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칸트 예술론: 칸트의 예술관은 도덕주의가 아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2786140
안녕하세요. 현자의 돌 임수민입니다.
이번 생활과 윤리 칼럼 주제는 칸트 예술론입니다.
시작합니다.
일부 선생님, 학생은 개정 교육과정에서 칸트가 도덕주의 예술관으로 분류되었다고 알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그것은 사실이 아니다.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 5종의 문화와 윤리 단원에서 칸트를 도덕주의로 분류하고 있는 교과서는 없다.
(2009개정 교육과정 교과서도, 2015개정교육과정교과서에서도 도덕주의로 분류하는 입장은 찾아볼 수 없다)
올해 연계교재인 EBS 수능특강과 수능완성도 칸트를 도덕주의로 분류하지 않고 있다.
생활과 윤리 천재 교과서 152~152p
"칸트는 예술의 본질은 예술 바깥이 아닌 예술 자체의 형식에서 찾아야 한다고 보았다.",
"외부 세상에 대한 모방을 배제한 순수한 형식만이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천재교육 『생활과 윤리 교과서 152p~153p]
그러나 칸트의 예술관은 도덕주의로 볼 수 없다.
칸트의 예술관은 올해 평가원 시험에 출제되었으며, 수능에서도 출제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정확하게 학습해야 한다.
[임수민, 『생활과 윤리 69평 분석서』 103p~104p]
현돌 생활과 윤리 칼럼
1. (생윤)베카리아의 종신 노역형은 범죄자의 '자유를 완전히 그리고 영구적으로 상실'하도록 하는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2786017
2. (생윤) 칸트: 형벌(사형) 집행은 선(善)이지, 필요 악(惡)이 아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2785920
3. (생윤) 칸트 예술론: 칸트의 예술관은 도덕주의가 아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2786140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기록해두고 무슨 음악을 좋아하는지 나는 뭘 좋아하는지 다 써두는데 인생 원래 다...
-
진짜 닉변될줄은 몰랐네;; 이런걸로 장난치면 안된다는걸 뒤늦게 깨달음
-
비와이 닮은 하반신 홀딱벗은 정신병자가 괴성지르면서 쫓아오는꿈..... 왜 이런꿈꾸는거지
-
국어공부법 0
고3문과여자인데요 어떻게 독하게하는지방법좀알려주세요 지금 국어7등급인데 방법좀알려주세요....
-
재수하러가요~ 생과 예비53번 빠집니다 헤헿
-
2,3,5 / 1,4 로 나누고 목적론 의무론으로 나누기는 했는데... 서론에...
수민님 오르비에서는 오랜만에 뵙네요...ㅎㅎ
오랜만이예요. 국어 관련 칼럼으로 활동하시는 모습 멋지십니다 ㅎㅎ.
아무래도 국어 컨텐츠 주력이시니... 현자의 돌 연구원으로 복귀는 어려우시겠지요 ㅠㅠ
분석서 오면 열심히 공부할게요ㅎ
네 도움 많이 되실 것입니다. ^^
아직입니다. 시즌1은 풀어 보셨나요?
수능 기준
1컷 47
2컷 45
3컷 41
정도 잡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
현돌모 시즌1의 문항의 난도는 높은 편이지만, 워낙 실력이 좋은 학생들이 많아서요.
남은기간 분석서+메이저 인강실모면 충분할까요? 반수생이라 수완은 아직 못봤어요 ㅜㅜ
체화된 생윤 지식이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서 공부 방향은 다를 것 같습니다.
시간이 부족하시다면, 실모 푸실 시간에 수완 빠르게 보시는 편이 더 나으실 수도 있겠네요.
올해 69평은 둘다 50이었습니다
그정도 실력이시면, 수완 금방 보실 것 같습니다. 필요 없는 단원 스킵하시고 중요 단원 문항만 보시면 됩니다. 한 4시간이면 다 보실 것 같습니다.
넵 감사합니다~~~현돌님 수완 킬러적중 있는데 그거만 봐도 될까요??
아.. 네 거기에 수완에서 꼭 봐야할 내용 모두 정리되어 있습니다.
그것만 보셔도 됩니다.
도덕으로부터 독립되어있는데 도덕에 영향을 미치긴 한단건가용 이 무슨 말장난 ㅠㅠㅠㅠㅠ독립과 종속 생각나서 더 헷갈림
네, 모순적인 면이 있습니다.
칸트 스스로도 해명하지 못한 내용입니다.
교육과정에 들어 있는 정도로만 이해하시면 됩니다.
참고:
• 미적 체험을 통한 자유와 도덕의 전제인 자유는 서로 다른 것이기는 하지만 ‘이기적인 욕구에서 벗어나 있다.’라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그러므로 “미(美)는 도덕성의 상징이다.”라고 말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미는 도덕성의 실현에 기여할 수 있다.
[칸트, 『판단력 비판』]
• 칸트는 미의 판단과 선의 판단은 각기 고유성과 독자성을 지니고 있으나 미와 선의 판단은 그 형식에 있어서 동일하므로 상징의 관계로 연결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요컨대 둘 다 무관심적 태도를 반영하고 있고, 둘 다 보편적인 만족의 감정을 산출하며, 둘 다 타율적 힘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 자유의 체험을 내포하며, 둘 다 보편적인 타당성을 요청한다.
[윤영돈, 『다문화 시대의 도덕교육의 프리즘과 스펙트럼』, 이담북스]

오왕 감사합니당 ㅎㅎ남은기간동안 현돌님 커리중에 어떤거 보는게 제일 좋을까요? 반수생이고 9평성적은 50점입니다..
1)현돌모 시즌1 → 멘탈리스트님이 생윤에서 약한 부분이 무엇인지 확인
▶그리고나서 그 부분 학습으로 보충(필요할 경우 개념서 발췌 학습)
2)+ 69분석서 → 수능에 직결되는 69평 심화 학습
요래 해보세요. 효율성은 가장 높을 것입니다.
1)은 자신의 약점을 확인 후 보충하는 방향성
2)는 수능에서 가장 중요한 학습 자료인 올해 69평을 심도깊게 분석함으로써 수능 연계를 노림.
답글감사합니당 ㅠㅠ
실모 시즌2도 풀어볼 수 있었으면 좋겠네용 저렇게 진행해보겠습니다!
50점이신데.. 탐구보다는 국어랑 수학 공부하세용..
생윤은 수능에서도 50 받으실 수 있으실 거예요.
ㅋㅋㅋㅋ넵 감사해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