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직히 국어 3이나 1이나 똑같음 ㅋㅋ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2925807
이 시점에서 기출을 봐야 한다는 점에서요.
어그로인 척 하는 칼럼입니다.
선팔 후정독 알죵?
(스압주의)
아마 지금쯤이면 다들 실모 위주로 공부 계획을 세우셨을거예요.
그런데 실모가 기출의 비율을 앞서버리면 큰일납니다.
특히 문학에서요!
이제 이런 소리는 지겨우시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꼭 기출은 안보고 1일 1실모 하시는 분들이 있어서 또 우려먹습니다.
대신 오늘은
실모 이용 계획에 대한 칼럼입니다!
바로 본론을 들어가기 앞서,
여러분들의 상황을 단적으로 분류해서 한 번 말씀드리겠습니다.
단, 이 칼럼 대상은 평가원 3등급 이상 + 현재 등급 유지 or 한 등급 뒤집기가 목표이신 분들에 한합니다.
4등급 아래는 그냥 무조건 더도 말고 제발 기출만 보세요.
1. 현재 약 10회분 내외의 실모를 갖고 있는 분
저는 등급대와 무관하게 주 6일을 공부한다는 가정 하에 주 4회는 기출(45세트), 주 2회는 실모를 푸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현역이신 분들은 특히 이 루틴을 가장 잘 활용하실 수 있어요.
학교를 가는 평일에는 기출을 푸시고, 학교를 안가는 오전에 8시 40분부터 10시까지 정확한 시간을 맞춰서 푸시길 바랍니다.
물론 기출을 풀 때도 꼭 75분(80분에서 마킹시간 제외)을 엄격하게 지키고 쉬는 시간 없이 쭉 달리는게 핵심입니다! 특히 2~3 진동이신 분들이요.
그러나 중요한 점은
실모를 꼼꼼하게 오답하면서 실력적으로 뭔가를 얻어가기 보다는
내가 낯선 문제를 풀면서, 수능장에서 어떻게 대비할지에 대한 '행동 양식'을 잡는 것이 주된 목표라는 겁니다.
특히 중위권 분들, 시간 배분은 물론이고 모르는 문제가 나왔을 때 넘어가는 연습, 80분 동안 집중력을 유지하는 연습(이건 기출로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등을 하라는 거예요.
기출은 하시던대로 꾸준히 분석, 오답 해주시고요. 실모는 비문학만 간단하게!
구조 분석이나 문법 개념 정리 이런거 전혀 필요없어요. 문학도!
2. 실모가 넘쳐나서 어떻게 처리해야할지 고민이신 분들
일단 본인이 고정 1이 아니라면 무조건 1번 루틴으로 회귀하세요.
자료를 다 못쓰는 한이 있더라도 1번을 따라가는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고정 1이라면?
역시나 1번으로 회귀해도 되지만 실전 텐션을 극대화하고 싶은 분들이 있으실겁니다.
그런 분들은
11월 둘째 주, 셋째 주에 1일 1~2실모를 하시면서 행동 영역을 구체화하세요.
저는 행동영역을 크게 3가지 케이스로 구분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긴 너무 힘들어서 간단히 말할게요)
출제된 지문의 소재와 난이도에 따라
비문학을 1개만 풀고 넘어가는 경우
비문학을 2개만 풀고 넘어가는 경우
비문학을 모두 넘기고 문학먼저 푸는 경우
뿐만 아니라 화작문에서 15분을 쓰는 경우. 20분을 쓰는 경우
문학을 20분 쓰는 경우, 23분을 꽉꽉 채우는 경우, 마지노선인 25분을 다쓰는 경우
이런식으로 내가 수능장에서 경험할법한 모든 경우의 수를 가정하고 거기에 대책을 세웠어요.
(저는 학평으로 했지만 요즘은 실모도 잘 나오는 편이라 이 시즌에는 정말 제대로만 이용한다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식으로 행동 영역을 실모를 통해 미친듯이 구체화하세요.
고정 1이신 분들은 이미 실력 자체는 완성되었을 확률이 높습니다.
남은 건 시험장에서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달린 분들인거예요.
단, 역시나 주의하실 점은
오답은 비문학'만' 간단히, 지문 분석과 같은 꼼꼼한 오답은 '절대 금물!'
이라는 겁니다.
실모를 괜히 오답했다가는 무의식적으로 체화한 본인만의 평가원스러움을 흐트러버릴 수 있어요.
그럼 왜 하필 11월 2~3주차냐?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마지막 주는 역시나 기출로 회귀하라는 것이 가장 큽니다.
항상 마지막은 기출이어야만 합니다.
특히 올해나 작년 모의고사나 수능은 꼭보세요.
물론 이 경우에 해당하시는 분들도 기출도 병행가능하다면 1일 1실모와 더불어 기출까지 봐주세요.
자료 만들다가 쉬는 시간 겸 급하게 쓴 칼럼이라 생략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질문해주세요.
시간나는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당
도움이되셨다면
좋아요 팔로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1수2를 동시에?? 이거완전럭키빗치잖아
-
이제 개념 한 바퀴정도 돌린거 같은데 내가 지금 어디에 비어있는지 한 번 보고싶은데...
-
의지가 바닥나서 강제성이 있어야 그나마 공부가 좀 되던데 잇올에 고등학생도 많이...
-
아이큐를 발현시킬 수 없다면 그냥 숫자에 불과한듯. 내가 그렇게 똑똑했다면 수능도...
-
머리는 지끈지끈
-
나는 아이큐가 지능이 아니라 잔머리같음
-
선배가 말아주는 .
-
듣기풀면서 43 44 45 18 19 20 일치불일치 +어법 되면 풀고 21 22...
-
아이큐 테스트 3
링크 줄 사람 방금 와서 못찾겟어요
-
님들도 경제단 합류
-
타고난거 감안해서 메타인지 발휘하여 사탐하자
-
그게나야
-
80정도 일듯
-
수악2 왜 이리 어려움 11
빨리 어느정도 완성하고 미적하려는데 수2가 계속 안 되니까 미치게슴
-
으하하
-
아이큐질문..! 3
제가 최근에 아이큐 테스트를 했는데 114가 나왓어요 이정도면 수능으로만 봤을때...
-
덕코주세요 6
네..
-
1. 단어 40개 암기 2. 기출 하나 풀기 3. 오답 끝 단어 암기법)...
-
수능.. 특히 과탐 못하는데 기여한 능지
-
흠
-
옹..ㅜ 3
-
인강 듣기 0
뭔가 인강으로 공부하는걸 이제 깨달은거 같은데 어쩌지,, 뭔가 제대로 인강을 활용할...
-
4시반부터 3
공부해야지
-
나름 고점 높다고 생각했는데 120/120s인 사람보고 지능의 한계를 느낌
-
풀면서도 내가 이걸 어캐 풀엇지 싶음 머리 한쪽에선 풀고 한쪽에선 멍때리고 잇음...
-
아이큐 테스토 10
-
질문받아주시는분있나요?
-
그때가 138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지금은 떨어졋으려나.. 그때는 주변에 140대잌...
-
혹시 구성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알려주실수 있나요?
-
개념 + 유형별 기출문제집 회독을 해서 문제들이 어느정도 눈에 익었습니다.이미 제가...
-
꼭 뉴런 들을 필요 없나요??
-
마지막.. 비싸요
-
문디컬어떤가여 0
사실 메디컬 공대 그냥 이과계열을 가고싶어요 작수 언매 미적 생 지 2 3 2 2...
-
웩슬러 안해봣지만 16
처리속도는 개망할듯 암산테스트 32의 사나이임
-
국어 현강 ebs 자료 이런거때문ㄴ에 김승리 현강 다닐까 했는데 인강이랑 큰 차이...
-
다들 똑똑하네 26
나만 또 지능도 외모도 여기 평균도 안되지
-
ㄹㅇ임뇨
-
이번에 안암 올라가요 ㅠ
-
수능공부를 딱 저거한 만큼 열심히햇단뜻 아닐까요
-
수시 동국대 0
경영학과 목표인데 동국대식 1.4에 생기부 평타면 많이 어렵겠죠? 전부 다 경영으로...
-
오늘도선방 1
ㅈㄱㄴ
-
ㅂㅂ 6시 전까지 들어오면 나 게이임 ㅇㅇ
-
ㅈㄱㄴ
-
난 1나옴 11
하
-
너무 낮게 나왔다고 상심하지 마시고 너무 높게 나왔다고 공식적인 석상에서 말하고...
-
난 8나옴.. 6
하..이거맞노
-
내신 3.3따리 작년국어수능집모7등급 수학3-4따리가 이만큼이뜬다고?
와드!!
좋은글 감사해요 ㅎㅎ

샤뱃 ㄷㄷ영광입니당읭???
저 허순데 ㅠㅠ
ㄱㅁ!
믿씁니다아아아

고마워용기출 오답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하시던대로 하되, 저는 요즘은 지문 분석도 하되 선지가 뭘 물어보는지에 조금 더 초점을 맞춰서 공부하시는 걸 추천드러요! 이건 나국어님 선지 분석 칼럼을 읽어보시면 좀 더 감이 잘 오실거예요.
심프님 제가 실모 살 사정이 안 되는데 옛날 기출들을 시간 빠듯하게 재서 푸는 건 도움이 안 될까요?!
옛날기출보단 2016 10월 ~ 2019 10월 학평 + 예비시행을 돌리는 걸 추천드립니당
감사합니다!

제대로 하구 있었네요 감사합니다
멋져요! 좋은결과 기원..
팔로우 할게요 씹갓
사랑함니다기출을 너무 많이 봐서 답이 다 기억이 나는 상태라면 어케 해야 할까요....?
그리고 기출 한 세트씩 말고 비문학 문학 따로따로 해도 괜찮나요..?
답이 기억나더라도 그 근거를 하나씩 따진다는 느낌으로 접근하세요! 그러다보면 이전에 알던 근거랑 또 다른 풀이가 보이기도 해요. 그러면서 실력이 늘어나기도 하더라구요. 저는 일단 따로 풀기보다는 한세트 추천드립니당
오오 빠른 답변! 감사합니다!!

화이팅임니다.. 그럼 저는 다시자료만들러 ㅎㅎ문학은 진짜 기출이 중요하죠.. 저도 감 찾으러 돌아갑니다 화이팅
기출무새 ON ! 화이팅하세용
자기전 추천 누르고 내일 아침밥 먹으면서 볼게오 :)

ㅋㅋㅋ넹 푹 쉬셔요실모들이 간간히 문법에서 과하게 물어보거나 지엽적인 부분들이 있어서 전 비추천해요
이게맞다

케인추 고마워요수능 전까지 올해 69평+ 작년 기출에 집중하고 그 이전기출들은 모르는 것만 복습하는 식으로 해도 되나요?
그것도 괜찮습니다만 45문제 세트를 추천드리긴해요.
전체적으로 5개년정도는요!
스크랩 해놓겠읍니다 유용하게 적용할게옹

도움되시길 바랄게요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다른 과목은 몰라도 국어만큼은 정말 기출이 진리인거 같습니다.
잘읽어주셔서 감사해요 ㅎㅎ 기출 중요한건 인정 또 인정입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근데 공부하면서 최근에 느끼는게 문학을 어떻게 분석해야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다른 분들은 어떻게 분석하시는지 알 수 있을까요
저는 선지 판단의 근거를 <보기>랑 텍스트 그 자체에서 찾아요. 걔네들을 기준으로 잡고 거기에 어긋나는 선지들이 틀린거라고 판단하는 식으로 분석해나갑니다
오.. 개연성의 선지판단은 후로 미룬 후 텍스트와 <보기>에서 일치 여부를 판단하시는 거죠?? .. 저는 모든 문제(형식상 제외)를 <보기> 와의 내용일치 문제로 여기고 푸는데 제가 하는 방식이 비슷한 결이 맞나요??
그리고 진짜 마지막으로 죄송한데 기출은 최근것부터 프린트해서 보면 될까요? 아니면 빨더텅같은 책을 사서 하는게 좋을까요
네 저도 그런느낌을 풀어요
크게 상관없을거같아요.
저 하루에 국어 3시간 30분 정도 하는데요 지금 공부가 하루는 마닳 1회분 분석하고 ebs문학이랑 ebs문법 정리하고 있고 그 다음날은 이감 or 한수 1회분 풀고 ebs문학정리 ebs문법 정리 해요 하루하루 맨날 번갈아가면서 이렇게 하는중이네 루틴 ㄱㅊ은가요?ㅠㅠ 국어 꼭 2 맞고 싶어요
문법은 EBS보다 개념회독 + 기출분석이 낫지 않겠나 싶습니다. Ebs에서는 이중모음화부분만 좀 공부해도 충분하다고 생각해용
문법은 나름 정리된것 같아서 최근에 ebs 풀고 있었어요 수능 2주전에 백지복습 쫙돌리고 기출 마지막으로 보게요
하루 사설 하루 기출 이렇게 하는거 나쁘지 않나요?
Ebs 문학 주요작품은 맨날 봐요
2등급 목표시면 2일 1실모는 비추천합니다. 최대 1주 2실모, 추천은 1주 1실모 or 사설 안풀기에요.
실모를 2일마다 푸는건 아니구요 한수달 이랑 간쓸개 있어서 그거 풀고 있눈데 지금 시점에서 그럼 마닳 분석에 더 초덤을 두는게 좋다는 말씀이시져?
네넹 저는 이 시점에서는 실모랑 기출로도 충분하다고 봐요.
물론 개인적인 제 생각입니다 ㅎㅎ
기출이 왜 중요한거에요??
누군가에게는 그게 수능이자 모의평가였기 때문이죠

제목보고 흠칫했는데 어그로 좋습니다성공!
고정1의 기준은 뭔가요? 올해 다 1나왔으면 고정1인걸까요?
네 고정1이십니다
학평도 기출인가요..?
평가원 기출을 보통 그냥 ㄱ기출이라고 부르긴해요
네맘속저장
선생님 한수 8회차 지지난주인가에 끝났고 기출은 지금 피램슨생님 기출 마무리 커리로 마무리하면서 집중하고 있는데 실모 어떤게 좋을까요,,.추천 좀 해주세요ㅠㅠ엉엉ㅇ...
남은 한수 주 1회만 하셔도 괜찮을 거같아요. 꼭 더풀고 싶으시면 이감푸시구요
통으로 봐야하는 이유 알수있을까요?
45문제 80분동안 집중력을 유지하는 연습이죠
실모 많이 남아서 2일 1실모 하고있었는데... ㅜㅜ기출은 피램 기출마무리만 하고있는데 실모를 줄이고 기출을 더 늘려야할까요?
제 학생이셨다면 줄이라고 했을 것 같아요.
45문제 체제에 익숙해지는 연습을 하라는 뜻이었어요. 그리고 그렇게 하면 기출로 행동양식을 연습할수도 있구용
1~2시면 ebs괜찮아요. 센츄시니까 괜찮겠죠?그런데 기출분서 해둔걸 다시 보는건 비추천해요. 전 다시 스스로 풀고 분석하면서 사고과정을 익히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서요 ㅎㅎ 내가 분석한 지문도 다시보면 새롭게 보일수도 있고 그풀이가 기억이 안날수도 있거든용
시간만 된다면 괜찮은 것 같습니다 ㅎㅎ
그럼 실모풀때 문학오답은 안하는건가요?
네 저는 항상 문학 오답은 비추천해요. 한번씩 과하다는 느낌이나 애매하다는 생각이 드는 문제들이 있더라구요
기출에서의 선지를 볼 때 이 선지는 내가 도저히 기억해낼 수 없다, 그래서 두개가 남을 거 같다, 바로 답 못 고를 거 같다 (제기준 세부사항이라서 그런거겠죠??) 그러면 제 정보의 중요도에 어떤 문제가 있는건가요??
지문에 어디쯤 있었는지도 기억이 안난다면 문제가 있다고 보는게 맞고, 그냥 바로 안떠오르는 정도면 괜찮습니다. 그 모든 내용을 기억하기는 힘드니까요. 대신 중요한건 기억이 안날때 허둥대지 않고 빠르게 지문으로 돌아가는거예요
바로 안 떠오르는 정도가 대부분이에요 선지 5개 중 2-3개는 안돌아가고 처리 가능하고 나머지 2-3정도가 으흠... 맞는 거 같은데.... 이 느낌 정돈데 이때 어떻게 헤야할지 모르겠어요 맨날 허둥대요
그러면 선지가 물어보는 내용이 정확히 뭔지 판단하는 연습과 전체적인 지문의 흐름을 기억하고 바로 돌아가는 걸 신경써서 해보세요.
이감처분해야하는건가...파이널1차있고 한수 모다둔거있는뎅.....
꼭 제 방법만이 정답은 아니니까요 ㅎㅎ 하시는 방법이 맞다면 고수하셔도 됩니다. 단 저는 저렇게하는게 좋다고 생각할 뿐이에요.
Ebs (문학)인강 1시간 문법 1시간(인강) 비문학 기출(독학) 1시간하면
3시간인데 수학이 급해요.
구주연마같은 파이널 강의는 얼마 안남은 시점에 드랍하는게 좋겠죠?
넵 파이널은 드랍하셔도 좋겠네요. 그 분의 커리를 탄 학생이 아니라면 더 편하게 드랍하셔도 좋습니당
풀커린데 고민되네요 ㅠㅠ
컨텐츠에 필수는 없다고 생각해요.
일단 본인에게 뭐가 더 필요한지 스스로 고민해보시는게 좋겠어요.
기출 75분 맞춰 풀지않고 비문학,문학,문법 따로따로 보는건 비추이신가요??
넵 그건 별 도움이 안된다고 생각해요 ㅜ 중요한건 러닝타임 동안 집중을 유지하는거라..
화목토 실모하면서 행동영역, 집중하는연습하고 나머지는 문법문풀과 기출분석을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ㅠㅠ(6평까지 고정1이다가 9평 3뜬 학생입니다,,,,)
9평에서 성적이 떨어진 이유가 뭔지 잘 모르겠으나 우선 딱 드는 생각은 부족한 부분이
9평에서 드러났을 수도 있겠단 점이에용
제 생각엔 일단 실모비중을 좀 줄이시는게 나을거같아요.
1주 3실모예정인데 괜찮겠지요?
성적대에 따라 다르겠죠?ㅎㅎ

기출 답이 다 기억나면 어캐해야하나요?기만이십니다 선생님..
실모 안푸는 날은 기출 사설 반반비율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기출볼땐 비문학은 평가원이 어떤식으로 선지를 구성하는지 분석하고 저만의 표기방법? 같은걸 만드는 공부하고있고 문학은 보기를 바탕으로 근거 판단하고 선지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수능전까지 공부하면 될까요? 69평 백분위는 둘다 95입니다
실모 안푸는날 사설을 공부하신다는건 간쓸개같은 것들로 공부하신다는 거죠?
본인 스타일대로 해서 괜찮다면 꾸준히 하셔도 무방하지만 역시나 제 의견을 물어보신다면 굳이 사설을 추가로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요.
작년에 국어는 항상 1~2등급이 나오다가 올해 뒤늦게 반수를 시작하면서 9평에서 3등급을 받았습니다. 이후 피램 기출편이랑 간쓸개를 매일 하루치씩 풀다가 10평 2등급을 받고 이제 남은 기간 동안 공부 계획을 세우는 중인데
매일 아침 루틴처럼 리트 선별지문 1지문(피램 N제)+간쓸개 1일분(EBS 연계 공부용으로 문학/화작문만)으로 예열하고 주2회 사설 실모+주2회 기출 8절지(60분)로 현장 연습하듯이 풀려고 하는데 기출 45문제 세트로 푸는 비중을 좀 더 늘리는 게 좋을까요? 작년에 09학년도~19학년도까지 한번씩 풀어본 적은 있어서 기억은 어렴풋이 나는 정도입니다
+) 6, 9평 제외 올해 학평도 다 풀어보는 게 좋을까요?
1. 간쓸개 빼시고 기출보시는 거 추천드립니다. 주2회 실모면 충분해요. 실모가 많은게 아니라면 주1회도 좋습니다.
2. 학평은 굳이안푸셔도될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9평 국어 3등급을 받았던 학생입니다 실모는 아직 이감 off모의고사 10회분이 남아있고 기출은 남은시간 (18~20 3년치기출)+올해 6,9모를 집중해서 분석하는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글을 쭉 읽어보니 제 등급대에서는 실모비중을 줄이는게 맞겠구나 하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ㅠㅠ 그러면 이감은 4~10회까지 7개를 남기고 남는1~3회정도를 드랍하는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더 드랍해야될까요? 주 기출5회 실모2회로 잡고 공부하려고 합니다.
목표가 2등급이시면 괜찮고 도박성으로 1등급이라면 주 1회만 하시는게 좋겠어요.
작년 수능과 올해 6 9평 모두 1개씩 틀린 n수생입니다
학원에서 단체로 이감을 신청해 받아놓고 9평을 전후로 쌓아놨던 걸 풀었는데 난이도가 제게는 너무 어려워 평소 65분 내외로 풀던 페이스와 전혀 다르게 못풀거나 풀어도 틀리는 개수가 상당히 많았고 그때문에 페이스를 잃어 한 동안 다시 감을 찾지 못해 고생했습니다 그 이후로는 기출과 이비에스만 계속 반복해서 봤구요
이제는 감을 올려야 할거 같아서 모의고사를 어떻게 쳐야할지 고민하다가 학평 정도면 괜찮겠지 싶었는데 풀다보니 작년과 올해 학평을 합쳐도 별로 안되서 사설 실모를 조금은 건드려야 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글을 읽다보니 하루에 1~2개의 실모를 풀으라고 하신 부분이 있어서 고민이 되네요.. 2~3일에 하나씩 풀 생각이었는데 그건 너무 적은 걸까요? 어느 정도로 하는게 맞을까요 답변좀 달아주세요
2~3일만하셔도 충분합니다. 그리고 올해 학평보다는 1610~1910까지 학평이 더 나아요. 올해 학평은 개인적으로 퀄리티가 모자라다고 생각해서 ㅠㅠ
1일 1~2실모는 실모가 남아돌고 버리기가 아까운 상태에서 실전 감각 극대화를 위해 제대로 쓰는 방법 중 하나였을 뿐, 필수는 아니에요.
국어기출분석은 어떻게 하는건가요,.,,ㅜㅜ
너무 추상적입니다... 비문학은 일단 제가 올린 행정규제 지문 해설을 보면서 그런 방식으로 스스로 끝까지 고민하는 거라고 생각해주시면 될 것같아요.
문학이 전반적으로 어려워졌다고 생각하는데 14~20 기출에서 비슷한 맥락을 찾기가 힘드네요. 물론 출제방식과 선지구조는 과거와 동일하지만 선지의 "평가원스러움"이 과거와 달라졌다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오?
본질적으로는 바뀌지 않았다고 생각해요. 역시나 피램쌤이 강조하시는 허용 가능성을 따지는게 핵심이니까요.
얼마 전에 피램 기출 세권으로 10년치 기출을 모두 회독했고 원래 계획은 피램 기출마무리로 기출 정리하면서 주 2회 이감 실모 푸는거였는데, 각 영역별로 기출 복습하는 것보다 45문제로 푸는걸 추천하시는 이유가 뭔가요?? 얼마전에 해서 그런지 기출이 어느정도 다 기억이 나서 45문제로 풀었을때 실전 경험에 도움이 될지 잘 모르겠는데 조언 부탁드려요,,
위에서 말씀 드렸듯이단순히 문제를 풀고 맞추기 보다 시간배분 연습이랑 80분동안 화작문 15 문학 15 비문학 15문항을 풀때 집중하는 게 주된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국어9평에서 3등급인데요.(문법2,문학3,나머지 비문학 틀림)
1.지금 시점에서 기출을 최대 몇개년도까지 보는 것이 효과적인가요?
2. 문법은 파이널 인강 들으면서 공부하고 있고 이후 인강이 끝나면 문법N제를 푸는 것이 나은 것인지 아니면 다시 기출을 개념과 함께 자세히 공부하는 것이 좋을까요?
3.문학은 이비에스 본 것 다시 읽고 있는데 효율적인 이비에스 문학공부법은 뭘까요?
기출이 중요하다고 하니 검더텅 문학 고전시가나 고전소설쪽이라도 봐야하는지요?
4.비문학은 현재 일주일에 한번만 실모로 하고 있고 매일 구주 연마의 서랑 기출문제로 하고 있는데 더 추가해야 할게 있을까요?
최소 3개년, 권장 5개년 이상입니다.
문법N제는 저도 문제를 봐서 알지만 과한 감이 커요.. 기출+개념 추천드립니다.
EBS는 다독이 중요합니다. 암기보다는 지문을 눈에 익힌다는 느낌으로요. 특히 산문
분량은 큰 문제가 없습니다. 지문과 선지에 대해서 얼마나 고민하고 제대로 읽어내려가느냐가 중요하죠.
실모 풀고나서 못 푼 비문학 한 지문이 있으면 그냥 그 지문 가차없이 버리면 되나요? 그리고 실모 풀 때 이해 안되는 부분을 실모 끝나고 나서 오답할 때 얼마나 이해를 해야하나요? 그냥 한 번 대충봤는데 이해 안 되면 행동양식만 얻어내고 버리는 게 나은 건가요?
손도 못대셨다면 풀어보시길 권하는데, 혹시 성적대가 어느정도이신가요?
오답은 비문학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합니다.
행동양식은 무조건 점검하셔야 하구요!
6평 4, 9평 2에요..
국어 고정 1인 학생입니다. 홀수로 한 지문씩 7년정도 기출을 2번이상 봤는데 그 이전 기출을 학습하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이미 봤던 기출을 모의고사 형식으로 보는 게 좋을까요?
모의고사형식으로 보고, 고난도 기출만 따로 더 보시는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당
정말 여태까지도 궁금헸던 것인데, 기출 회독을 너무 많이 해서 첫 줄만 읽어도 지문 내용이 술술 나오고 문제 선지만 보고도 답을 찍을 정도여도 기출문제 풀이에 의미가 있을까요?? 3주간 매일 실모 하나씩 풀고 남은 1주동안 기출이랑 실모랑 섞어가며 다시 평가원에 맞춰가려고 했거든요..ㅠ
현재 성적대에 따라 다르겠지만 누구에게나 같은 건, 단순히 풀고 맞는 건 의미가 없습니다. 글을 어떻게 읽어나가는지에 대해 고민해야만 기출 학습에서 효과를 얻을 수 있어요.
오늘 딱 국어 1일1실모계획세웠는데 ㅜㅜ 이글봐서 너무 다행이네요 ... 작수부터 고정 1이긴 한데.. 일주일 4실모 3기출, 기출은 3개년 평가원만 하는거 괜찮을까요?? 기출 분석은 또 얼마나 자세하게 해야하는게 좋을까요??
차라리 2실모 4기출 하시다가 다음주에 1일1실모 달리시고 다시 2실모 4기출 체제로 돌아거시는게 좋을거같아요.
기출분석은 고정1이시니 하시던대로 하면 충분할거같은데요?
저도 사설안풀고 기출만회독해서 3등급찍었는데 주변애들 4,5등급인데 실모풀고있는거보면 이해불가에요...
인정합니다 ㅠ
문학 기출은 지금쯤 어떻게 보는게 좋을까요..? 뭔가 항상 공부하는 느낌이 안들어서요.. 평가원이 이렇게까지 했구나...그냥 지문과 선지 허용가능성 평가할때 그냥 그렇쿠나,,, 그러고 넘어가는 느낌이여서요ㅠㅠㅠ
허용가능성을 꼼꼼히 따져보세요! 지문 읽는 방법이 이미 체화되신 분이라면 그게 사실 문학 공부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생각해요.
글 감사합니다! 작수 2등급(1컷-2) 9평 3등급(2컷-1) 국어 때문에 반수 중입니다ㅜㅜ저는 몇주전부터 17 6평부터 지금 20수능 기출까지 한 세트씩 풀어왔는데요, 곧 한 바퀴 끝날 것 같은데 이후에는 17이전년도 기출을 보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17기출부터 다시 5개년을 보는게 좋을까요?
실모는 이감 주1회(+강대모고 강제로 격주1회)풀고 매일 구주연마주간지 풀고있는데, 사설은 이것 이상 말고 기출 세트 열심히 보는게 제 등급대에는 맞는 공부인가요?
제 생각을 말씀드리면, 구주연마 주간지를 빼고 옛기출을 푸시는게나을거같아용
수능 직전 삼일은 어떻게 보내는게 가장 좋을까요??
괜찮은 기출 3회차 뽑아서 풀고 분석할거같습니다. 행동양식 적용해보면서요.
남은 한달 동안 인강 +실모랑 기출 풀면서 마무리하려고 하는데요
마닳1로 최근 기출 4년치2회독을 했는데 마닳2(5,6년치)한번도 안풀어봤어요 근데
인강+문제집으로 어디서는 다 풀어봤을 거 같긴해요
마지막을 최근 4년치 기출 이미 많이 본 것을 3회독하며 끝내야 할까요? 아니면
마닳2로 약간 새로운 기출 풀면서 마무리 해야할까요?
성적대는 6평 2 9평 3입니다
뭘 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만 한달이나 남았으니 저라면 마닳2 풀어볼 것 같아요.
기출로 회귀할때 지문에 어떠한 표시없이 유기적으로 읽는게 최대한 머리로 얼마나 수용가능한지, 혹시 모를 눈알 굴리기(? 집중이 안될때=지문이 튕길때의 지문과 선지를 눈알로 매칭하는거)를 연습해보는건 별로 도움이 되지 않나요??
도움됩니다! 대신 주의하실 점은 기출은 반복된 상태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내용이 머리에 들어와있을 수도 있고 더 잘들어오기도 합니다. 그래서 기억력을 과신(?)하지만 않으시면 좋겠어요.
실모 다 치고 비문학 오답, 행동영역 피드백 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주로 얼마정도가 적당한가요? 이때까지 모든 영역 다 오답하고 그랬어서 시간이 많이 걸려서 고민이였거든요.. 등급은 3등급입니다.
저는 행동영역 피드백에 큰 시간을 안썼습니다. 그래서 그냥 문풀+오답+피드백해서 3시간이면 충분하다고 생각해요.
기출은 그냥 프린트해서 풀면 되나용..??
난 컨디션 안좋을때 보면 3뜨고 좋을때보면 높은 1뜸 똑같자너 ㄹㅇ ㅋㅋ
졸릴때보면 2끝이고 멀짱할때 보면 1이자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