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iOovAjXmw7dZ [666290] · MS 2016 · 쪽지

2020-07-25 10:24:39
조회수 602

쌍지리 하시는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1293816

한지가 세지에 비해 몇% 정도 더 많으신거같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한화이글스 · 888518 · 20/07/25 10:44 · MS 2019

    큰 차이 없다고 생각하는데요. 어차피 한지나 세지나 변별력 문제는 통계임

  • aIiOovAjXmw7dZ · 666290 · 20/07/25 11:17 · MS 2016

    한지가 훨씬 많다고하던데 아닌가봐요?

  • 한화이글스 · 888518 · 20/07/25 11:21 · MS 2019

    절대적 양은 다 많은데 결국 모든 단원이 하나로 연결되어서 많다고 안느껴져요.

    예를 들어 기후,강수,바람,자원,산업,인구 등에서 배우지만

    결국 서울하면 서울에서 중요한 포인트, 기후 강수 자원 산업 특징만 알면 됩니다. 모든게 하나로 합쳐지는거죠. 그리고 지리의 가장 큰 장점이 합리적 추론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간도 상당히 세이브할 수가 있죠

  • aIiOovAjXmw7dZ · 666290 · 20/07/25 11:31 · MS 2016

    아 한국지리는 도시별로 어디지역! 하면 그지역에 해당하는 위주로 주로 공부하게되나요?

  • 한화이글스 · 888518 · 20/07/25 11:39 · MS 2019

    그건 아니지만 계속 공부를 하게되면 저렇게 다 연결이 된다는 뜻입니다. 한국지리는 한반도 지형형성과정 부터 기후, 강수, 바람 등으로 이루어진 자연지리 파트와 인구, 자원, 도시, 관광, 지역성 등으로 이루어진 인문지리파트로 구성되어 있급니다.

  • 한화이글스 · 888518 · 20/07/25 11:42 · MS 2019

    자연지리에서 제주도의 형성과정, 제주도 기온강수바람, 제주도 토양, 제주도 용암지형 등을 배우고 인문지리에서 제주도 산업, 인구, 도시, 지역성, 자원 등을 나누어서 배우지만 결국에 나중에 복습하고 반복할 때는 자연지리 따로 인문지리 따로 하는게 아니라 그냥 제주도하면 자연지리 인문지리 등 전체가 연결이 되서 자연스럽게 떠오른다는 뜻입니다. 이건 제가 하는 학습법입니다. 강사들마다 다를 수 있어요.

  • 한화이글스 · 888518 · 20/07/25 11:43 · MS 2019

    그리고 세지와 한지를 같이하면 일단 주제가 다 똑같은 주제라서 익숙해서 훨씬 시너지가 좋죠. 그래프나 자료 보는 것도 거의 비슷하니까요

  • aIiOovAjXmw7dZ · 666290 · 20/07/25 11:45 · MS 2016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