에는 해설없이는 손도 못댔던게 이제는 자력으로 풀리네??”
“와 나 몇달전에 4등급이었는데 공부했더니 2등급으로 올랐네!?”
“전에 강의 들을때는 10만큼 들렸었는데 이제는 50만큼 들리네!?”
등과 같은 큰 즐거움과 기쁨, 성취감 등등이 찾아오기 시작하고
그 즐거움, 기쁨, 성취감 등등에 맛들려서 더욱 더 열심히 하게되고,
그러면서 자연스레 양도 늘고, 질적으로도 향상되고
그럼 자연스레 성적도 오르고 실력도 탄탄하게 쌓이고
이렇게
공부 >> 즐거움,성취감 >> 공부 더열심히 >> 즐거움, 성취감 더 증가 >> 공부 더더 열심히 >> 즐거움, 성취감 더더 증가 >> 실력,성적 상승
하는 식으로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짐으로써
비로소 성적/실력의 폭발적인 향상이 나타나는 것이 아닌가 싶음.
그리고 이러한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지기 시작하는 구간이
그림에서 동그라미 친 부분이고,
계속 정체된 것 처럼 성적이 오르는듯 마는듯 하는 구간이
그 선순환구조가 만들어지기까지 참고 버텨내야 할 과정이라는 것.
저런 그림가지고 수험생들 동기부여하시는 분들은 많이 봤는데
왜 저렇게 정체구간을 가지는지, 무슨 원리로 성적이 급격히 오르는지
등등을 자세하게 알려준 사람은 본 적이 없어서(내가 못찾았을수도..)
혼자서 공부하다가 언제부턴가 경험되고있는 것을 이렇게 써보게 되었음.
내가 100% 맞다고 장담할 수는 없겠으나,
아무튼 성적의 폭발적 향상의 주된 요인 중에서
이런 “공부의 선순환 과정”이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
그리고 중요한 것 하나 더.
“똑바로 공부한 것은 절대로 배신하지 않는다” 라는 사실
아직 성적이나 실력이 확 오르지 않았다고 느껴진다면,
그것은 아직 “공부의 선순환 구조가 갖춰지기까지 필요한 양”이
채워지지 않은 것에 불과하다는 것.
즉, 미시적으로 양과 경험을 쌓아나가다보면
어느 시점에는 반드시 향상이 거시적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꿋꿋하게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요정도가 내가 이 글을 통해서 말하고자 하는 핵심임.
+) 물론 공부 방향이나 방법을 제대로 잡고 가는것을 전제로 합니다
공부 방법, 방향이 잘못 설정된건가 싶다면
반드시 제대로 설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잘못된 방법으로 백날 공부하는것보다
올바른 방법으로 그 절반의 날을 공부하는것이 훨씬 낫다고봅니다
(저도 잘못된 방법으로 수많은 시간을 공부했다가 피본 경험이 있어요)
<네줄 요약>
1. 성적의 폭발적인 향상의 주된 요인은 “공부의 선순환 과정”
2. “똑바로된 방법”으로 공부한다면, 그것은 반드시 쌓여간다
3. 그렇게 쌓여가다가 어느 시점에 도달했을 때 비로소 크게 나타난다
4. 그러니 내가 공부하는 것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우직하게 공부하자
끝으로 이 글의 내용과 너무 찰떡같은..... (퍼옴)
子曰: "知之者不如好之者, 好之者不如樂之者."
(자왈: "지지자불여호지자, 호지자불여락지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어떤 사실을 아는 사람은 그것을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만 못하다."
요약 : 즐기는사람은 무적이다. 공자는 신이고.
저도 종종 힘들때 읽고 자극받을겸, 다같이 열심히 해보자고 외칠겸
한번 써봤습니다. ㅎㅎ
화이팅합시다!
———
저의 공부 깨달음을 함께 나누고 싶으신분들은 팔로우 해주세요 ㅎㅎ
글을 쓸 수 있을 만큼 만큼 깨달음들이 정리되는대로
틈틈이 공유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서바 시즌 9모 이후에 라이브 반 대기없이 수강 가능한가요?
-
떨리진 않네요 잘하고올게요
-
머리에 들어오지도 않는데 꾸역꾸역 붙잡고 매일 한계치를 시험하는 게 힘드네 도파민...
-
23때 언매 미적 화1 지2 원점수 94 100 2 50 50 이 카의떨이라네...
-
6모 기준 언매3 미적영어 1 과탐 물리 생명 3 국수영은 거의 고정 311...
-
25년기준 국어 91 영어 92 수학 65 최초합 ㄱㄴ??
-
평가원 출제 의도겠냐? 사설을 풀기 위한 사설 풀기 스킬을 가르치고 적용하고 ㅋㅋ
-
이감 모의고사 순서대로 95 83 95 91 90 91 90 91 95 올해 교육청...
-
또 러닝타임 ㅈㄴ 오버되어잇네 좋긴한데 부담스럽다 항상
-
뉴런 다음 드릴 1
뉴런에 있는 4점짜리 문제를 풀고 인강도 들었는데 기출을 안돌렸어요 기출풀고 드릴을 풀어야할까요?
-
국수영 지구 사문으로 421 21 이도도면 어디 갈 수 있나요? 이과로요!
-
안녕하세요. 김0한입니다. 드디어 기다라던 김0한 4회 모의고사를 배포합니다. 이번...
-
누무현 2
?
-
보정 2컷은 들까요 ㅠ 방형구 가계도 비분 시간 없어서 못 풀었어요
-
올해 오지훈 개념서로 베이스 쌓고 내년에 인강으로 다시 볼려는데 혼자 개념...
-
수업 한시간 지나고서 갑자기 튀어나와서 저 책이 없어요 이러면 뒤에서 조교들 꼽...
-
메디컬 아닌이상 왜 다 90초중반임? 1도배돼야 연고대 가는거 아녓음?
-
아 방꼬라지 개시발 11
스카 가려 했는데 오늘은 청소 좀 해야지,,
-
09년생 고1 국어 2~3등급 학생입니다. 오르비에 글을 써음 쓰는데요. 강기본...
-
내가 잘하기 시작하자 관심을 가지심
-
뭐야 씨발 내 성적 돌려줘요
-
시발점 뉴런 말고 킥오프 아이디어 들느면 되나요? 내신때 하긴했었는데 많이 까먹음
-
보통 국어고득점은 언매는 다 맞고 공통에서 한두문제 틀리는 건가요??? 1
경우가 보통 언매 다맞고 공통에서 틀리는건가요???
-
나머지정리가 너무짜증나는데 어떡할까요 팁좀 주실 수학왕들구합니다
-
전과목이 몇달전엔 상상도 못할정도로 올랐는데 원래 이렇게 갑자기 오르나요..?...
-
6평 13번..이문제는 정답률이 왜캐낮은건가요?? 17
갠적으론 7모 14보다도 쉬운거같고 5모 14번급같은데.. 왜캐 정답률이 작살났나요?
-
저는 고3이고 수능때 윤사 고를 생각입니다. 작년에 윤사를 내신으로 했었는데...
-
읽십..(전남친 12
ㅠ
-
의문사가 뭐임 3
풀었는데 틀렸으면 다 의문사 아닌가
-
영어 챙기고 대학 쟁취하자
-
이게 진짜 실력? 전교 1등, 시험지 없이 다시 보니 40점 5
최근 경북 안동의 한 여자고등학교에서 시험지 유출 사건이 발생해 경찰이 수사에...
-
7덮 정법 44 2
14 20 틀 14번을 3번으로 고름 20번은 문제 이해못함 왜 ㄱ선지 틀린거임?
-
ㄴㄴ:안녕 ㅇㅇ:나한텐 연락하지 마라 했으면서 왜 연락한거야? ㄴㄴ:미안.....
-
척추측만증 ㅠㅠㅠㅠㅠㅠ 지금 갈건데 이상해 보일까요,,?
-
작년에 이미 다 듣긴함 근데 올해 새기분 문학 들으면서 너무 얻은게 많아서ㅇㅇ...
-
6모 88(15,22,30), 7모 84(14,15,22,30) 틀린 통통인데 9모...
-
개윳기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ㅌㅋㅌㅋ
-
바깥에서 사람을 만나고 그 중에 여자를 자꾸 만나보고 또 마음에 들면 용기내서...
-
고추단단하고크면 진짜 걸어다닐때도 자신감 꽉참 세상위에 군림한느낌 으하하
-
다들 후기점
-
월간지 이매진 지금부터 1호-8호 풀어도 되려나요 아니면 이매진 핫100?은 그냥...
-
다 젖었네여 6
-
어케 현역으로 서울대 경제를 들어갔는데 학점을 2점대 초반을 맞고 대학을 7년...
-
기출먼저 돌리는게맞죠? N제랑 실모 엄청 쌓여잇는데..
-
1~2 등급 진동하고 김기병 서바이벌 듣는 중인데 수업날 1개 과제로 2개 총...
-
50분에 안녕이라 보냈는데 52분?쯤에 읽고 지금까지 연락이없음 ..
-
다음주 계획 0
국어 김재훈T 수업 서바이벌, EBS 독서 : 최신기출순으로 가볍게 기출분석,...

나도 찍고 올라가야징
화이팅!!70점에서 재수학원들어와서 더 열심히했는데 3더프 50점받았는데 악순환은 어떻게 벗어나야할까요 ㅠ
우선
https://orbi.kr/00036736638/수험생분들이%20읽어보시면%20좋을만한%20글%203개
이 링크 들어가셔서 쭈욱 몰아서 읽어보시겠어요??
읽어보셔도 감이 안잡히시면 다시 와주세요!!

"공자가 신"이면 "젖지는 대머리"인가요?
전국 대머리 협회한테 고소 당하셨습니다무기징역 3년형 드릴게용

"젖지대머리"와는 별개로사고를해서얻은깨달음에서오는, 성취감이
공부습관을 결정하는거같습니다.
(양도있겠지만)뭐니뭐니해도 중요한건
"사고력을 얼만큼쌓으려고 노력했는가"이겠지만요..

네 그래서머리카락이 얼마만큼 쌓여있는가도 굉장히 중요하죠
고로 머리카락 = 사고력 입니다
국어는 님 덕분에 선순환 구조 타고있는게 보이네요ㅋㅋ 항상감사합니다 근데 영어는 쉬불... 아무리해도..
영어는 텍스트 처리를 익숙하게 만드는 과정이 중요해요
교재 한두권 잡고 계속 누적복습 해주시면서
한 파트당 10번씩은 보겠다는 마인드로 해주시고
추가로 단어 암기 꾸준히 하시다보면 어느순간
해석이 탁 트일거고,
그때부터 기출분석이나 풀이강좌 들으시면
문제풀이도 잡히실거에요
신택스 구문강의 체화된거같아서 문제풀이로 넘어갔는데 문제풀이강좌 다끝나고 기출보려하니 문제풀이강좌에서 잘 되던 해석이 안되네요ㅋㅋ 구문 허수처럼 한듯.. 그래서 이제 구문 다시하는중이에요 ㅠㅠ 감사합니다
영어는 정말 귀찮아도 앞에서부터 계속 누적해가는게
정말 효과가 크더라구요. 결국 수능은 잘보는 비결처럼요
가장 추천드리는건,
무조건 “1p부터 복습하기” 입니다 ㅎㅎ
그러다가 정말 0.1초만에 반응 될정도가 되면
그 다음부분부터 다시 쭈욱 복습하구요
1p부터 복습 >> 20p부터복습 >> 40p부터복습
이런느낌으로요!
그리고 국어가 벌써 선순환 구조가 갖춰지신 것 같다니
축하드립니다 ㅎㅎㅎ
덕분에요ㅎㅎ 감사합니다 영어는 처음부터 하면 시간이 많이들어서 엄두를 못내고있었는데 체화가되면 금방금방 될것같네요 명심하고 말씀대로 해보겠습니다!
이거랑 비슷한 말이
공부는 가우스 함수다
그쵸 ㅎㅎ
근데 항상 추상적인 문장으로는 와닿거나 변화가 없었어서 이렇게 구체적으로 풀어서 써보게됐네요
좋은 글입니다 . 제가 딱 어제 생각한 내용이네요
현역에 공부 제대로 해본적 없고 누군가 방향제시 해주는 사람됴 없어서 1,2월 날리고 3모 망치고울었는데
드디어 올바른 방향으로 가는법을 알게 된거 같아서 매우 기쁩니다. 저도 저 상승곡선을 위해서 버티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