吐露 [444235] · 쪽지

2013-05-01 22:53:02
조회수 550

수능특강 영어 B형 p.204 Test1, 2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67322

제가 영어를 잘 못해서.. 좀 봐주세요... 이 문제가 이해가 잘 안가요

전 지문 다 읽는데 중간에 but 이 나와서 거기 임팩트 주면서 읽었고 쭉쭉 읽다가 During~ 부터요

해석을 했는데 전 결국 3번 집을 짓는 과정에서 스스로 배우며 그 과정에 만족하게 된다.

라고 했는데 답은 5번이네요...

왜 그런지 한수 알려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rickero · 417746 · 13/05/02 00:10 · MS 2012

    But이후에 자신이 얼마나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realistic 해야한다고 하면서 외부의 힘이 필요할 것이고, 많은양의 기술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물론 그 이후에 만족이 크다고 하기는 했지만 but이후에 역접의 의미를 생각해보면서 마지막 문장에서 underestimate한 사람들이 hot water에 들어간다는 비유를 했으니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겠네요.
    즉, 집짓기는 satisfaction을 많이 주지만, 힘이 많이들고 도움을 필요로 하기때문에 함부로 덤비지 말라...이정도 되지않을까요?ㅎㅎ

  • 吐露 · 444235 · 13/05/02 08:45

    힘이 든다 라는 얘기까진 맞지만 그 이후는 추론 아닌가요?? 평가원의 코드는 추론을요구하지 않는데.... 이비에스 이상하네요..

  • 한까데기 · 383022 · 13/05/03 00:33

    글을 읽을 때 중요한 건 필자가 뭘 말하고자 하는 지이죠. 그 글에서는 self-construction이 주는 만족감을 초반부에서 주로 얘기하고 있죠.(분량상으로) 하지만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핵심은 그런 만족감이 있다는 건 인정하지만, 사실 self-construction과정에서 현실적인 문제에 부딪히는 경우가 있다는 거죠. 여기서 헷갈리는 것이, 만족감을 긍정, 어려움부정으로 보고 긍정과 부정의 대립에서 마치 self-construction에도 부정적인 측면이 존재한다라고 보아서는 안 됩니다. 여기서는 만족감뿐만 아니라 현실적인 어려움도 한 번쯤은 고려해보라는 맥락입니다. 결코 부정이 아니에요. 그런 어려움을 고려해보지 않고 만족감만을 좇아서 self-construction을 하게 된다면 빈칸의 내용과 같은 상황에 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긍정과 부정의 대립으로 보고, 부정의 의미에도 불구하고 긍정의 의미에 의의가 있다라고 해석하신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