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생도, 의대생도 경제는 반드시 배워야 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4805729
반대로 말해볼까요?
문과생도 수학과 과학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됩니다.
서로 자기 분야의 우월성을 내세우며 상대의 분야를 비하하는 유치한 짓은 그만두세요...
차피 정말 성공하고 싶다면 다방면에서 박식한 폴리매스 (polymath) 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요즘같이 간학문적 접근 태도가 중요해지는 세상에서는 더욱 더 그러합니다.
지식의 스펙트럼을 넓히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자신의 분야에서의 깊이와 전문성도 중요하지만요).
제발 현생을 사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항상술먹고있음 담날기억못함
-
쿠팡 가야지 근데 겨울에 햇는데 자꾸 안 받아줫는데 이제 민증 나왓는데 받아주려나
-
지금 다니는 독서실이 재수생이랑 같이 있는 곳이라 오후 3시 등원만 가능하고...
-
보다가 잠들게요 원래 못자서 스트레스 받았었는데 오르비 보먄서 덜스트레스받는단말이햐
-
큐브 나도 할래 4
나도 풀 수 잇는데 우으
-
뒷공부 장단점 9
장점 재능충 타이틀 단점 수면 부족
-
원서시즌이라 한번 띡 누르면 천뷰 이천뷰이랬었는데 그래서 그때 저격하는사람보면 개무서웠었음
-
잘자요
-
94개 풀었네 ㅋㅋㅋ
-
그,ㄴ데 음원보다 라이브가 좋길래 걍 안 들음
-
올해 고대 불어불문 3.9 빵이던데 이정도면 평백 몇정도에요? 1
평백 90 정도인가? 건대,외대랑 비슷한 구간이던데 ㄷㄷ (자전 17퍼는.. 올3등급인가)
-
각성상태인가
-
그래서 지금 학교에서도 개찐따됨
-
내가 애니 프사라 그런 말 하는건 아니고,,, 프사 갖고 욕하는 사람 보면 자기...
-
기분좋다
-
종강안하나 0
할때됐는데
-
중간끝나고 3
9시부터 지금까지ㅜㅛㅜㄹ 존나ㅜ마ㅛ시느중
-
야!!!!!! 8
-
!! 16
-
내 최애짤임 5
-
왜 잠이 안 오겟음 잘 시간이 아니니까. 안 자면 됩니다
-
낮에는 개덥거 ㅅㅂ
-
수린사건 터져가지고 이곳도 새벽마다 곧 휴 랑 할 카스가 난무하는 곳인줄 일았어요;;;
-
잠 안와서 왔는데 11
아직도 화력 죽인다
-
복귀하자마자 타점 때리네 지리긴 지리노
-
ㅅㅁㅅ가 누구지 8
노무현?
-
ㄹㅇ임 함 해보셈
-
냠냠
-
더사고싶다
-
예술이네 10
나쁠만함
-
받을 일을 안하긴 햇제
-
왜삶 4
내인생에휴다노ㅠㅠ
-
모든 게 지친다 0
다 내려놓고 휴양이나 가고 싶네
-
하이고
-
기분이 나쁘네 6
진짜 중이 절 떠날 때가 왔나..
-
내 술버릇 7
무릎꿇고 큰절하면서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만 말하기
-
컵라면을 먹을까 2
내일 아침 점심 굶을거같은데.. 아니 오늘
-
조리돌림 당하기 딱 좋잖아, + 실패해버리면 진짜 호소인 병신 되버림 걍 심지어...
-
근데 뭔가뭔가인 게 10
분명 술자리에서 맞팔한 것 같은데 누군지 전혀 모르겠다는 거임..
-
시험기간에 하는 요리가 제일 재밌음
-
미적문제나푸샘 11
굉장히 히트임;
-
ㅈㄴ 감다살임 ㅋㅋㅋㅋㅋ 제목에서 내용으로 이어지는 이 호흡과 내용 완벽한 글씨...
-
인강들은것도순공으로 쳐주나요?
-
난 진짜 순수 노력으로 26렙 찍엇는데 재능충이 가입일 10일만에 14렙찍는거 보고 현타오네...
-
보쿠라노 진세이
-
이론상 4
연의 설수 고려대 이렇게 쓰면 뱃지 5개인거죠? 설 연 고 의 수
-
왠지 그녀도 있을까
서로 까봤자 남는게 없음
ㅇㅇ 맞음
맞말추

설경좌 두둥등쟝ㄷㄷㄷㅈ
최고의 답변
설경은 뭐의 줄임말이다??
설대경ㅈ.. 아니 경영입니다!!
하.. 자넨 비반에 올수없다네..
이게맞지
근데 여러가지 아는 것보단 한가지 깊게 아는 게 더 어렵고 중요한듯
고건 ㅇㅈ

맞말추!ㅎㅎ 동기님 맞는 말 대잔치
아.. 부끄럽네요 ㅋㅋ
저도 학부시절에 더 폭넓은 것을 배웠습니다.

Latte is Horse... 완전 멋있어요 저도 폭넓게 배우려고 노력하겠습니다김동욱t가 일클에서 대학가면 어느학과를 가던 1학년때 반드시 경제학원론을 들으라고 했던게 기억나네요. 공감합니다
오옹 그랫구나..
경제 선택하고 공대가면 ㅆㅅㅌㅊ코스
공대 복전 말씀하시는건가 그게 가능한가요
경제라는게 자본주의 사회에서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세상 돌아가는 전반에 대해서 더 깊이 이해할수 있으며, 열심히 일해서 번 고소득을 투자할 때 도움받기 위해서. 이정도이유로 의사나 공대생 등 누구든 경제를 알아야한다는 말에는 동의하나 그 역은 동의하지 못하겠네요.
자신이 문과생으로서 성공하기위해서 논리적 사고력을 기를려고 수학 과학을 공부해야한다는 말에는 동의할 수 있겠지만 수학,과학지식 자체는 쓸모없지 않겠습니까?
아뇨 완전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4차산업혁명 시대에서 신기술들이 나오는데 문과적 지식에만 갇혀있다면 도태되고 소외될테니까요.. 애초에 수학과 기본 과학을 모르면 그런 기술에 접근조차 못하니까요.. 그리고 어떤 분야든 이제 코로나 때문에 생명과학, 넓게는 화학이나 물리랑도 접목해야할텐데 더더욱 필요하죠
신기술들이 나오는데 문과적 지식에 갇혀있다면 도태되고 소외된다는 말이 잘 이해가 안되네요. 신기술이 나오면 그냥 설명서 잘읽고 활용하면되죠. 과학자들한테 자문을 구할수도 있고요
님 말씀대로라면 판검사, 변호사나 회계사들도 과학적 지식자체를 공부해야된다는 뜻인데 그 시간에 관련 판례하나 더보고 자신의 전문분야에서 실적쌓으면 얕게 아는 과학지식보다 훨씬 좋지 않을까요?
애초에 지식이 있어야 설명서를 이해하고 과학자에게 자문을 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과학자만큼 전문적으로 알진 못하더라도 그 분야의 새로운 지식을 이해할 수 있는 스키마가 필요하잖아요.
그리고 자기분야에만 매몰되어있다면 그 쪽은 이미 레드오션일 가능성이 크지 않을까요? 다른 분야와 융합해서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는 게 더 좋을 거 같다고 생각합니다.
경제학 읽을만한 책 추천해주실 수 있을까요? 이과 학생입니다
저 경제 잘 모르는데... 그런 경알못인 저조차도 쉽게 이해한 책으로는 나쁜 사마리아인들,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등이 있겠네요 아ㅠㅠ 책 좀 읽어야겠습니다
이과: 문과 ㅉㅉ
문과: 꼬우면 문과와서 탑 먹으라니까?
이과: 문과는 취업 안되잖아
ㅋㅋㅋㅋㅋ아니 현실에서 무시받으니까 온라인에서라도 자기가 우월감느끼려고 이 바득바득 가는 애들한테 뭘 바래...

맞말
생윤에는 비비지도 못하죵 국.민.사.탐.과.목 생윤저도 생윤만은 수능에서 1등급을 못받았다는... 허어ㅠㅠㅠㅠ
혹시 대학 가시면 수업으로 과학 들으실 생각 있으셔요?
넹 생물학 쪽 꼭 배워보고 싶어요
캬 개멋있다 저도 어렸을 때 생물 되게 좋아했었는데..ㅎ
오옹 마자여 요즘 코로나 때문에 더욱 더 배우고 싶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