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보내는 오후1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2736609
산뜻한 나의 몸 전체를 누가 당겨버리는 기분. 아마, 나는 일어났나 보다. 시야에 몇 시간 전에 내 귀로부터 도망친 무선이어폰 1쌍이 침대 구석에 숨은 걸 보니 확신이 들었다. 추운 날씨. 조금은 더 잘까. 이불을 덮고 잠시 창문을 두드리는 바람의 소리를 듣는 것도 나쁘진 않을 것 같았다.
그러고 보니, 우울과 공황에 걸렸을 땐 바람이 두드리는 소리 마저 차단되었었다. 아침에 일어나는 순간, 지옥이라도 떨어진 듯 몸을 벌벌 떨고 있었기에. 어쩌면, 이 바람의 소리를 내 귀가 허락해주었다는 건, 내 뇌 속에도 점점, 행복 호르몬이 차기 시작했다는 방증일 지도 모를 일이었다.
바람 소리를 더 듣자. 그런데, 맞다! 오늘 해야할 일과 공부는 정해져 있지 않은가. 씻기는 씻어야 겠지 하며 슬며시 일어난다. 욕실에서 얼굴에 물을 뿌리며 곤히 생각에 젖어든다.
"오늘은 어떤 일을 먼저.."
당장 떠오르는 건 역시, 공부다. 그런데 또 다시 부메랑처럼 날 찌르는 질문.
"무얼 위해?"
그러고 보니, 친구놈들도 나랑 같이 다 바쁜 날들을 지새고 있었다. 군대의 시간, 직장의 시간, 학교의 시간, 학원의 시간. 그 종류만 다를 뿐, 그 공간 속에서의 그네들 삶의 변위는 증가하고 있었음을 난 간간히 인스타그램을 통해서 보았다. 내가 알지 못하는 군대 동기들과의 사진, 이름 모를 카페의 음료 옆에 놓인 과제더미 사진, 대학 캠퍼스에서의 연애 사진.. 다들 바빠 보였다. 글쎄, 가끔 그 어플리케이션에 모습이 비춰지는 지인들의 웃는 얼굴을 보아도, 결코 웃고 있는 것 같지가 않았다.
"결국, 너도 바쁘고 힘든 건 마찬가지 아니야?"
"그럼 무얼 위해 그렇게 살아가는 거야..?"
근데, 이런 질문을 바깥에서 하면 안 된다. 4차원의 세계에 빠져 살고 있는 놈이라며 욕을 먹기 일쑤니까.
그냥, 욕실에서 내 몸을 한가로이 적시는 중이라서 생각해 본 거야. 어차피, 이런 질문을 던지는 나도 바쁜 일상을 꾸리기 위해 움직이려고 하잖아. 이유따윈 잘 묻지 않으면서.
씻고 나니, 무기력해졌다. 그래, 오늘은 그냥 집에서 책을 보자. 그리고 지금 이렇게 결국 글을 쓰게 된다.
우울과 공황을 이겨낸 자의 특권이 난 이 여유라고 보고 있다. 그들을 내 삶에 끌어 당기며, 나는 한 가지 중요한 걸 깨달았다. 삶은, 내 중심대로 흘러가야 한다는 것. 오늘은 공부를 하는 것이 내 운명은 아닌 거다. 내 삶이 그를 허락지 않으니.
학점, 성적, 입시, ... , 직업, 취업 모두 중요한 가치이고 관념들이지만, 그것을 머금어야 하는 존재는 '나'임에 틀림없다.
내가 그들을 지금 받아들일 필요가 없거나, 어떤 준비가 안 되어 있다면 잠시 그들로부터 떨어지는 것은 잘못된 게 아니다. 대학 좀 늦게가면 어떻고, 학점 좀 못 받으면 어떤가. 이유없이 바쁘게 살아가는 삶보다, 이유를 만들어가는 느린 삶이 더 끌리는 요즘이다.
결국, 오후를 집에서 보내기로. 그리고, 오늘 갑작스레 다가온 그 무기력을 책으로, 운동으로 달래려고 한다.
간만에 내가 히나와 호다카를 펼쳐보았다. 날씨의 아이. 신카이 마코토 세계관은 참으로 기묘한 측면이 있다.
<너의 이름은>의 미야미즈, 타치바나. 모두 판타지 세계 속의 인물들이라지만, 실제 세계보다도 더 선명하게, 불편한 현실을 그네들로부터 볼 수 있다는 점이 그것이다.
내가 문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는 결국 그것 아닌가? 그렇게 따지고 보면, 국적은 달라도 신카이 마코토는 내 문학 선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명준을 직접 내가 도와줄 수는 없는 데도, 이명준의 이야기를 듣는 이유는, 주위에 이명준과 같은 청년이 있다는 최인훈 작가의 외침을 느끼기 위해서다. 그 과정에서 문학을 감상하는 능력의 성장으로 말미암아서 학점도 잘 딸 가능성이 있겠지만, 뭐. 그건 진짜 부차적인 것이다.
문학을 공부한다는 건, 결국... 이 세계를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힘을 기른다는 것. 그 다양성을 가능케하는 것이 공감이다. 나는 분명, 히나와 호다카에게 공감하고 싶었다. 기존의 세계 속에서 남다른 색깔을 만들어내고, 그 색깔대로 살아가는 소년과 소녀의 이야기. 나는 그렇게 적극적으로 자신의 삶을 이끌어가는 소년과 소녀가 있다는 신카이 마코토의 외침을 사랑한다.
느긋한 햇살이 창문에 부딪쳐, 나를 두드린다. 밝아지는 나무들, 동시에 그늘 진 나무들. 그래 보아야, 나뭇잎들은 모두 한가로우니 걱정하지 말라며 나의 시선을 컴퓨터로 되돌린다. 집에서 보내는 오후, 그렇습니다. 집에서 한가로이 보내는 오후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신카이 마코토 되게 좋아하시네요
별의 목소리는 보셨나요?
아직 보지는 못했네요. 별의 목소리는 어떤가요?
너의 이름은이 대중을 의식하고 정제된 느낌이라면, 별의 목소리는 날것 그대로의 감성이라고 할수 있죠. 감독의 취향을 더 잘 느낄 수 있는듯..?
그렇군요. 곧 시간을 내어 한 번 봐야겠어요. 신카이 마코토 세계관에 너무 매료되어서...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