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OODA LAB [440633] · MS 2013 (수정됨) · 쪽지

2020-08-25 14:55:23
조회수 7,922

주예지T) 더 이상 봤던 문제를 틀려선 안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782903

(196.4K) [389]

사관학교 30번 독설해.pdf

코로나로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와중에 지난 8월 15일에 사관학교 시험이 치러졌습니다. 이 중에서 괜찮다고 생각되는 문항에 대해 이번 달 칼럼을 적어보려 했지만, 올해 파이널 모의고사 집필로 인해 다소 늦은 시기에 칼럼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주예지T 수학 연구실 AJOODA LAB 입니다.


이번에는 나형 수험생을 위한 글을 적어보려고 했는데 나형 30 문항은 가형 수험생도 함께 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 문항과 기출 분석, 유사 문항에 대한 통찰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아주 익숙한 소재를 이용하여 출제되었다고 생각한다면 지금까지 기출 문제를 충분히 잘 학습했다고 자신을 토닥여주기를 바랍니다. 이 문항을 독해할 때, 함수 f(x)의 그래프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고, 조건 ()를 통해 접선에 주목해야 한다는 것을 파악하지 못했다면 지금 학습하는 것과 함께 기출 문제를 학습하는 것이 높은 학습 효율을 가져다줄 것입니다


특히, 지금 시기에 기출 문제를 풀 때는 유사한 문항에 대한 분석을 해야만 학습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유사하다는 말이 다소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다음의 분류가 필요합니다.


1. 쌍둥이 문항 : 두 문항 A, B의 풀이가 전체적으로 동일한 경우
2. 부모 문항 : 문항 A의 풀이가 문항 B의 풀이를 포함하는 경우, 즉 문항 A가 여러 개의 문항 B를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경우
3. 형제 문항 : 문항 A의 풀이와 문항 B의 풀이가 부분적으로 동일한 경우, 즉 문항 A와 B를 각각 2~3개의 문항으로 쪼개었을 때 이들 중 쌍둥이 문항이 있는 경우


두 문항이 유사하네!라고 얘기할 때, 위와 같은 분류가 머릿속에 명확히 자리 잡고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은 새로운 문항 C를 해결할 수 있는가, 그렇지 않은가 에서 분명하게 드러나게 됩니다.


다시 사관학교 나형 30번 문항으로 돌아와 보겠습니다. 고난도 문항일수록 쌍둥이 문항을 발견하기란 쉽지 않기 때문에 주로 부모 또는 형제 문항을 찾게 될 것입니다. 어떤 수험생은 위의 문제를 읽고 다음의 기출 문제를 떠올렸을 겁니다.



이때, 이 문제는 나형 30번 문항과 형제 문항일 것입니다. (혹자는 나형 30번이 이 문항의 부모 문항이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다른 수험생은 다음의 문제를 떠올렸을 겁니다.



이 문제도 역시 나형 30번 문항과 형제 문항일 것입니다. 한편, 저희 강의의 수강생은 조건 ()를 읽고 다음의 문제를 떠올렸을 겁니다.



마지막으로 결국 30번을 풀어낸 수험생은 눈에 딱 보이지는 않지만 계산 과정에서 다음의 문제의 보기 ㄷ을 떠올렸을 겁니다.



이렇게 서로 결이 달라 보이는 형제 문항을 떠올리며 시험장에서 무의식적으로 나형 30번에 대한 해결 방향을 잡아나가게 됩니다


이제 위의 부모 또는 형제 문항을 이용하여 독설해 단계를 따라 사관학교 나형 30번 문항을 해결해보기를 바랍니다. 이때, 주어진 함수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두 함수의 차를 새로운 함수로 정의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이에 대한 저희의 해설은 첨부 파일을 참고하길 바랍니다. 특히, <Solution 2>를 완벽히 이해할 것을 권장합니다.


흔히 준킬러라고 불리는 문제를 풀 때 ... 본 것 같은데 왜 못 풀겠지?’ 라는 생각을 한다면 지금까지 읽은 내용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다시 말해, 익숙한 소재로 구성된 문항이지만 해결이 어렵게 느껴진다면 부모 또는 형제 문항에 대한 데이터가 머릿속에 부족한 것일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마주하는 문제는 아니어도 교육청 모의고사, 6월과 9월 평가원 모의고사, 그리고 Finale 주예지 모의고사 및 그 외의 사설 모의고사에 대해서만큼은 기출 문제를 통해 유사 문항에 대한 통찰력을 길러나가길 바랍니다.


머릿속에 떠오른 유사 문항이 저희와 같을 필요도 없고,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는 점도 함께 기억하며 부담 없이 유사 문항을 탐닉해보세요. 여러분도 자신만의 유사 문항을 찾기를 바랍니다. (그전에 좋아요와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마지막으로 Finale 주예지 모의고사 시즌1의 제작에 도움을 주신 인수·제헌 Contents 저자분들과 수많은 검수자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