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uHi7WBPYFtj9R [707157] · MS 2016 · 쪽지

2020-09-16 17:27:15
조회수 209

9평 문학 33번, 39번 질문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2179875

33번 4번선지. 결말의 지연을 위해 설정된 모순적 상황에 직면한다가 보기에서는 자기희생의 목적이었던 부친의 개안이 뒤늦게 실현되는게 결말의 지연을 위해 설정된 모순적 상황이라고 하면 눈이 뜨는 상황과 자식만 잃었사오니가 나오는 부분은 서로 다른 부분아닌가요.... 왜 틀린지 아직도 이해가 안 갑니다


39번 3번 선지는 그리던 님이 온다고한들 산을 보는 만큼 반가우랴라는 해석이 틀린건가요? 도대체 어디가 틀린건지요



제 실력 부족인지 모르겠는데 9평 문학 선지는 정제되지 못한 느낌이 

좀 강한거 같은데.. 저만 그렇게 느끼시는지 궁금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WongD · 971005 · 20/09/17 13:39 · MS 2020

    ㄹㅇ 39번 3번 이해를 못하겟음
    저도 님처럼 생각햇는데 도대체 왜 저게 적절하지않은 선지임??

  • 지학의 노예 · 804819 · 20/09/18 17:36 · MS 2018 (수정됨)

    저는 39번 선지 풀때
    (가) 글 보시면 두번째 문단에 "셋째의 경우 소원한 관계가 유지된다" 고 되있아요.
    첫문단에 해당하는 셋째는 " 자기와 외부세계를 상호적으로 대비하여 의미를 생성한다" 고 되있죠?



    근데 문제39번에 3번에 해당하느 내용은 님과 뫼를 약간 비교하는얘기인데
    나의 세계와 외부세계를 대비한 내용이 아니므로 저는 틀렸다고 생각햇어요

  • 지학의 노예 · 804819 · 20/09/18 17:39 · MS 2018 (수정됨)

    그리고 외부세계가 님이아니라 뫼에해당한다고 보았고 님에 견주었을때 뫼가 더 친화적이고 좋아보이고 감흥을 주는 대상임을 표현한거라고 생각햇어요



    이 문제에서 말한 ㄴ 외부세계는 화자가 작품전체에서 말하고자하는 대화하거나 생각하는 주제, 가치관과 관련이있다하잖아용
    그러니까 외부세계는 자연이 중심인거애요
  • 지학의 노예 · 804819 · 20/09/18 17:47 · MS 2018

    그리고 33번에 보기가 말하는건
    심청이가 개안을 목적으로 한 효를 실천햇지만 아빠옆에잇지못하게되는 모순적상황이 발생하지만
    개안이 바로 안 일어나고 뒤늦게 아빠가 눈이 떠지는 상황을
    결말의 지연으로 인한 모순적상황이라 해요.

    그래서 저기 심봉사가 말하는거보면 눈개안도 못하고 딸만 잃엇다. 날 죽여라 난 쓸데없는 놈이다.
    라고 하고있어요.
    즉 딸까지 잃엇는데 개안아직못함=결말지연 상황에 직면하자 그거에 자책한다.

    당연히 맞는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