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경보내줘 [610109] · MS 2015 · 쪽지

2020-12-21 19:48:46
조회수 308

경제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4108340

복무중인 이과에서 문과로 전과한 장수생입니다. 문과 선택을 사문 경제를 했는데 베이스가 아예 없어서(시작한ㅈ 한달됏습니다) 고민이 많습니다. 경제 문제를 풀다가 의아한 점이 생겨서 여쭤봅니다... 잘하시는분 알려주세요ㅠ


총수요를 변화시킬때 정부는 재정정책 또는 통화정책을 사용하는데, 이때 재정책은 정부가 직접 소비주체로서 g를 변화시키고 통화정책은 통화량을 조절해 이자율을 변화시켜 I 를 변화시키는 걸로 배웟습니다. 그런데 통화책에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통화책은 뭐 여러 정책중에 (공개조작이나 통안증권등을 사용하는 걸로 아는데) 공개조작에서 통화량을 변화시키면 물가가 변화하고 이는 당연히 임금에도 영향을 미쳐서 공급에도 영향을 줄거 같은데 정부의 통화책은 수요의 변화에 포커스 되어있고 공급에는 어떤 영향을주는지 안알려줘서 궁금합니다.


예로, 시중에 너무 많은 통화량이 풀려서 물가가 높다고(경기과열로 국민소득이 너무 높을때) 판단시 중은은 공개시작조작 국채 매도를 통해 통화량을 흡수하고 이는 이자율을 높여 투자를 줄여 ad를 좌측이동시켜 물가를 낮춘다(국민소득, 실gdp도 감소하겟죠) 는 방식인데 여기서 통화량이 낮아지면 물가가 감소해 임금도 감소해서 기업의 입장에선 공급을 늘릴 여지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되면 물가는 목표보다 더 낮아지고 소득에는 변화가 없으 통화책 자체는 무의미해질 것 같아서요...


자세히 아시는 분 제가 시작한 지 얼마 안되서 정말 궁그ㅁ합니다 제발 알려주세요 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사피엔스 · 681056 · 20/12/21 20:10 · MS 2016 (수정됨)

    물가가 감소해 임금도 감소해서 기업의 입장에선 공급을 늘릴 여지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오류가 발생합니다.
    물가가 감소해서 기업은 공급을 늘린다->아닙니다.
    물가가 감소하면 기업은 공급량을 줄입니다. 그러니까 총공급곡선이 기울기가 양수겠죠?

    물가 이외의 요소가 영향을 줄 때 공급곡선 그래프 자체가 이동하게 됩니다. 아마 수능에서는 원재료 비용이 상승했다 이런 선지 밖에 낼 수 없을 겁니다.

    사실 정확하게는 물가가 감소했을때, 임금과 그외 나머지 요소들이 그만큼 감소하게 된다면 기업은 공급을 늘리는 게 아니라 기업은 사실 공급량이 변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총공급곡선은 왜 우상향하는 것인가?

    대학교 1학년 경제원론 시간에는 물가가 낮으면 적게 팔고, 물가가 높으면 많이 팔고 싶어한다는 식으로 퉁치고 넘어가서 저도 의문을 가졌는데

    대학교 2학년 거시경제이론 시간에 다양한 이론들을 배웁니다. 엄밀하게 이런 것에 대해서 흥미가 있으면 경제학과로 오시면 됩니다 ㅎㅎ

  • 연경보내줘 · 610109 · 20/12/22 17:41 · MS 2015

    핳 감사합니다!!! 경제학과복전하겠습니다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