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2] 생2 개념공부 시작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2312795
Airfrance 님의 2020학년도 수능 성적표
구분 | 표점 | 백 | 등 |
---|---|---|---|
한국사 | - | - | 1 |
국어 | 140 | 100 | 1 |
수학 가 | 131 | 99 | 1 |
영어 | - | - | 2 |
지구과학1 | 72 | 100 | 1 |
생명과학2 | 65 | 98 | 1 |
보통 이 시기쯤 되면 서울대를 목표로 하는 고2 학생들이 2과목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올해 수능 접수 인원을 보면 그래도 아직까지는 2과목 중에서는 생2가 가장 선택자수가 많은 것 같습니다. 그런데 막상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그런 분들을 위해 생2를 시작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까 합니다.
저를 간략히 소개하자면
2019학년도에는 현역으로, 2020학년도에는 반수생으로서 수능을 보고 현재는 가톨릭대 의예과에 재학 중입니다.
생2 성적은 2020학년도 9평에서는 47점(백분위 97), 수능에서도 47점(백분위 98)을 받았습니다. 둘 다 한문제씩 실수했네요.
I. 시작 순서
현재 생2 수능특강을 보면 크게 6개의 단원이 있습니다.
1. 생명과학의 역사
2. 세포의 특성
3. 세포 호흡과 광합성
4. 유전자의 발현과 조절'
5. 생물의 진화와 다양성
6. 생명 공학 기술과 인간 생활
많은 학생들을 처음 진도를 나갈 때 1단원부터 순서대로 나가는 경향이 있는데 별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1단원 생명과학의 역사는 나머지 단원의 개념을 공부하면서 여러가지 실험을 익히면 자연스럽게 익혀지는 게 많습니다. 그래서 시작부터 1단원 보는 건 매우 비효율적입니다.
그리고 처음 시작할 때 초심이 가장 잘 유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좀 빡센걸로 시작하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5단원 초반은 정말 쉽지만 생물의 다양성에서 동물/식물 외우고 하디-바인베르크 계산하는 것도 있어서요.
또 4단원과 6단원은 연관성이 조금 있습니다. 그래서 과거에는 같은 대단원에 붙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저같은 경우에는 생2 과외를 할 때
5단원>2단원>3단원>4단원>6단원>1단원 의 순서대로 개념 학습을 진행합니다.
II. 교재
개인적으로 수능특강에 수록되어 있는 개념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수능특강은 여러 종의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서술되어 있는 내용 위주로 서술되어 있고, 수능 연계교재로 출제 위원들이 참고하는 도서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인지 수특의 써있는 내용들을 읽어보면 과하지도 부족하지도 않아서 좋습니다. 일부 사설 교재들을 읽어보면 이런것까지? 싶은 내용들이 꽤 있어서요. 물론 수능에 뭐가 나올지 모르니 그런 개념들도 익혀두는 것도 좋지만 처음부터 그런 걸 시작해서 많은 내용에 압도될 필요까진 없다고 봅니다.
III. 진행 방식
수특의 강 단위로 개념을 익히고 바로 그 강의 문제를 풀면서 익히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수능완성 문제도 함께 병행하면 좋고요. 이 과정에서 ebsi 인강, 사설 인강, 과외 등을 활용하실 수 있으신 분들은 활용하시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사실 인강을 별로 좋아하지는 않지만 생2 개념 진도를 나갈땐 인강을 들었습니다.
IV. 추가적 개념 학습
그런데 수특의 개념만을 통해 문제가 100% 풀리지는 않습니다. 좀 추론 능력이 매우 뛰어난 극소수 분들은 하나의 개념만 익히고도 추가적인 개념을 이해하거나, 심화문제를 바로바로 풀 수 있는 경우가 있는데, 뭐 그건 정말 소수죠.
저같이 머리가 그렇게까지 비상하지 못한 분들은 그래서 문제를 풀고 ㄱㄴㄷ 선지 중에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채점 후에 해설을 보고 개념 노트를 하나 정해서 그곳에 필기해야 합니다. 나중에 거기에 적혀있는 내용을 여러 번 보면 좋습니다.
V. 개념학습 이후
I~IV의 방식으로 개념 진도를 끝냈으면 그 이후에도 종종 개념을 복습해주는 건 당연합니다.
그 다음에 해야 할 주요한 일은 '기출문제 풀기' 입니다. 생2 기출공부 방식은 다음에 적겠습니다.
질문 있으신 분들은 자유롭게 해주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존나 예쁘시ㅣ네
-
있다면 보통 이유가 뭘까요??
-
강점도 나고 약점도 나인데 굳이 감추고 가면써가면서 가짜 관계를 만들 생각이 없음...
-
초중고 사람들이랑 뭔가 느껴지는게 다름 무언가 보이지 않는 벽이 있다랄까
-
분명 비 안왔는데 나오니까 비오고 맞으면서 갔는데 건물 복잡해서 길 헤매고 막상...
-
자기 약점은 친구들한테도 말하면 안되고 부모님한테 말하는건 ㄱㅊ은듯 중고딩 친구들이...
-
자기 6
싫어
-
김승모 이감 상상 교육청 더프 전부 낮1 높2인데 어떻게 뚫지 평가원은 좀...
-
똥먹기 0
미소녀 똥 우걱우걱
-
저사실확통컨셉임 2
고1 수학 안 해서 경우의 수도 못 셈 ㅜㅜ
-
지구과학하지말걸 11
지금이라도생1으로바꿀가
-
쳇지피티 무섭노 1
~~강사 정신분석해줘 쳤는데 이모랑 거의 비슷하게 말함 크아악 의대는 여기까진가
-
6모 언매 2컷 노릴게요
-
담배한대의여유 8
우걱우걱
-
자기야
-
마음 많이 편해짐 히히
-
작수 미적 4등급 11
6모 미적 1컷 노려볼게요... 실패하면 확통할게요...
-
솔직히 친구들 달에 1-2번 만나면 충분하지않나
-
커뮤들 단체로 약빨았냐 시1발 ㅋㅋ
-
유케 유케 유케 4
키미와 이츠닷테 카가야이테이타
-
마이린 성적으로 정말 연대 가능한지 고속 돌려보고 왔는데 폭 나서 문과입시 전부...
-
쓰리썸 ㅇㅈ 8
레종 프렌치 "썸"이 3개니까 쓰리썸임 난 틀린말 한적 없음
-
오르비 안녕히주무세요! 14
오르비 잘자요~
-
기대된다
-
이 사람은 화투로 보면 자기객관화는 뛰어나지만 자존감은 낮은 사람이다. 그래서...
-
이과이고 공대희망하긴한데 평가원에서 항상 물리가 망해서 물리지구—>사문지구 이렇게...
-
별과 하늘을 좋아해서 星空(ほしぞら) 大空(おおぞら) 流れ星(ながれぼし)...
-
만화추천해줌 2
왕립 마법학원의 최하생~빈곤가 출신의 최강 마법사, 귀족뿐인 학원에서 무쌍한다~ 꼭보셈
-
무식해서 미안해
-
ㅅㅅ
-
20분 소요 작년엔 이 시험지도 어렵게 느꼈었는데
-
없을 줄 알았는데 너무 급하게 바꿔서 그런가 먼가 마음에 안 듦
-
축의금을 보내주세요 (˃̣̣̣̣̣̣︿˂̣̣̣̣̣̣ )
-
2020년이었나 처음 저지 이름 닉네임으로 정했을땐 얘가 이렇게 될 줄 몰랐는데 5
어느새 MVP를 2번 탔고 한번 더 탈 기세….. 한때는 너무 다쳐서 명예의 전당...
-
5만원권 쌓여있는거 보니까 이게 행복이구나 싶네 진짜루
-
오르비재미없네 5
탈갤
-
말해봣자내가바뀌는것도아니고 뭐 욕하는데이유도 마땅히없고 그냥나맨낳봐야하는데 그런감정...
-
김승리 풀커리 5
김승리 듣고 있는데 그냥 많이 푸는게 더 좋을 것 같아서 ebs랑 아수라만 듣고...
-
난요즘투데이 13
100 안넘는날이 허다함 옛날엔 매일 200넘겼는데
-
憧れ(あこがれ) 동경한다는 뜻이에요
-
왜 저번주보다 더 힘들지 체감상 8시에 풀기 시작했는데 이제 한문제 남김ㄷㄷ ㅈㄴ...
-
숏컷이라닛
-
오늘 투뎃 뭔일이지 11
-
그거랑 츠바사 둘이 진짜 너무 이쁘다
-
2022년 7월: https://orbi.kr/00057971264 2022년...
-
마이린 연대 12
마이린 연대 정시성적이 국어(언매)높2 89/ 수학(확통)2 / 영어1 /세지1/...
-
과자골라 3
ㅇㅇ
-
김승모 1개남았는데 머사아지
-
뉴욕/애틀란타/마이애미 이런데 경유하면 우루과이도 1회 경유로 커버칠수 있구나
-
작년과는 다르게 올해는 중복지원이 불가능해서, 응시할거면 저 둘중에 하나 선택해야...
생2 실모 괜찮은 거 추천부탁드립니다
대치 가실 수 있으시면 시대 서바
아니면 Uaa도 그에 못지않게 되게 좋아요
지방고 긱사생이라서 대치는 못갈 것 같은데ㅠㅠ uaa 다 풀었는데 딴 건 없을까요?
오르비북스에 몇몇 실모 올라오던데 그거하고
대성마이맥 메가스터디 이투스 이런데서 생2 하는 강사들이 내는 실모 한번 찾아보시면 꽤 있어요.
머리가 비상하지 않..?
ㄱㅁ

아닙니다... 진짜 머리좋은 사람들 봤는데 많이 다르더라고요...아냐 ㅠ
2과목 매우 고민중인데 생2는 기본적인 암기량이 많고 각 유형별로 익숙해져있어야하며 킬러는 매우 복잡하다고 들었는데 맞나염,,,?
1. 과탐중에 암기량 많은건 사실입니다. 다만 올해 교육과정이 바뀌어서 6계중에 4개가 통째로 빠지고 광합성 호흡도 줄이고 현미경 빼버려서 크게 부담을 갖지는 않아도 될것 같아요...
2. 킬러 음... 이건 너무 개인 편차가 심해 뭐라고 단언하기 어렵네요. 다만 저는 생1보다는 생2 킬러가 나았어요.
더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물어봐주세요
과탐 요즘 되게 고민중이거든요 ㅜㅜㅜㅜ
물2는담임쌤이 말리고싶어하시고 지2는 해봤는데 정 아니다 싶어서
화2나 생2중에 고민중인데
화2의 계산vs생2의 암기,논리 로 고민되는 부분이라 생각드는데
혹시 생2 결정 쉽게 내리셨나요??
너무 고민되어 주저리주저리 써봅니다,,
물투는 진짜 물리 엄청 잘하는거 아님 말리고 싶고요
숫자 사칙연산 계산 빨리하고 양적관계 파악 잘하고 식을 잘세우면 화투
생각하는 논리퍼즐 좋아하고 문자열암호 이런거 잘하면 생투
이렇게 추천합니다
비킬러는 항상 다맞는데
샤가프 하디 코돈 이 세개 남기고 15분쯤
남습니다. 하지만 15분동안 1개도
풀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금 시점에서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킬러 문제 위주로 푸시는 공부가 필요해보여요.
샤가프/코돈/하디/생명공학 이 문제들 위주로 풀어보세요
생2 개념강의 누구껄로 들으셨나요?
헐... 지금 봤네요... 늦게 답줘서 미안해요
저는 개념인강 하나만 봤고 ebsi 박기웅 선생님꺼 들었어요.
감사합니다!!
처음 공부하는데 ebs개념완성이랑 수특 같이 보는 건 어떨까요?
그거 좋아요. 저도 그러긴 했어요
생명과학2 하다가 암기량 많은 생물의 다양성 파트는 나중에 한번에 암기하면 안되나요?
암기해놔도 1주일이면 1단원처럼 휘발될 것 같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