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iOovAjXmw7dZ [666290] · MS 2016 · 쪽지

2020-07-31 12:11:01
조회수 992

수학 기출에 회의감이 들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390461

국어는 독해력 실력자체를 키우는데 치중되있으니까 

그 독해실력을 키우는 도구로써 평가원 문제가 아주 좋다고 생각하는데요,


수학은 유형적인 부분이 강하잖아요? 

수분감을 지금 풀고있긴한데.. 퀄리티가 좋으니까 다들 풀어라 하지만 어떻게보면

이번년 수능에는 100% 나오지않을 문제를 풀고있는거라고 또 생각이 들더라구요



정말 기출 모든문제를 완벽히 마스터하는게 좋을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mentr · 889220 · 20/07/31 12:20 · MS 2019

    저도 수분감 풀고 있는데 뭔가 머리가 좋아진다는 느낌은 들어도 수학 점수가 오른다는 느낌은 잘 못받고 있음 ㅠㅠ

  • 의대가고싶은지방러 · 425454 · 20/07/31 12:27 · MS 2017

    국어도 독서가 수능에 나오는 구조를 보여주지 그대로 내용까지 그대로 나오진 않잖아요 그거랑 똑같음 수학도 심지어 예전수능은27~ 28문제 였지만 요즘은 25문항까진 그대로 나옴

  • 2 0 1 · 940707 · 20/07/31 12:28 · MS 2019

    저는 킬러 문제들은 10번 이상 풀어봤습니다. 수능장에서도 결국 정말 몇몇 문제들을 제외하면 기출에 근거가 모두 있을 것입니다. 완벽하게 마스터하세요.

  • 마무리약점공략 · 661831 · 20/07/31 13:05 · MS 2016

    이거를 10년동안 강조해도 한번 본 문제는 다시 제대로 안보는 애들이 수두루빽빽

  • 마무리약점공략 · 661831 · 20/07/31 13:04 · MS 2016

    기출만 뒤지게 풀면 2등급은 나옵니다. 본인이 2등급 나오기 전에는 기출에 회의감을 가질 이유가 없고 본인이 2등급 이상의 실력이면 추가로 뭘 해야할지 감이 잡힙니다. 그땐 스스로 결정을 내려서 공부를 하면 됨. 2등급 이상인데도 기출을 풀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이 된다면 스스로 생각하기에 맞는 걸 선택하면 대체로 그게 맞는 길입니다.

  • aIiOovAjXmw7dZ · 666290 · 20/07/31 14:34 · MS 2016 (수정됨)

    (문과)안정적인 1등급 나온 다음,
    고정100 받으려면 어떤 방향으로 공부하는게 좋을까요? 킬러 커리의 많은 문제집을 양치기 하는 식으로 하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2권정도만 잡고 그 두권을 계속 반복하는게 좋을까요

  • 마무리약점공략 · 661831 · 20/07/31 15:02 · MS 2016

    92가 1컷인 시험이 평이한 난이도라 가정하면, 고정 100은 고정 1등급과 실력적인 갭이 보이는 점수보다 훨씬 큽니다. 고정 100을 받고 싶다면, 킬러문항을 제외하고 50분 이내로 해결할 수 있는 기본기가 필요합니다. 대충 적어보자면

    1. 풀이시간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스킬 또는 관점 (ex 등차수열의 합을 중간항을 이용하여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관점, 미분계수의 정의 꼴로 나타내어진 식에서 n중근 꼴의 인수가 포함된 식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관점, 넓이 공식을 이용하는 것, 비율관계를 이용하는 것, 삼차함수의 변곡점 점대칭 관점 등등)을 체화하여 단순히 푸는 게 아니라 지름길을 관통할 수 있는 기본기를 쌓아야 합니다. 스스로 이런 것들을 익히기 힘들다면 강사의 풀이나 관점을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위의 과정을 통해 일반4점의 소요시간을 크게 줄인 후에는 킬러문제를 대비하기 위해 각종 n제나 사설 모의를 본인이 소화할 수 있는 능력 안에서 최대한 소화를 하여 생소한 문제나 호흡이 긴 문제를 다루는 방법을 익힙니다.

    3. 수능에는 일반문항에서 생소한 문항이 몇문제씩 나오므로 킬러뿐만이 아니라 평소에 쉽게 나오던 테마에서 혹시 등장할 수 있는 복병문제를 염두해야합니다. (따로 대비가 힘들 수 있기 때문에 1번의 과정이 꼭 필요합니다. 쉬운 문제의 시간을 줄이는 게 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