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감 간쓸개에 대해서 아시는분 계신가요? 궁금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475991
지방러라서 간쓸개에 대해서 너무 무지한데, 몇가지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독학재수이고 학원 안다닙니다)
1.간쓸개는 온라인/오프라인이 다른교재인가요? 아니면 똑같은 교재인가요?
2. 간쓸개는 1달치가 분량이 어느정도 되나요?
3. 간쓸개 EBS연계교재 관련 문항들이 추가되는게 몇월달 교재부터인가요?
4. 간쓸개 교재들은 다들 어디서 구입하시는편인가요? 어떻게 구입할수있는건지 궁금합니딘
---‐--------
정보가 너무없어서 질문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규칙이 아주 약간 까다롭지만, 부족한 의지력을 채울 수 있는 방을 만들어봤어요....
-
오랜만에 자료 올립니다. 수험서는 아닙니다. 이과, 상경계 등 글 이해 능력에...
-
직장인 진로고민 (많은 분들이 읽어주셨으면 합니다) 10
안녕하세요. 혼자만의 고민으로는 도저히 갈피를 잡지 못 해서 몇 년만에 오르비를...
-
내년 수능 이과 준비중인 직장인입니다 개념학습후 빵구난 개념확인겸 고1,2 모의평가...
-
오르비분들은 월1000만원의 수입이 있다면 직장을 가지실건가요? 16
예를 들어 건물 임대료나 월세, 전세, 기타 투자 등등으로평균 월 1000정도의...
-
女 10명 중 7명 "데이트할 때 차 없으면 힘들어" 17
[아시아경제 오주연 기자] #직장인 김 모씨는 햇살 좋은 가을을 맞아 휴일이면...
1. 다릅니다
오프라인이 더 평가가좋나요? 비슷하면 걍 편하게 온라인꺼 구입할까하는데
오프라인이 양이 훨씬 많아서 오프 추천합니다
2. 일주일에 1권, 1권에 보통 비문학 한 7지문 문학 8지문 정도 있고, 화작문도 보너스로 조금 있습니다. 올해는 어떨지 모르겠네요
3. 이건 기억이 안나네요 ㅠㅠㅠ 6평 대비용 시즌 이전 시즌부터 있기는 있던거 같은데, 오래돼서 기억이 안나요...
4. 대형 학원이나 이감 계약 학원에서 구합니다
아.. 그 학원을 안다녀도 간쓸개 오프만 구입하고싶다고 하면 돈주고 살수있는건가요?
단과나 이런거에서 이감 모의고사 수업을 듣거나, 계약 학원에 문의해서 따로 사는게 가능하다고 알고 있어요
두부님 조언감사드립니다! 저 2가지만 더 여쭤볼께요.
1. 간쓸개라는게.. 1월부터 시작해서 수능때까지 매주 발간되는 학습지같은 개념인건가요?
2. 간쓸개 1년치 분량? 교재권수? 가 어느정도 되는건가요?
실물을 본적이없어서.. 아예 감이 안잡혀서요ㅠ
매주는 아니고... 시즌이 있어서 모의고사 만들때 한개씩 같이 만들어요. 1년이면 음... 모르긴 몰라도 거의 작은 사물함 3개는 채울거 같네요
일단 그게 시즌이 매년 달라지고, 실모도 몇개 나오는지가 달라지거든요. 즉, 그때그때 달라져요. 그래도 양이 상당히 많다는건 확실합니다
1 매우 다릅니다 양이랑 문제 둘다요
4 https://orbi.kr/00034614540/지방러들을%20위한%20이감/한수/상상%20오프%20구하기
냥이님께선 그럼 오프교재 구입하는걸 추천하시나요?
가능한 추천합니다
https://www.bongmo.com/
사이트에갔더니 온라인교재만 판매하네요
네 오프는 학원 통해서 구매하셔야 합니다
저는 오프 했었어서 오프 기준으로 말씀드릴게요
1. 달라요
2. 주간지 느낌이고 한 주 당 독서 50-60 문학 30-40 화작문 15해서 한 100문제 정도였던 것 같아요
3.오프 기준으로 시즌3부터 반영됐어요(3월 초)
4.저는 학교에서 단체 구매 했는데 대형학원에서 구할 수 있다고는 하더라고요
뀨뀨님 조언감사드립니다. 간쓸개는 전회차 다 마음에 드셨나요? 이게 1월부터 수능때까지 쭉 발간되는건가?
혹시 간쓸개 장단점에 대해선 어찌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당
비문학으로는 우선 ebs연계 소재로 지문을 쓰다 보니까 좀 더 소재에 익숙해 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겠네요 글고 지문이 정보량이 많은 편인데 장점으로는 모래 주머니 효과를 줄 수 있다는 것이지만, 단점으로는 가끔 지문이랑 문제가 너무 뇌절치는 경우가 있어서..(제 체감으로는 거의 19 수능 31번 급 혹은 그 이상) 그래도 이렇게 중상 혹은 상 수준의 ebs 소재 지문들을 매주 꾸준히 접할 수 있다는 게 간쓸개의 장점인 것 같네요
문학은 작년까지는 직접연계여서 ebs 수록 작품이나 작가연계 작품으로 대부분 문제를 냈어서 연계 대비를 확실하게 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올해는 간접연계라 어떻게 될 지 잘 모르겠네요) 근데 단점으로는 작년 9평 때 갑자기 바뀐 문학의 기조를 잘 반영하지 못했다 생각해요 이감 모의고사는 작년에 바뀐 문학 출제 기조에 따라가려는 느낌을 받았지만, 간쓸개에서는 그런 느낌을 받지 못했던 것 같아요
화작문은 작년 수능보다는 살짝 더 어렵기는 한데 못 풀만한 정도로 나오지는 않았던 것 같아요 아마 19수능 때처럼 화작문에서 당황하지 말라는 의도로 그렇게 내는 것 같아요
종합하자면, 비문학은 수능보다 정보량이 많은 지문들이 다수 나와서 좋긴 한데 가끔 뇌절인 지문이 있다.
문학은 작년 수능 출제 기조가 올해도 이어진다면 간쓸개의 문제와 수능의 문제 사이에 거리감이 느껴질 수도 있다
화작문은 수능보다 살짝 어렵긴 한데 이정도 푼다면 수능때 화작문에서 당황할 일은 없을 것 같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이정도인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말씀해주신거 따로 포스트잇에 정리중입니다..ㅠ
혹시, 간쓸개 오프를 풀더라도
EBS수특 수완은 따로 구입해서 풀고 분석하는걸 추천하시나요? 아니면 간쓸개만 풀어도 충분하다고 보시나요?
(이유도 알고싶습니다!)
간쓸개만 풀기에는 좀 무리일 수도 있는게 간쓸개는 수특이나 수완에서 본인들이 생각하기에 나올 것 같은 작품들만 문제화 시켜서... 아마 간쓸개만 풀다가 수특 수완 작품 목록보면 모르는 작품이 있을 수도 있어요
그렇군요.. 어휴.. 국어 진짜
평가원 기출문제 + 간쓸개 + ebs수특수완
이것만 열심히해도 1년 다 가겠네요.. 다른거는 눈돌릴 겨를이 없을거같은 느낌이 ;;
아참, 혹시 국어 3대실모(이감,바탕,상상) 다풀어보셧나요? 개인적인 생각이나 평가가 좀 궁금합니다!
1. 다릅니다.
2. 비문학 문학 각각 일주일에 5일치씩 하루에 1~2지문씩 각각 있어요
3. 3월초부터 시작됩니다.
4. 저는 러셀 현강..
간쓸개가 이게 1월부터 시작되는건가요?
11월까지 매달나오는 학습지같은 개념인건가
네 1월부터 시작했어요
바라기님. 간쓸개가 1년치면 교재가 혹시 몇권정도 되나요?
올해는 총 36권이네요!
흐억.. 아..?
시즌1에 1권에 몇주치가 아니고
매주별로 얇은교재가 1권씩나오는 그런개념의 학습지인건가요?;;;
시즌123456 각각 두꺼운교재 1권씩 이런개념인줄 알았는데..
네 매주별로 얇게나와요
그렇군요..친절한 답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얇은교재라고 쳐도 36권이면.. 양이 부족하다는 소리는 절대 못하겠네요 -_-;;
진짜 풀다가 1년 다 가겠네..
그냥 저는 딱 아침잠 깨우는 용도인 것 같아요 ㅎㅎ
아. 마지막으로 1가지만 더 여쭤볼게요
이감오프 모의고사는 난이도나 퀄리티 어떻게 느끼셨나요? 개인적인 생각이 좀 궁금합니다.
양은 1년에 한 10회치정도 되나요?
지금 초반이라 그런진 모르겠는데 한달에 한두번 나오고 있어요. 퀄은 그냥 풀만한 것 같고 22학년도 형식으로 된 모의고사를 풀어본다는게 의의가 있는 것 같아요.
주간지로 구매하려면 오프라인 구매 해야하는 건가요?
네. 아마 그럴거에요.
저는 이감만 풀었어서... 이건 제가 답변 드리기 어려울 것 같네요 근데 이건 글 새로 하나 쓰시면 아마 답변해주실 분 많을거에요 워낙 열공하시는 분들이 많으시다 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