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의사는 정말 은퇴 시기가 빠를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3822762
오늘 낮에 쓴 부동산 글이 국시 전 마지막 글이라고 했지만 사실이게 진짜 마지막입니다...
이전 글들
의치한 가야하는 이유
개원 소득과 전문직 소득
집은 언제쯤 살 수 있을까?
타직종 타대학 타과 깎아내리지 맙시다
세 줄 요약
>65세에도 잘 은퇴하지 않는다
>은퇴할 특별한 이유가 없이 할 수 있다면 오래까지 한다
>식구들이 많다면..더더욱 그래야 할듯
>우리 때는 수입이 더 줄어서 더 일해야 하지 않을까?
>치과의사의 은퇴 시기가 빠르다는 말을 많이 보았습니다. 저도 주변에 은퇴한 치과의사 분은 안 계셔서 과연 사실일지 알아보겠습니다.
2020년 02월에 치학신문에 실린
서울대 치대를 졸업하신 김재영 원장님의 수필입니다.
http://m.chihak.co.kr/news/13710
‘필자의 대학동기가 100명인데 대학교수 말고 개업의로 65세에 은퇴한 사람은 거의 없다.
오히려 몇 명은 교수 은퇴 후에 의욕적으로 치과 개업을 했다.’
교수님들은 보통 65세가 정년입니다. 동기 100명 중 개업하신 분들은 이 때도 은퇴를 다 안 하셨다고 합니다.
참고로 1967년까지 서울대 한 곳에만 치대가 있었고
다른 학교들은 67년 경희대, 68년 연세대, 74년 조선대, 77년 경북대, 79년 부산대, 원광대, 전남대, 전북대, 80년 단국대, 92년 강릉원주대에 치대가 개설되었습니다.
83년까지 배출 인원은 연간 350명 정도였고 88년부터는 900명이 배출되다가 98년부터 700명대 후반~850명 정도 배출되고 있습니다.
치대가 많이 신설된 79,80학번 이제 60대 초반이시고 70세에 은퇴하신다면 앞으로 10년 후부터 은퇴자 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대부분의 치과의사는 특별한 은퇴계획이 없으면, 아프거나 치과가 망하지 않을 경우 계속 개업을 한다고 대답을 했다.
그러나 필자는 가능하면 빨리 은퇴하여, 제2의 인생을 살고 싶다.’
가능하면 빨리 은퇴...저는 그럴 나이도 아니지만 왠지 공감되네요...
>다른 직업의 은퇴 연령도 알아보겠습니다.
대기업 LG51.4, SK52.6, 삼성53.6
공무원 일반직60, 교육공무원62
교수 65
군인 소령45, 중령53, 대령56
경찰 60세이지만 계급근속년수가 정해져 있음
틀린 내용은 반드시 지적해주세요. 고치겠습니다.
쪽지로 질문도 계속 받고 있습니다.
>참고자료
교수 정년-http://magazine.kcue.or.kr/last/popup.html?no=3934
군인 계급 정년
경찰 정년, 공무원 정년
https://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1129535
https://0muwon.com/entry/공무원-정년-65세-연장
대기업 은퇴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7805516&memberNo=43209292
치의학 역사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ㅇㅉㅌㅂ
-
아니 0
3일동안 복권에 15만덕 잃음 운이 없다
-
ㅈㄱㄴ
-
막상 엄마랑은 얘기를 안 했음 ㅋㅋㅋㅋ 조부모님이랑 이모랑 학원 쌤, 그 학교...
-
ㅇㄸ가요
-
오늘도 포기 0
밥이나 먹어야지
-
태어나서 영어학원 8개월 인문논술 6개월말고 학원 다닌 적이 없음
-
존맛임 수능끝나고 박살내러간다
-
좆되게어렵다
-
ㄹㅇ로 나 잘하는거하나없는듯 국어도못해 수학도못해 거기다가 과탐도망했어 걍 좆같노
-
오르비 오랜만! 0
그동안 휴릅했다가 다시 돌아옴!
-
난 고작 서울대 일반과 가겠다고 n수 쳐박는데 누군가한텐 그 간절함이 전혀 이해가...
-
지구 너무 노잼인데 화학 정상화 됨??
-
녜..
-
투여한 시간의 격차는 줄일수없다는걸 느꼈음 시간은 똑같이 흐르는데 나는 7시간...
-
비오잔아 7
강아지산책망해버렷잔아..10보에 한번씩 털어버리네
-
뭔가 기분나쁜애가 툭 하고 박혀있으면 걔가 답인 경우가 많은 것 같음
-
시발점 듣고 개념원리 쎈 푸는 중인데 정답률은 괜찮은데 고난도 한두개 뭔가 답지처럼...
-
윤어게인 5
-
언제 들어와도 이러는데 혹시 트루먼쇼인가요
-
근데 릿밋딧풀고 3
선지 지워내는 속도가 전보다 빨리짐 정확도도 는 것 같고 아닌가 흠 아님 말고
-
수악을 하고싶지만 일요일은 문과데이니까 버텨야지 ㅜㅜ
-
시간아까워서 담배를 안핌
-
밥을먹어보자 10
-
메롱바보메롱
-
표점과 백분위 1
표점은 높은데 백분위가 낮은 경우는 어떻게 생기는 건가요? 24 서울대 정시 컷을...
-
수학이나 할까
-
국어는 첨부터 지금까지 쭉 1만 떴고 사설은 많이 푼건 아닌데 보통 1 나와요...
-
스나이퍼 후기 0
연세대 안되는 과도 엄청 많네.... 더 올려라... 수능때도 스나이퍼 잘 사용할...
-
저작권 문제있는걸로 아는데 오르비에다가 해설 쓰는것도 문제됨?
-
예술을 하는 사람임 아뤼스트야 아뤼스트 그런 엄청난 아이디어, 영감을 떠올리는건...
-
. 18
.
-
첫사진이 질문할때 보냈던 사진임 랭크도 높은분이셔서 의심없었는데 오늘보니까...
-
왜…….,…. 2
내가싫운건가
-
수능 수학 92점이 가능한가요? 제 친구가 확통도 아니고 미적분이었는데도 24수능...
-
ㄹㅇ 궁금한데 4
울릉도 거주중인 오르비언 있으려나
-
양/질 이거 알고나서 정답률 은근 올라감
-
포만한오르비디시이런거이제그낭안들어가야할듯 걍다끊을게요..
-
그런거안해도 개잘팔리잖슴
-
구해볼 만 한가요
-
팩트는 리트 지문으로 유의미한 훈련이 가능한 실력자라면 6
애초에 수능 독서는 그냥 껌이라는 거임
-
인강은 항상 켜놓고 졸아서 잘 모름
-
선택과목 강의도 없고 강의 대부분 재탕하는 사람이 5타를 유지하고 있다는건 오히려...
-
역시 햄버거는 토마토랑 양상추가 들어가야함
-
사문 말장난 개열받네 11
이 명제가 참이라는 것에 대해서 동의하는 것이 참이 되기 위해선 이 명제에 이...
-
탈릅까지 2
얼마 안남았네 D-103
-
내 답이 맞는지 틀리는지를 알 수가 없음 주관식은 당연히 노답 객관식은 선지에 답이...
여지껏 치과의사가 제일 빨리죽는 전문 직군이라 은퇴가 빠르긴 했을듯.. 교사 평균 수명이 74세인데 치과의사가 65세;;
ㅗㅜㅑ ㄹㅇ이네요
약간 한계는 있는 조사고 표현이지만요전문직이 좋은건 아니라능... ㅜ 일찍 죽어버렷 ㅜ
평균 수명은 아니고 사망자 평균 연령이긴 하네요 다시 보니...다행인건진 모르겠지만요ㅋ큐ㅠ
아마 과거에 쓰는 재료에 비해 비중금속 재료로 많이 바꼈으니, 앞으로는 좀 더 나아지긴 할거 같음
어떻게 생각하세요?
선배님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https://orbi.kr/00033898123/%EC%B9%98%EC%9D%98%ED%95%99%EC%9D%98%20%EB%B3%80%EC%8B%A0.....%EA%B7%B8%EB%A6%AC%EA%B3%A0%20%EB%AF%B8%EB%9E%98
치대생이신가요? 궁금하네요...
제가 알기로 두경부외과는 생긴지 얼마 안 되지 않았고 ENT의 분과입니다. 각 과가 진료영역을 넓혀가는건 맞습니다. 그래서 진료영역이 겹치는 부분도 많구요. 하지만 그 중에서도 메인인 과가 있죠.
치과의사들이 구강악안면부위를 어려워해서 어리버리 했다는 부분이 재미있네요. 의과(PS ENT 등) 겹치는 부분이 악안면외상과 재건, 그리고 구강암 정도인데 이미 대학병원에서는 구강악안면외과에서도 하고 있고 개원가에서는 구강외과 전문의들이 양악수술도 하고 있습니다. 그 수는 많지 않지만요.
그리고 앞부분에서는 개원가의 얘기를 하면서 뒷부분, 즉 구강악안면부분은 대학병원 수준에서 얘기를 한다는 점이 말이 맞지 않습니다.
저 글이 대체 언제 쓰여졌는지 모르겠지만
‘ 구강악안면의학’내에서 치아와 관련된 보존, 보철, 치주와 치아와 턱뼈와 관련된 교정, 그리고 구강내과도 구강악안면내과로 바꾸어 얼굴신경 이상이나 턱관절 그리고 구강암이나 혀관련 질환의 내과치료를 담당하고 구강영상의학과도 구강악안면영상의학과로 바꾸어 얼굴전체의 CT와 MRI판독으로 확대해야 한다.’
이 부분에서 구강내과는 이미 턱관절질환과 혀관련 질환을 보고 있고 영상치의학과도 치아뿐만 아니라 악골질환을 보고 있습니다. CT MRI는 물론이고요.
전체적으로 치의학이 발전하고 파이를 키워야한다는 점에는 동의하지만 이 글이 앞 뒤가 안 맞는 점, 이미 보고 있는 진료영역을 미개척영역인 것처럼 얘기한 점, 실제로 그러한 수요는 적은 점, 개원가와 대학병원의 현실을 섞은 점에 있어 맞는 말이라고는 보기 어렵습니다.
진료영역 확대보다는 정원 조절이 차라리 현실적인 선택일겁니다. 어차피 저 글에서 예시로 든 확장되어야 하는 영역은 수요도 적고 확대해봤자 개원가와는 거의 무관하게 될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