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원 vs 프랜차이즈 창업 feat.개원비용, 국시합격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5839939
>지난 글
신용대출 규제 https://orbi.kr/00035797891
국시 끝난 기념 뻘글 https://orbi.kr/00035774526
집은 언제 살 수 있을까? https://orbi.kr/00033812482
의치한 + 알파 수입 https://orbi.kr/00033669614
선요약
1. 치과의원 개원비는 3~4억원 선, 의원은 진료과목별로 2억~9억원까지 다양하나 보통 규모를 크게 개업하는 진료과목이 있으므로 1인당 개원비용은 9억까지 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됨. 의사당 평균은 4억 8천만원 정도.
2. 의원 과별 영업이익 및 매출액은 의원별 자료이고 2012년 자료이므로 현재는 상당히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10년 대비 2015년의 의원의 매출액은 약 37% 영업이익은 약 45% 증가하였음.
2010년 대비 2015년의 치과의원의 매출액이 35%, 영업이익은 약 31% 증가하였음.
3. 지점별로 차이가 크겠지만 배스킨라빈스가 좋아 보인다...
(배스킨라빈스 순마진율 15%, 파리바게트 순마진율 10%로 산정)
매출액 | 연간 영업이익 | 개원, 창업비용 | 연간 영업이익/개원비용 | |
---|---|---|---|---|
정형외과(2012) | 7억 2,700만원 | 2억 4,718만원 | 8억 8,088만원 | 28% |
안과(2012) | 7억 700만원 | 2억 4,038만원 | 11억 9,305만원 | 20.1% |
재활의학과(2012) | 6억 1,100만원 | 2억 774만원 | 9억 400만원 | 23% |
이비인후과(2012) | 3억 7,200만원 | 1억 2,648만원 | 4억 1,344만원 | 30.5% |
가정의학과(2012) | 2억 8,900만원 | 9,826만원 | 2억 2,945만원 | 42.8% |
의원 평균(2015) | 7억 200만원 | 2억 3,880만원 | 4억 8,029만원(2012) | 49.9% |
의사 1인당 평균(2015) | 1억 5,912만원 | 4억 8,029만원(2012) | 33.1% | |
치과의원 평균(2015) | 5억 7,840만원 | 2억 880만원 | 4억원 | 52.2% |
치과의사 1인당 평균(2015) | 1억 4,904만원 | 4억원 | 37.26% | |
배스킨라빈스(2018) | 5억 880만원 | 7,632만원 | 2억원 | 38.2% |
편의점(2018 평균x) | 7억 2,000만원 | 5,052만원 | 1억 4,300만원 | 35.3% |
파리바게트(2018) | 6억 6,713만원 | 6,671만원 | 3억원 | 22.2% |
치과의원
2019년 기사
출처: http://www.seminarbiz.kr/news/articleView.html?idxno=10659
"예상하는 개원형태는 단독신규개원(62%), 단독 인수개원(20%), 공동신규개원(13%) 공동개원합류(5%) 순이었다."
"개원예상비용을 묻는 질문에는 2억원~3억원(34%)이 가장 많았다. 뒤이어, 3억~4억원(33%), 1억원~2억원(14%), 4억원~5억원 (12%) 순이었다."
"개원예정지역으로 수도권(42%), 서울(35%), 지방도심(15%), 지방읍면소재지(8%) 순이었다."
2014년 기사
출처: http://www.gunch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8768
'신규 개원비용 리스 포함 ‘3억9천 필요’
2014년 기사
출처: https://www.dailydental.co.kr/mobile/article.html?no=84134
"여기에 병원 임대료와 인테리어 비용을 합치면 수도권 평균 개원비용은 3억5000만원 안팎이다."
대략 초기 투자 비용을 4억으로 잡고 지난 글의 '통계청 자료'를 참고하면 https://orbi.kr/00033669614
2015년 기준 연간 영업이익 9700만원~2억 400만원이 다수의 치과의원이 포함된 구간으로(86%)
투자금 대비 연간 영업이익이 24.25% ~ 51%인 것을 알 수 있다.
1인당 평균 영업이익인 1억 4,904만원을 기준으로는 37.26%이다
의원
2012년 기사. 지금은 훨씬 증가했을 것.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734831&thread=22r02
"전체 개원비용은 재활의학과가 평균 9억4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정형외과는 8억8088만원으로 뒤를 이었으며, 기타신경외과계 7억9100만원, 산부인과의원 7억2286만원 순였다.
반면 의원 개원을 위해 가장 적은 금액이 소요된 진료과목은 가정의학과로 평균 2억2945만원을 창업비용으로 지출했다. "
"동네의원의 경영수지는 지역별, 전문과목별 등에 따라 편차를 보인 가운데 연간 평균매출액은 4억7100만원 정도였다. 정형외과가 7억270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안과가 7억700만원, 재활의학과는 6억1100만원의 평균매출을 올린 반면 가정의학과 이비인후과는 각각 2억8900만원, 3억7200만원을 기록, 매출이 낮은 과목에 이름을 올렸다."
2012년 기사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4/20/2012042000353.html
"병원을 열면서 투자한 돈은 평균 4억8029만원이었다. 산부인과(13억9397만원)의 개원(開院) 비용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안과(11억9305만원), 기타방사선과(9억298만원) 등의 순서였다. "
의원의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 비율은 34% 정도(출처:http://www.dentalnews.or.kr/news/article.html?no=23268)
하지만 투여되는 노동의 가치는 산출할 수 없다...그저 매우 힘들다고 알고있을 뿐...
"개원의들은 주당 평균 50.1시간을 진료했다. 98.9%가 토요일 진료를 했으며 44.4%는 야간과 공휴일에도 진료했다. "
2019년 기사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5278
"요양기관 근무 인력의 주당 근무시간은 의사 45.9시간, 치과의사 45.0시간 ...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속보] 국민의힘, 김문수 선출 취소…새벽 4시까지 새 후보 등록신청 접수 3
국민의힘이 김문수 대선 후보의 선출 취소 절차를 완료했다. 동시에 새로운 대선...
-
지금 10도라 나와있는데 원래 5월이 추웠음? 작년 학교축제 4월 중순말인가 했던...
-
3
-
안철수 서울대 교수가 SBS ‘힐링캠프, 기쁘지 아니한가’에 출연해 그 동안의...
-
살아있는 사람 손들어보셈
-
아까 글 올린 노베인데요... 기하를 어떻게 할까 하다가 일단 공간도형파트만...
-
정법 현강 낄까 말까 고민햇는데 올해는 먼가 불안해서 그냥 9모 이후에 다니기로 함
-
20대대선이 진짜 역대급 개병신대선인줄 알았는데 진짜 지금보면 선녀네 21대는...
-
국힘은 이제 민주주의 사회의 공당이라고 봐주기도 부끄럽네 1
중국 공산당이랑 형태 제일 비슷할듯 좆주당보다 기괴해짐
-
근데 국힘 진짜 돌았네 11
저러면 진짜 이재명vs이준석 양자로 가겠는데? 국힘은 소멸할듯
-
새삼대단하네.. 첨봤을땐 개구리랑 치즈 둘중 뭔지 고민하고있었는데
-
얼버기 9
강아지가 방문 긁어서 인남
-
치즈를 매우 좋아한다네요
-
오노추 0
심심하면 노래나 듣고가셈
-
난이도 궁금 왜냐? 오늘 풀러가는데 벌써부터 풀기 싫음^^!
-
작수때 ㄹㅇ 시간 한 50분? 남았는데 13 14 15 20 21 22 27 28...
-
수령까지 기간 얼마걸림
-
주말만 되면 자기 싫음
-
다들 용돈 1
얼마나 받으심? 책값 제외한 값.
-
짜증나
-
으아아악 정상화기원...
-
생활패턴 망가짐 5
잠이 안 온다 ㅠ
-
목 나갔네 5
친구들이랑 파티룸옴
-
이원준 강민철 1
이원준 독서 강민철 문학 이케 들어도 되나요 막 방식이 충돌해서 이상해지고 그러지 않겠됴?
-
10억까지는 할 수 있지 않을까 30대 초에 엑싯을 해서 한 100억을 버는거임..
-
점심을 국밥 짜장면 or 편의점 밖에 못먹어서 서러운 거 빼곤 다 좋은 듯
-
나 순수한건가 10
님들이 귀엽다고하면 나 진짜로 귀엽다고 생각하게되고 님들이 댓글달아주니까 인싸가...
-
화작만 안 틀렸어도 3모 1 5모 2 떴을 텐데...... 그 자료? 문제도 어렵고...
-
잔다 2
르크
-
기출 푼 후에 1. 내가 기출을 얼마나 잘 습득했는지 2. 계산 실수를 잘 잡고...
-
현역 5모 후기 1
탐구만 보면 머리가 안돌아가네요 평소에 물리 모고도 많이 풀어봤는데 왜 이렇게 꼬였을까요..
-
책장 ㅁㅌㅊ? 5
포차코 귀여움
-
각각 난이도가 어떻게 되나요? 드릴이나 어싸같은 문제집이랑 비교했을때요
-
김상훈 문학론 2
지금 박광일 듣고있는데 지금 김상훈 문학론 듣기 시작하기엔 너무 늦었나요..? 아님...
-
그래도 이재명은 못뽑겠다 준스기로 가야하나
-
뭐라해야되냐
-
여행 떠나고 싶다 13
고독을 즐길 줄 아는 사람이 되고 싶다
-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이 쉬웠나요? 전부..? 나는 왜 지금까지 쉽다는 모고는 쉽게...
-
사탐런 고민 1
지금 69수능 지구과학 풀면 40점 정도 나오는데 사문으로 런쳐서 50점 만드는게...
-
사탐 강사 추천 0
사탐은 처음인데, 우선 과목은 사문과 생윤으로 골랐습니다. 사문 -...
-
삼수도 개힘든데 24
그이상은 도대체 어케 하는거임 약간 도의 경지를 넘어선듯
-
잘자요 14
-
3모50점 5모47점인데 중간중간 비는 개념이 보이긴함 더프같은거도 풀어보면...
-
요즘 참 15
요즘이네
-
공통접선인건 알겠는데 x축에 접한다<<이걸 대체 어떻게 써야하는지 모르겠음...
-
교대 반수,로스쿨 12
교대 재학중인데 이미 2학년이라 2년만 더 참으면 자격증 나와서 그냥 다닐까...
-
3초 고민함 거울을 보고서 그만둠
-
확통 29 0
형들 아직 확통 감잡는중인데 내 풀이한번만봐줘 3528나옴 ㅋㅋㅋㅋㅋ
매출액은 버는 총 액수, 영업이익은 뺄거 다 빼고 순수익만 봤을때인가요? 보통 대출갚는돈은 순수익에서 빼나요?
영업이익이 매출액에서 뺄거 다 뺀거라고 알고 있습니다. 대출이자도 아마 포함으로 알고 있어요.
대출금액을 원리금 균등으로 생각하고 저기서 빼면 남는게...많지 않을걸요수능만 준비해서 그런지 세상엔 무지하네요...
저도 사실 잘은 몰라요ㅎㅎ
배라 드가자~~

단독인수개원은 더싼가요...?지난 번에 선배님께서 오셔서 달아주신 답글에서 2억 안쪽이라고 하셨습니다. 당연히 신규보단 쌉니다.
저기 표에서 치과의원 평균 영업이익이 욀케 높아요..??...?? 순수익이랑 별개 개념인가요?? 저정도 영업이익이면 연봉 세후로 얼마버는거에여..?? 치과 개원의 평균 소득을 저 표 내용으로 읽을 수 있는건가욤
아 치과의원 영업이익은 치과의사/치의생사/분들 소득 합친더라고 보면 되려나요 말그대로 병원 자체가 번 돈..??..,?
매출액은 보험과 비보험을 모두 포함한 의원급 의료기관의 총 매출을 가리킨다. 영업비용 역시 임대료, 인건비, 각종 의료장비 및 재료 구입 등 의료기관을 운영하는 데 사용된 모든 비용을 말하며, 영업이익은 매출액에서 영업비용을 제외한 순이익을 뜻한다.
http://www.dentalnews.or.kr/mobile/article.html?no=23268
인건비에서 치위생사, 방사선사, 소독실 분들 등 고용된 분들의 인건비가 빠집니다.
https://i.orbi.kr/00033669614
수입 관련 글은 이 글도 참고해주세요
영업이익 자체가 순이익입니다.
그리고 평균이니까 많아보이는거고 실제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그 치과의원 평균 영업이익하고 치과의사1인당 평균 영업이익이 차이가 있는거는
치과의원 영업이익 =치과의사+치위생사분들
이렇게 보면 되는건가요??
아니요
치과의원당 영업이익/치과의원당 치과의사 수
=치과의사 1인당 영업이익
이라고 산출했습니다.
아하 ㅎㅎ
기업과 비슷함
병원에 투자한 사람들이 가져가는 금액= 영업이익
노동자로 고용되엇으면, 인건비는 비용처리됩니다.(치과의사 포함)
야발 돈없는데 망했네
우리에겐 아직 닥터론이..!
Moon씨가 옥죄는중..
DSR40은 좀 에바인거 같습니다ㅎㅎ
단독인수 개원이 더 저렴한 이유가 뭔가요? 기존 치과 인수하는 게 가장 안정적이고(단골, 입소문, 인지도 등이 이미 확보 되었으므로) 권리금도 그만큼 요구될 것 같은데요
그 치과에서 진료한 환자를 모두 승계한다는걸 전제로 인수하는겁니다.
가령 돈을 완납한 임플란트환자에게 추가치료가 남아있다면, 인수한 사람은 무료로 해줘야합니다.
그리고 그 치과에서 치료한 보철물 등에 문제가 생기면 당연히 그것도 무료로 수리해줘야하구요
치과치료 특성상 한번에 끝나는 법이 없고 끝없는 AS의 연속입니다. 그러니 인수개원이 더 싸죠
개원 비용과 소득 순수익으로 따지면 가정의학과와 한의원은 어느쪽이 평균적으로 나을까요?
개국약사나 약국에 대한 자료는 혹시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연간 영업이익을 보면
가정의학과 2012년 기준 의원당 9,826만원
한의원 2015년 기준 의원당 1억 920만원
2010년과 2015년 사이 의원의 영업이익은 약 45% 증가하였습니다. 매해 8%씩 증가했다고 치면
가정의학과의 2015년 예상 의원당 영업이익은 1억 2,377만원입니다.
둘 다 개원비용을 2억으로 잡으면
가정의학과 60%
한의원 54.6%
인데 그냥 단순 계산에 때려맞춘거라 정확하지 않습니다.
개원 비용에 따라 영업이익도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냥 참고로만 보시기 바랍니다.
약국 자료도 찾아보면 있겠지만 제가 따로 계산하거나 정리하진 않아서 모르겠습니다.
고소득전문직 개인사업자 소득신고현황(2019년)을 보면 약사의 신고현황은 9,599만원으로 10위에 위치합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ㅎㅎ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