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평 국어 22번 이의제기에 대해 + 은밀한 재정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2306916
얼마 전 22번에 대한 이의제기가 있다는 이야기를 들어
그 이의가 타당하지 않음을 간단하게 설명하고자 합니다.
+수험생은 그냥 재미로만 읽을 것
이의제기 내용
지문에 근거하면 모방론에서 예술 작품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1. 대상의 재현이여야 한다.
2. 그 재현이 닮은꼴이여야 한다.
라고 볼 수 있는데 2번 선지는 재현하기만 하면 예술 작품으로 인정한다고 했으므로 2번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해 틀린 선지가 될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지문에서는 재현뿐 아니라, 그 '재현이 닮은꼴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예술로 인정받기 위한 것이었는데,
2번 선지에서는 재현하기'만'하면 예술이라고 했으니
보조사 '만'을 잘못 써서 틀렸다는 얘깁니다.
그럴듯하죠? 그러나 이 이의제기가 타당하다고 보지 않는 이유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지문의 '재현'과, 선지의 '재현'은 다릅니다.
지문의 문장을 다시 보죠.
모방론은, 대상과 그 대상의 재현이 닮은꼴이어야 한다는~
여기서 '대상'은 뭐고, '그 대상의 재현'은 뭐죠?
네, 맨 윗줄을 봤다면 알 수 있듯
'대상'이 자연이고 '그 대상의 재현'은 예술입니다.
(이런 읽기가 잘 안 된다면 https://orbi.kr/00031467438)
지문에서 명사로서의 '재현'은 그냥 '예술 작품'으로 치환하여 읽어도 됩니다.
그럼 2번 선지에서의 '재현'은 어떨까요?
여기서 동사로서의 '재현'은 '모방'과 같은 말입니다.
'모방을 필수 조건으로 삼지 않는 낭만주의 예술가'가
'대상을 재현하기만 하면 예술 작품으로 인정하는'='모방을 필수 조건으로 삼는'
모방론자에게 충분히 할 수 있는 말이죠.
여기서의 '모방'은 재현의 투명성 이론이 전제된 것이고,
선지의 '재현'은 '닮은꼴'이 이미 가정된 것이라 읽는 것이 문맥상 옳습니다.
거시독해가 안되는 상황에서 너무 미시독해에 힘을 쏟으면 안되는 이유입니다.
아니 선생님, 지문하고 문제에서 같은 단어를 다른 뜻으로 쓴다는게 말이 되나요? ;;
유감이지만 말이 됩니다.
기출을 통해 예시를 볼까요?
15 6월 B형입니다.
처음의 '관계'는 명제들 사이에 갖는 정합적 관계인데,
이 '관계'가 뭔지를 정의하는 것이 '모순 없음'과 '함축', '설명적 연관'의 세 입장입니다.
두 번째 '관계'는 '모순 관계'로,
두 명제가 갖는 논리적 관계를 뜻합니다.
세 번째 '관계'는 앞선 '관계'와는 무관하게
우리가 일상적으로 쓰는, '의미상 관련이 있음'의 의미입니다.
선지를 볼까요?
이거 맞는 선지였습니다.
정합설은 '모순 없음'이 포함된 상위 개념인데,
'모순 없음'은 지문에서 '관계가 없는 명제들도 참이 될 수 있다'라고 했죠.
어? 그러면 관계가 기준 아닐수도 있는거 아니에요?
라고 말할 수 있는데,
'모순'이라는, '동시에 참이 될 수도 없고 또 동시에 거짓이 될 수도 없는 명제들 사이의 관계'는 쓰잖아요.
(사실 1번 선지의 관계는 정확히 말하면 처음의 '정합적 관계'를 말하는 것입니다)
같은 단어는 둘 이상의 뜻으로 쓸 수 있습니다.
같은 단어를 다른 뜻으로 사용하는 것이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국어'와 더 가까운게 사실이죠.
다만, 모평에는 이런 예시가 꽤 있습니다만 수능에는 이런 식으로 서술하는 경우가 거의 없긴 해요.
수험생들은 그냥 재미로 읽으시고 너무 깊게 들어갈 문제가 아닌 것 같습니다. ㅋㅋ
이런 부분에서 등급이 갈리는 문제는 더더욱 아닐 것 같구요.
그냥 제가 쓰고 싶어서 쓴 글이지만
혹시 재밌었거나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나 팔로우 부탁드립니당 ㅎㅎㅎㅎ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파이팅하고 ㅇㅇ
-
절경을 보고 싶어
-
탈릅함 6
한의대합격하고 꼭 돌아올게요
-
국어 강k 서바 2
국어 파이널 손창빈 라이브 대인라 이정수 분당정석민현강 3개중 하나 갈거 같은데...
-
예아 0
-
법지문 풀고 감동바듬
-
똥 마려움
-
귀여워
-
독서실 책상 나무결로 울퉁불퉁해서 실모풀때 암걸리는데 장패드는 시험지에 빵꾸날것같고...
-
보통 수업 몇 분 정도 더 하시나요?미리 버스 예약해야 돼서요 ㅠ
-
ㅇㅈㄹ ㅋㅋㅋㅋㅋㅋㅋㅋ
-
반갑꼬리 3
4시쯤에 돌아올게요
-
메할일 끝 0
세렌빼고 다함
-
아직도 침대임 ㅋㅋㅋㅋㅋㅋ 이제 일어나서 과제를 해야해
-
민주, SNS 수정한 이준석에 "처벌받을까봐 다급…버스는 이미 떠나" 6
더불어민주당이 오늘(25일),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가 뒤늦게 자신의 페이스북...
-
이미지 팔에 문신있음
-
요즘 좀 그렇게 빡세게까진아니고 설렁설렁? 계획도 적당히 짜놓고 했는데 6평도...
-
정교사가 뭐지 7
오르비 과외에 정교사라고 올리신분이있는데 보통 일반적인 경우의 교사(공무원)는 투잡 불가능하지 않나
-
한끼에 4천원인데 수요가 있는게 신기하다.. 나는 걍 편의점가서 컵라면먹고 물은...
-
제가 아직 n제를 평가할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전문항 해설강의에 감동받아서 몇...
-
시간 나눠서 같이 들으신 분 구합니다
-
우헤헤 1
이히 히히
-
우앙
-
프사어떰 3
핑까좀
-
화작 확통 생윤 사문 기준 현역: 46345 재수: 25223 논술 최저러였고,...
-
5덮 수학만 풀어봤는데 10
난이도가 어땠나요? 수능표본이면 1컷 어느 정도로 나올련지요
-
스탠다드 2회 2
풀어본 사람들 후기좀 1회보다 더 어렵던데
-
K-적화로 여자면 꿀보직 들어가서 에어컨 쐬며 앉아있고(남자는 자연스레 헬보직에만...
-
심심허네요..ㅜㅜ
-
"키 클수록 학업 성적 더 높았다...수치보다 상대적 키 더 중요" 14
키가 클수록 학업 성적이 더 좋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공개됐다고 IT매체...
-
인문계인데 과탐선택해도 될까요? 꼭 좀 알려주세요. 6
한양대 수준의 학교의 인문계 계열 학교를 가고 싶습니다. 원래 이공계를 가려다가...
-
대부분 현직가수지만 당시엔 가수되기전ㅇㅇ (이하이 부분만 노래 제목이 좀...
-
유튜브에도 관련 내용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1. 국어 준비물:...
-
기초개념부터 들어야할지 아니면 실전개념부터 들어야할지 고민중입니다.된다면 대성에서...
-
과외알바를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한 매뉴얼&팁입니다. 5천원 커피값에 미리 하나...
-
아니면 급전이 필요해서 구라를 치는걸까
-
영어 쓸게요
-
다음 칼럼 공지 1
"허락"을 받으면 이감아나 사설모고를 좀마니 깊게 리뷰할 예정
-
망한거 꼴 좋음 0
요즘 자료도 안쳐올리더만ㅋㅋㅋ 제보해도 안올린다는 말이 있던데 팩트였나보네
-
명문대가서 훈남선배랑 썸타는 상상을 하며.. ‘한남들이랑 만나지 않으려면 열심히 공부해야 해’
-
3.4.7 정답 부탑드립니다 3 162 4 2550 7 1440 나왔는데 맞을까요
-
심박수 올라가면서 존나 덥고 약간 어지럽고 멍하면서 글씨 안 읽힘
-
수능 슈우웃~
-
군수라 폰 시간이 넘 적음 그냥 기본개념은 다들었으니까 독학서로 할까요? 아님...
-
맨날 실모 풀때마다 다 구하고 더하기 잘못해서 틀리고 중간중간 잔계산실수가 많아서...
-
쌤 춤춰주세요 6
노래불러주세요 애교부려주세요 수업 졸려죽겟음
-
국어 커리 질문 0
5등급이고 국정원하다가 문학시간이 안줄어서 바꾸려하는데 문학은 강기본 들으려하고...
저 말고 다른 사람도 이의제기 했나요 선생님?
쪽지는 안 왔는데 찾아보니까 좀 있더라구여 ㅋㅋ

와아앙 어려운거다
추민경저거 제거 읽어보셧나용 ㅎㅎ
앗 이 얘기 심프님두 하셨나요
필요충분조건으로 받아들였는데 맞나요?
'대상을 재현하기만 하면 예술 작품으로 인정하는'은, 재현을 예술작품으로 인정하기 위한 충분조건이라는 서술 아닌가요? '만'이 '~이어야만' 꼴일 때는 필요조건이지만, '~하기만 하면'일 때는 충분조건의 강조니까요.
자기참조적(?)이긴 하지만, 'A이기만 하면 B이다'의 해석에 대해서는 제가 아래에서 정리한 적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xlu0m54pCEE
넵 저도 충분조건이라고 생각합니다! 본문에서 낭만주의 사조와 모방론을 대비시켜서 읽는 것을 강조하려다보니 표현이 엄밀하지는 못했던 것 같습니다. 지적 감사합니다 선생님:)
제가 이의제기 게시판에서 봤던 이의제기 취지는 대략 다음과 같았습니다.
1. 지문에서 모방론은 모방을 예술의 필요조건(필수조건)으로 본다.
2. 22번의 ②는 모방론이 재현을 예술의 충분조건으로 주장했다며 비판한다.
3. 따라서 22번의 ②는 허수아비 공격이의 오류이므로 적절한 평가/비판이 아니다.
저도 해당 문제에 대한 영상을 준비 중이었던 터라, 제 의견은 추후 유튜브 등에 올려보겠습니다. :)

챙겨보겠습니다ㅎㅎ 개인적으로는 저 이의제기 본 순간 과외 학생이 정합성 지문 질문 했던게 생각나서... 은밀한 재정의랑 엮어서 글을 써보고 싶었습니다. 해황쌤은 어떻게 해설하실지 궁금하네용정합성 지문에 대한 설명은 제가 이해를 못했습니다. '관계가 없는 명제들도 참이 될 수 있다'는 지문에서 긍정되는 것이 아니라, 귀류법 논증의 전제로서 불합리한 문제점으로 제시된 것 아닐까요?
‘모순 없음’이 ‘관계가 없는 명제들’도 정합적이라고 인정하는 것이 fact이자 문제점 아닌가요? 여기서의 ‘관계’는 지문의 다른 ‘관계’들과 다른 의미이구요.
관련 없는 명제도 참으로 판정하는 것을 수용할 수 없기 때문에 '문제'라고 표현됐다고 봅니다.
1. 정합적=모순없음 → 관련 없는 명제도 참으로 판정
2. ~관련 없는 명제도 참으로 판정
3. 정합적≠모순없음
이런 맥락으로 보면, '모순 없음'은 '정합적'이기 위한 필요조건일 뿐, 충분조건이 아닙니다. 즉, '모순 없음'을 '정합적'의 정의(필요충분조건)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정의인 '함축'을 살피는 것이고요.
물론 '모순 없음'이 참인 명제를 과다포함한다면, '함축'은 참인 명제를 과소포함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두 개념 모두 정합적의 정의로 기능할 수 없습니다.
저도 그 부분은 선생님과 똑같이 보았습니다! 다만 '관계'의 의미가 지문 내에서 다르게 드러남을 집중해서 보고 싶었습니다.
'모순'이 동시에 참이 될 수도 없고 또 동시에 거짓이 될 수도 없는 명제들 간의 '관계'라고 제시되고, '모순 없음'에서도 이 모순/~모순의 '관계'가 사용이 된다고 했는데, 지문에서는 '모순 없음'의 정의에서 '관계가 없는 명제들'도 정합적으로 판단되는 것이 문제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뒤의 '관계'는 선생님께서 '관련'이라고 말씀하신 것처럼, 뒤의 '함축'과 '설명적 연관'에서 반영되는 부분이며, 지문의 앞에 나온 '관계'라는 단어와는 의미가 다르게 보입니다. '관계가 없는 명제들'로 지적되는 예시도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관계', '모순없음의 정의에서 정합적으로 판단되는 관계'는 지니고 있지 않나요? 제가 잘못 생각한 부분이 있다면 지적 부탁드리겠습니다 :)
'A인 관계', 'B인 관계'라는 표현에서, '관계'가 각각 A와 B에 의해 제한(구체화)된다는 의미라면 상식적으로 동의할 수 있습니다.
오늘 올렸습니다. :)
--
논리학 배워서 더 틀린 문제..
https://orbi.kr/00032891673
선생님 질문 드려도 괜찮을까요?
혹시 어떤 선생님을 가리키시는 건가요?

강대 김용현쌤도 이의제기 하시던데...재현하기'만' 하면~ 이길래
그런 내용은 없는 것 같다 하고 넘어갔는데
정답 근거가 복잡하긴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