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alswn [910780] · MS 2019 (수정됨) · 쪽지

2021-01-24 12:07:03
조회수 1,278

[공부법 칼럼] 수학 실수 많이하는 사람들 보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5567137

우선 수학 공부법을 풀기에 앞서 수학 실수 잡는 방법을 칼럼으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엔 이야기하기 좀 편하게 반말을 좀 써보도록 할게요:)

.

.

나는 수학 실수의 한 획을 그을 수학 실수에 일가견이 있는 사람이다그래서 정말 다양한 실수를 경험해 봤다.  내가 깨달은 것은수학 실수에도 두 가지 유형이 있다


1. 눈이 삐꾸가 돼서 OMR를 잘못 마킹하는 경우

2. 머리가 갑자기 어떻게 돼서 계산 실수를 하는 경우


이렇게 두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이 둘 모두 어떻게 극복하려 했는지 내 경험을 풀어가며 이야기해보려 한다


1. 우선 첫 번째 OMR 실수사실 첫 번째 OMR 카드를 잘못 마킹하는 경우는 어떻게 해도 고칠 방법이 없다근데 문제가이렇게 OMR 카드 마킹을 계속해서 실수하는 경우 멘탈이 시험칠 때마다 순간적으로 확 약해질 수가 있는데 다년간의 경험으로 그 해결책을 찾았다

.

처음 수학 실수를 범해본 것은 고등학교에 들어와 처음 쳐본 3월 모의고사주관식에서 답이 ‘7’이라면 백의 자리에 7을 기입하곤 했던 멍청이였다그러니까 __7 이렇게 칠해야 하는데 7__이렇게 칠한 것이다정말 지금 생각하면 정말 찐으로 아이큐가 돌고래와 비슷했던 것 같다아무튼 그렇게 주관식에서 답이 한 자릿수두 자릿수인 문제들은 모조리 틀렸었던 경력이 있다.ㅋㅋ 

.

이후 정말 내 고등학교 인생에 있어 희대의 실수를 저지르게 된다이 썰을 들은 내 룸메이트 동생에 의해 후배들 사이에서도 유명해진 썰이기도 하다우리 학교는 5지 선다가 아니라 25지 선다였는데그래서 가령 답이 25이면 1,2,5를 복수로 표기해야하는 그런 구조였다그런데 나는 답이 25이면 2,5 이렇게 칠했었다그리고 답이 14이면 1,4 이렇게 칠했던 것이다그래서 난생 처음으로 6등급을 받았다진짜 정시로 틀까 정말 고민도 많이 하고 일주일 내내 울었던 기억이 난다.

.

정말 이쯤 되면 사소한 실수들은 귀여운 장난처럼 느껴질 정도로 멘탈이 거덜 나 있는 상태가 된다이후 수학 모의고사나 쪽지 시험만 치면 실수를 또 할까봐 벌벌 떨었었다그래서 고민했던 방법이 자신감을 갖게 해주는 아이템을 만들자였다나 같은 경우 샤프가 그 대상이었는데수학 문제를 푸는 여러 날 중 유독 문제가 잘 풀리는 날 사용했던 샤프를 기억해놓는 것이다이후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 생겼다 싶은 날은 항상 그 샤프를 찾아 사용했다그렇게 여러 번 그 샤프에 자신감을 쌓은 후 시험이 될 때 그 샤프를 사용했다역설적으로 일종의 징크스를 스스로 만드는 방법을 사용한 것이다. 신기하게 그 날 수학 문제가 정말 자신감있게 풀렸고등급이 수직상승하게 되었다이후 친구들에게도 이 방법을 알려주게 되었는데 확실히 효과가 있다물론 수능장에서는 샤프가 따로 제공이 되므로 다른 아이템을 이용해서 연습하길 추천한다.

.

.

2. 두 번째로 계산실수를 하는 경우이다나는 수학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에 대한 방법도 몰랐을 뿐 아니라계산 실수도 정말 밥 먹듯이 해서 9평까지도 4등급을 벗어나본 적이 없었다정말 지긋지긋할 정도로 계산 실수가 싫었는데그래서 그냥 피하기보단 실수를 마주해보자는 생각에 왜 계산 실수라는 것이 벌어지는지에 대해 생각해보았다정답은 생각보다 간단했다우리 머리가 돌아가는 속도가 손이 써내려가는 속도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이다예를 들어 우리 눈과 손은 아직 나누기 2를 하지 않았는데 머릿속에선 이미 2를 나누는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결국 답은 2를 나누지 않은 채로 내는 것이다혹은 눈과 손은 아직 10을 더하지 않았는데 우리 머릿속에선 이미 10을 더했기 때문에눈과 손이 10을 더하기 전에 머릿속에선 이미 정답을 내버리는 것이다아마 대부분이 이러한 이유로 실수를 저지를 것이다때문에 이것을 고치기 위해선 머릿속에서 하는 생각을 빠르게 손으로 구현하는 연습을 해야한다고 생각했다

.

그래서 빨더텅을 사서 3쉬운 4점짜리들의 풀이과정을 손으로 구현하는 연습을 했다. 45분정도 타임어택을 두고 답은 내지 않고 머릿속에서 드는 생각을 빠르게 쓰는 연습을 하는 것이다굳이 풀이과정을 다 나열할 필요는 없다그냥 머리와 눈그리고 손의 티키타카를 연습한다고 생각하면 쉽다여기서 중요한 건 속으로 말을 하며 연습하는 것이다. 그래야 티키타카가 원활하게 잘 된다. ‘그래이건 이거저건 저거 그다음 이렇게 해야지’ 이런 식으로 속으로 말하면서 뇌와 손의 신호들을 이어주는 느낌으로 연습하는 것이 좋다그래서 아마 그냥 문제를 풀 때보다 고도의 집중력이 요구될 것이다다만이렇게 하면 확실히 계산실수로 문제를 틀릴 일은 거의 없다.

.

.

오늘은 수학 실수에 관한 칼럼을 써보았으니 다음 칼럼에선 본격적으로 제가 어떻게 두 달 채 되지 않는 시간 동안 수학을 두 등급 올릴 수 있었는지에 대해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

그리고 양심적 좋아요 꼭! 부탁드려요 :)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