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수능영어의 핵심 - 빈칸추론 (1)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05099
빈칸 추론에대한 기본적 개념들을 짧게 연재해보겠습니다. (이 내용은 3월 중순 출간 계획이 있는 Fill In The Blanks라는 책의 서두 부분의 내용입니다.)
* 아래의 8가지는 제가 직접 수능 기출문제와 평가원 문제들을 분석하면서 알아낸 빈칸 풀때 유의할 점들입니다. 이 8가지 내용만으로도 빈칸의 함정에 속는 비율이 확 줄것이 확실하니 기출문제들에 적용시켜보세요. 평가원의 빈칸 코드를 어느정도 느낄 수 있으실 겁니다.
1. 선택지를 넣어보고 자연스러운 느낌으로는 오답이 찍힌다!
2. 본문에 나왔던 단어의 직접적 활용은 함정일 수 있다.
3. 정답은 본문의 단어를 직접 활용하기보다 다른 표현을 자주 활용한다.
4. 선택지 대명사, 지시어, 대용표현 등은 반드시 문맥적으로 해석한다.
5. 정답 선택지를 Paraphrase한 내용은 한 단어를 조심하라!
6. 3점짜리는 특히 오답 선지를 구성할 때, 본문에 나오는 어휘나 표현들을 직접 활용하며, 정확한 해석으로 보면 본문 내용에 어긋나는 내용이지만 해석이 정확하지 않을 때는 정답으로 보이도록 유도하는 함정들이 많이 존재한다.
7. 빈칸 부분과 비슷한 패턴을 보이는 본문의 부분이 있다면 정답의 근거가 될 가능성이 높다.
8. 재진술 signal word가 나오면 재진술 부분이 근거될 수 있지만, 보통 이 내용은 고난도 문장인 경우가 많고 오히려 아래에 구체화된 내용에서 정답의 근거가 나오는 경우가 많다.
1) 문맥상 동의어 빈칸 수능 기출 문제 분석
사용된 기호 설명
= 문맥상 동의어
↔ 문맥상 대립어
(G) - (S) G/S 관계
→ 인과관계, 논리적 흐름
2012-30. 다음 빈 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Often in social scientific practice, even where evidence is used, it is not used in the correct way for adequate scientific testing. In much of social science, evidence is used only to affirm a particular theory ― to search for the positive instances that uphold it. But these are easy to find and lead to the familiar dilemma in the social sciences where we have two conflicting theories, each of which can claim positive empirical evidence in its support but which come to opposite conclusions. How should we decide between them? Here the scientific use of evidence may help. For what is distinctive about science is the search for negative instances ― the search for ways to falsify a theory, rather than to confirm it. The real power of scientific testability is negative, not positive. Testing allows us not merely to confirm our theories but to ___________________________.
① ignore the evidence against them 본문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반대 내용
② falsify them by using positive empirical evidence Paraphrase된 정답 선택지에서 한 단어의 방향을 바꾼 것
③ intensify the argument between conflicting theories 본문과 관련 있어 보이지만 정답과 관련 없는 내용
④ weed out those that do not fit the evidence 재진술을 사용하였지만 비유적인 표현(weed out)과 대명사 (those)사용으로 정답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가능성 높음
⑤ reject those that lack negative instances Paraphrase된 정답 선택지에서 한 단어의 방향을 바꾼 것
해설
not used in the correct way = to affirm a particular theory = to search for the positive instances that uphold it = confirm it = positive = to confirm our theories ↔ the scientific use of evidence = negative instances = ways to falsify a theory = negative = to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어휘
social scientific practice 사회 과학적 관행 adequate 적절한 affirm ~가 사실임을 확인하다 uphold ~를 확인하다 lead to ~로 이어지다 dilemma 딜레마 claim 보유하다 empirical 실험적 opposite 정반대의 distinctive 독특한 negative instances 반례 falsify ~의 거짓을 입증하다 confirm ~의 진실을 입증하다 testability 검증능력 intensify 강화하다 conflicting 충돌되는 weed out ~를 뽑아 버리다
해석
종종 사회과학의 관행에서 심지어 증거가 사용되는 곳에서도 그것(증거)은 적절한 과학적 실험을 위한 올바른 방식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사회 과학의 많은 부분에서 증거는 특정한 이론이 옳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서 - 그 이론이 맞는 것을 입증하는 긍정적 예를 찾기 위해 - 사용된다. 하지만 이런 증거들은 찾기가 쉽고 우리가 두 개의 충돌이 일어나는 이론들을 갖게 되는 친숙한 딜레마로 이어진다. 그 이론들 각각은 그것들을 뒷받침하는 긍정적인 실험적 증거들을 보유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하지만 그 이론들은 정반대의 결론에 도달한다. 우리는 그것들 중에 하나를 어떻게 정해야 할까? 여기에서 증거의 과학적 사용이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과학에 대해서 독특한 점은 반례의 탐색 - 한 이론이사실임을 입증하기보다 거짓임을 입증하는 방법들의 탐색 - 이다. 과학적 실험능력의 진정한 힘은 찬성적인 것이 아니라 반대적인 것이다. 실험은 우리가 우리의 이론들이 올바름을 입증하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해준다.
① 그 이론들에 반대되는 증거를 무시하도록
② 긍정적(찬성적) 실험 증거들을 사용함으로써 그 이론들을 무시하도록
③ 충돌이 일어나는 이론들 사이에 주장을 강화하도록
④ 그 증거에 맞지 않는 이론들을 뽑아 버리도록
⑤ 반대적 증거들이 부족한 이론들을 거부하도록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난 음악 잘 모르지만 이건 표절인 거 같다 (같은 코드인 거 싹 다 모아서 억지논란...
-
애들이 하자해서 억지로 하는중
-
//물2문제가 궁금하신 분들은 간단히 문제만 체험해 보시고, 그래서 나는 물2로...
-
입시 공정 0
모두가 불만을 가지지 않도록 수시는 모의고사 평균, 정시는 수능100 해서 통합사회...
-
중하예프 1
ㅇㅇ
-
제발료.. 집이 9호선라인이라서 통학은 중대가 많이 편하긴한데 경희대가 높공이다...
-
너무 오랜만이라 ㅠㅠㅠㅠㅠ
-
[인하대 신입생 필수 확인 리스트] 이것 만큼은 꼭 확인해주세요!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인하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인하대생, 인하대...
-
한 번만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번 말고 1번만 읽어주셔도 무방해요,, 0....
-
제목 어그로 ㅈㅅ 아주예전에 유툽에서 어떤 공부방법알려주던 유투버가 했던 말이...
-
DK는 모르겠고 4
XDK는 앎.
-
1004.52 입니다ㅠㅠ
-
벌써부터 힘들면 어떡하니 운동좀해야겟다
-
굳이 다른거 풀어볼 필요없을까요???
-
실화임
-
그나마 여지있는게 에리카 약대였던거같은데
-
수원대 컴공 vs 한국공학대 전자공학 임베디드시스템 둘 중에 어디가 더 좋을까요?...
-
리젠이 죽다 못해 썩어버린 어젯밤에는 ㅇㅈ을 올린지 1분이 지나도 5회 8분이 지나도 24회 ㄷㄷ
-
커피마시기 4
-
예비 2번입니다 ㅠㅠ 전화추합 계속 기다리고있는데 안와서 하루종일 우울하네요......
-
500점대임... 고영들어야하네
-
기숙사에서 반수 0
기숙사에서 반수하는거 많이 민폐일까요?
-
정확히 말하자면 헷갈린다기 보다는 문제에서 ~~ 인 재정정책을 고르시오 했는데...
-
비교우위랑 절대우위 작년 경제학원론의 기억을 되세겨서 풀어보자
-
그래도 설수리갔잖아
-
평가원에선 난해한문제 안낸다 했지 등비급수를 안내겠다 라는 말을 안햇지만 평가원...
-
정치,사회 3
오르비 입시커뮤인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정치나 사회적인 글이 뜨네요 ㅋㅋ
-
작년 미적 3틀 88 2등급 과탐 원과목 등급컷 이거 보고 입시 접기로 결심했옸음
-
어디가 나을까요 딱히 화공 꼭 가고 싶은건 아닌데 자유전공은 내 과가 딱 있는 편이...
-
점수 어느정도 받아야됨?
-
중대뽕보다 9
푸앙이 뽕이 더 지린다 푸앙푸앙!!!
-
몇번까지 돎?
-
퇴학원 제출완료 3
-
병신같은 학교 자퇴하고싶네
-
"계명대 약학과"
-
[칼럼] 논리학 - 기호화된 정보를 예시로 납득하자 10
안녕하세요, 쑥과마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인문, 그중에서도 ‘논리학’ 제재만 집중...
-
당황스럽네 저렇게 관심받을만한 글은 아닌데.... 다들 정치에 관심이 많으시군요
-
언매 공부 질문 0
고3 현역입니다 고2때 내신으로 언매를 했어서 고전문법, 음운변동 부분만 탄탄한...
-
약대가려면 3
과탐해야되나? 사탐이 더 쉽나?
-
지사의 전추 0
지사의라인은 전추가 꽤도나요? 지금 예비3번이라 숨막힐것 같습니다
-
도움!!
-
☺️계명대학교 약학대학 약학부 2025학년도 신/편입생을 찾습니다☺️ 1
안녕하세요☺️ 저희는 계명대학교 약학대학 제 15대 학생회 ’NEW WAVE‘입니다...
-
저는 학교 하루도 안 나가고 짤리는 한이 있더라도 무조건 걸어두라는 편인데 이유는...
-
다른 뱃들이 다 실사라서 나도 실사로 해보았습니다 설명 생략/저작권은 지난 번과...
-
오늘은 식비도 아깝다
-
와 방금 7
단톡방에 숭실숭실~~이라고 했는데 반응 좋았음뇨 ㅋㅋㅋ
-
ㅋㅋㅋㅋㅋ 나도 저런 때가...
좋은글이네요 !
감사합니다. ^^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글 많이 올려주시길~
빈칸추론 연재내용만 잘 보셔도 빈칸에 대한 개념이 잡히실겁니다. 화이팅!
살벌한 빈칸추론 ㅎㄷㄷ;; 좋은글 감사합니다^^
나에게만 안 살벌하게 만드세요 ^^
좋은글이에요!
전 빈칸에 대해 두려움이있고 어려워하는데
빈칸만따로 모아서 쉬는시간에 계속푸는것도 좋은방법일까요?
푸는것보다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가 모든 내용을 다 올릴 수는 없겠지만 핵심 개념들은 올릴거니깐 그것들로 분석하는 힘을 키워보세요
감사합니다! 즐겨찾기감이네요ㅎㅎ
저도 일단 빈칸이라고 하면 막연한 두려움을 느꼈는데,
정말 도움이 되는 글이네요. 앞으로도 이런 좋은 글 많이 부탁드립니다.
글이 일상소재가아니고 이런글일때 한문장한문장 해석은되는대
내용 연결이안되요 앞에껄해석하고 앞으로나가면서 전에해석을 까먹어요
ㅠㅠ 이럴땐 어떤연습을해야대나요?
국어에서도 그런 문제가 있나요? 예를 들어서 비문학 독해를 할 때요...
아니요 영어를해석할때그래요..
13년 9월평가원 46번문장같은것들 내용이 연결이안되서힘들어요
독해가 안되는 겁니다. 해석과 독해가 다른 것은 아시죠? 제 글 찾아보면 그런 글이 있습니다. 모르면 보세요.
카메라를 통해서 어떤 물체에 초점으 맞추면 다른 물체들은 뿌옇게 흐려지죠? 그러다가 다른 물체에 초점을 맞추면 원래 물체가 뿌옇게 바뀝니다. 학생이 해석에 초점을 맞추다보면 독해의 초점이 흐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석이 능수능란하게 되는 것이 필요조건입니다. 그 다음에 모든 문장들은 하나의 문단 안에서 일관성이 있습니다. 즉 문장과 문장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죠. 그 관계를 파악이 안되면 읽어도 무슨 말인지 모르게 됩니다. 그래서 그 관계를 찾으려고 해야 하며, 이게 독해입니다. 기본적으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전제로 그 관계를 찾아내세요. 그런 과정에서 독해력이 올라갑니다.
감사합니다
문장관의 관계를 생각하며 독해야겠어요
앞으로도 좋은글 부탁드립니다!!
3월달에 Fill In The Blanks 출간계획이 있으시다고 했잖아요
이 책이랑 4월달에 나오는 SRSC 강의랑 차이점이 뭔가요???
강의제목은 Smart Reading, Smart Choice이구요, 이 강의 교재가 Fill In The Blanks 입니다. ^^ 같은거에요~
궁금한게 있는데요 왜 다들 빈칸추론문제가 2014 영어 당락을 가른다고들 하시죠??
수능에서 최고 수준의 변별력은 항상 빈칸추론에서 나왔습니다. 그리고 올해 다른 문제유형은 줄어도 빈칸은 6문제나 출제가 되구요, 이 중에서 3점짜리도 3문항이 될 것 같습니다. 따라서 빈칸이 가장 중요한 것이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텝스공부하면서 빈칸 공부할수도잇는거죠?
수능 빈칸추론이 다른 시험과 다른 점이 있습니다. 텝스로 한다는 것이 어떨지는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