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간 독서 기출 뽀개기” << 추가 내용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324795
기출뽀개기 글
http://orbi.kr/00036235271/내가%20크게%20효과본%20독서%20기출분석%20방법%20
질문을 꽤 받아서 질답형식으로 추가내용 올려놓을게요
0. 언제 기출로?
1순위 : 17~21학년도 “평가원” 기출문제
2순위 : 그 외에 나머지 (11학년도~ 추천)
3순위 : 그보다 옛날 지문들
급하면 17~21학년도라도 확실하게 해놓고 인강이던 뭐던 진행 추천
1. 1주일 기준 몇지문 추천??
고난도 ~ 킬러지문 (ex. 우주론, 오버슈팅, BIS 등등) : 3~4지문
하~중난도 : 6~7지문
자신있다 싶으면 좀 더 늘려도 OK
2. 지문당 시간투자는 얼마나 추천?
참고) “2일차부터”. 첫날은 알아서 하시면됨
고난도 : 하루 40~60분 +@
중난도 : 하루 30~40분
쉬움 : 10~30분
권장 시간이고, 더 빨려들어가지면 굳이 중간에 끊지말고 더 하세요
3. 매일 고난도 3~4지문 or 하~중난도 6~7지문씩 전부 하는거??
>> 독서에 자신없으면 매일 국어시간 많이 투자해야되니 OK
독서에 자신있으면 알아서.
대신에 끊더라도 끊은 만큼은 “연속적으로 매일 보는거”는 중요
4. 기출문제집 추천
마더텅 / 마닳 강추 >> 해설 매우 자세
홀수 등등은 안해봐서 모름
(문학은 매3비/마닳 추천)
5. 기출분석을 단기간에 몰아서 하는걸 추천하는 이유는?
경험상 장기간에 걸쳐 띄엄띄엄 할 때보다
아싸리 단기간에 매일 보는 식으로 할 때가
지문 분석력이나 몰입도 등등이 훨~~씬 좋았던 것 같음.
6. 그럼, 단기간에 분석 몰아서 하고 그 이후는 X?
>> ㄴㄴ. 인강을 통해서던 뭘 통해서던 기출은 계속 보게됨.
그런데 어느정도 단기간에 뽀개놓고서 볼 때가
장기간에 걸쳐 여러번 본 것보다 효과가 훨씬 드러났다고 느낌.
(마닳로 장기간 n회독 해봄.)
7. 매일 그럼 독서만 함?? 이러면 문학이랑 화작 할 시간이 없지않나
>> 3번이랑 이어짐.
본인이 국어, 특히 독서파트에 취약할 경우
그만큼 시간투자가 많이 필요할 만큼 국어는 입시에서 중요하다고 생각
고로 독서파트 공부량을 줄이기보단,
전체적으로 국어 공부 시간을 많이 투자하는 쪽으로 방향잡는걸 추천
>> 이렇게 해서 독서,문학,화작 다 공부 (화작은 뭐 본인 맘대로 ok)
8. 언제까지 해야되나?
>> 0번에서 말했듯이, 인강커리 따라가야하는 등의 이유로 급하면
최소한 17~21학년도 지문들 중에서 “킬러지문” 정도는 하고가는걸 추천
독학만 할거라면 11학년도 지문 정도 까지는 쭈욱 하는걸 추천
9. 유명한 지문 난이도는 알기 쉬운데 , 나머지는 난이도를 어찌 매김?
>> 분량계획 세울 때 들춰보면 어느정도 난이도 어림 잡을 수 있음.
그게 힘들다면, 본인이 취약한 파트 (ex.경제, 기술)에 시간을 더 투자하는 식으로 유동성있게 짜면 됨.
10. 내용 외우는게 목적임?? 분석을 어떻게 하라는거
>> 내용 외워질때부터가 진짜 분석의 시작임
짧은 기간에 여러번 봄으로써 해당 지문에 “익숙”해지고,
내용도 머릿속에 잡히도록 하고
그 지문의 “구조”나 선지 등등에 대해서도 머릿속에 축적시키면서
평가원의 논리구조, 선지구성방식, 선지판단 근거의 위치/패턴, 표지, 정보전달 방식, 선개념세팅 후 주제서술 등등을
“수험생 수준”에서 얻어갈 수 있을만한 만큼은 최대한 얻어가자는게
분석의 목적이고, 저걸 하는 방법은 스스로 하다보면 알아서 잡힘.
11. 이거 하고서 그다음은 인강? 한거 반복?
각각의 지문에서 본인이 더이상 얻어갈 게 없다고 느껴질 경우는
인강을 통해서 사고의 확장/교정 등등을 진행해주는 것을 추천함
(이때, 구조독해 강의랑 이 분석방법이랑 찰떡이라고 느꼈음)
그게 아니고, 본인 스스로 혼자서 완전히 기출을 뽀개버리겠다 싶으면
피램같은 독학서 정도만 참고해주면서 마닳/마더텅같은거 정복하셈.
필자는 웬만하면 인강커리 타는걸 추천함
나는 각 지문에 대해서 “내 수준에서” 얻어갈만한 것은 다 뽑아냈다고 느끼고 슬럼프가 빠르게 찾아와서 그냥 인강 듣는쪽으로 진행중인데
내가 깨닫고 뽑아낸거를 더더욱 견고하고 확실하게 잡아줄 뿐 아니라
거기에 더해서 내가 못 캐치한 세부적인, 한 수 위의 것들을 배울 수 있었던 것 같음.
내 방법으로 하면, “나 이정도면 독서 다맞겠다” 따위의 자만감이 쉽게 생길 수 있기에
자만하고 반복 안하게 되면 그냥 겸손하게 인강 따라가면서 배우고 다져가는걸 강력 추천.
12. 해설지는 언제?
>> 본 글에도 적어놨었지만, 해설지 없다는 마인드로 쭉 진행 ㄱㄱ
같은지문 몇번씩 돌려보면서 어느정도 내가 이 지문을 뽀갰다.
다음단계로 넘어가야겠다. 싶은 느낌이 매우 강하게 들때 되서야
해설지랑 내가 생각/판단/이해/파악 한것들이랑 비교 해가면서
메꿀부분은 메꿔나가고, 해설지랑 일치하는 부분에선 나름대로 자신감도 챙겨가는 식으로 해설지를 활용하는걸 강력 추천
>> 이런 이유 때문에 해설지 자세한 기출문제집을 추천하는 것
해설지랑 본인이 파악/생각/이해/판단한거랑 꽤 많이 다르다면
그거는 솔직히 분석을 덜했거나 적게 한거임.
필자는 마닳 기준으로 해설지랑 95%이상은 일치할 때까지 했음.
어려운 3점 보기문제에서 약간씩 틀어지거나 생각 못한 정도만 있었음
이정도까진 너무 과할 수 있더라도,
해설지랑 본인이랑 거의 비슷하단 느낌이 스스로 들기까지는 꼭 스스로분석하고서 해설지 참고하는걸 추천함.
0 XDK (+50)
-
50
-
스토아
-
채권의 수익률 - 수특 독서 적용편 사회·문화 01 0
안녕하세요, 디시 수갤·빡갤 등지에서 활동하는 무명의 국어 강사입니다. 오르비에서...
-
근데 그 짝이 좋은사람이라곤 안햇슴
-
진짜 너무너무 무섭다
-
에피메테우스 얘가 사감
-
학고반수 자극제로 써야..
-
25수능 과탐 생1지1로 4,1 뜨고 삼반수 예정입니다 지1는 유지하되 생1...
-
6번만 더 하면 전역
-
날이제 공간벡터라고 불러주셈
-
아무리 6시 40분이라지만 조용하구만
-
새르비 뭔일있었던거야
-
아으...
-
ㅈㄱㄴ
-
얼버기.. 12
사실 스카 가는 중
-
오르비 확실히 사람 많이 줄음
-
다들 새내기랑 노네 슬프다
-
깨달음 2
ㅇㅇ
-
지렸다 걍
-
기차지나간당 16
부지런행
-
ㅇㅇ? 멍텅이였나 자꾸 똥발사하는놈 있었는데.
-
유튜브 알고리즘에 상명대 기사뜨길레 봤는데 버스 미끄러짐 사고가 자주 일어난다는건 뭐냐 ㅅㅂㅋㅋㅋ
-
ㅠ
-
던손실
-
삼켜야 하는것들이 더 많은거 같아는 핑계야 너가 나에게 줄 아픔보다는 내가 가진 사랑이 더 클거야
-
캣츠아이폼미쳣네 0
윤채누나 터치터치터치터치터치
-
메인 질문 글 보다가 갑자기 생각난건데,Evan chen (굉장한 고수..)이...
-
서울사람들아 1
지하철 환승하는데 몇분걸려요? 그리고 오는 간격이 어느정도 되나요 놓치면 ㅈ댐??
-
생각정리 끝 1
다시 펜 잡아야겠음
-
ㅈㄱㄴ
-
술너무 3
많이 먹었어 으아 매화수 개전맛
-
국수하고 2
영어하고 과탐하고
-
방에서 전담 피다가 걸리면 가습기인 척 해야지
-
메디컬은 추합 인증 올리는 순간 바로 옯밍아웃이네요 3
그날 단톡방 들어온 사람으로 바로 특정 가능할듯 ㅋㅋㅋㅋ
-
아가 귀가 중 1
건입에서 택시탐
-
2025학년도 경찰대 영어 1차 시험 기출문제 18번 문장별 분석 1
2025학년도 경찰대 영어 1차 시험 기출문제 18번 해설 ( 선명하게 출력해서...
-
졸려라 2
자야징
-
어떤걸 배우는 학과인가요? 코딩 많이 하나요..? 취업은 보통 어디로 하는편인가요?
-
참 고마운 커뮤니티야
-
어떻게 선택해야할까요? 두 과의 차이점이 뭔가요? 어떤 과가 더 적성에 맞는지 모르겠어요…
-
롤할래? 1
ㅎ
-
오르비 잘 자! 8
좋은 꿈 꾸기
-
아까 그게 타격이 너무 컸다
-
야식 ㅇㅈ 4
지금 올리면 아무도 안보겠지? ㅜㅜ
-
행복하세요 3
행복하기
-
막 울퉁불퉁 정도는 아닌데 가슴이랑 등 엉덩이 하체같은 대근육이 큼 빵이...
-
넵
-
잘자요 8
저는 이만 자러가볼께요 행복한 꿈을 꾸며 오늘은 그래도 괜찮았던거 같아요...
-
시간 버그인가
-
살아있는 사람 손
-
경기력 ㅈ망인데 상대가 더 못해서 이기니까 이겨도 기분이 썩 좋진 않네
마더텅으로 한번하고 리트+인강하면서 나중에 마닳으로 한번더 해도되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