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9 Lewandowski [790112] · MS 2017 (수정됨) · 쪽지

2020-06-24 06:02:19
조회수 3,115

얼마나 사고할 수 있는가(6평 과거제 지문 수정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0807057

기존에 올린건 제가 컨디션이 너무 병x일때 올린거라 다시 몇몇가지 수정해서 올립니다.




해설은 문단별 문장별로 나뉘어서 해설이 되어있고 지문은 언급되어 있지 않으므로 과거제 지문을 준비해서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문단 아래에 있는 맨 앞의 1. 2. 는 1번 문장 2번 문장을 뜻하는 것입니다.





1문단 


1.과거제는 능력주의적인 시험을 통해 관료를 선발한다는 제도라는 점에서 합리성을 갖추고 있었다고 한다.

 그럼 과거제 이전에는 세습적 권리 즉,not 능력주의적인 성격의 제도를 통해 관료를 선발했다는 건가?


2.과거제가 도입되어 높은 지위를 얻기 위해서는 신분이나 추천보다는 시험 성적인 더욱 중요해졌다고 한다.

  그럼 능력주의적 성격= 시험 성적 과 연결시켜 이해할 수 있겠다.

  그리고 과거제 이전의 세습적 권리=신분이나 추천과 연결시켜 이해할 수 있겠죠?



2문단


1.과거제 → 많은 사람들에게 사회적 지위 획득 기회 줌 → 개방성 제고 → 사회적 유동성 증대 이렇게 정리가 가능하다.

명확하고 합리적인 기준=능력주의적인 성격-시험 성적(구체화) 이렇게 연결시킬 수 있으며

과거제 이전에는 세습적=신분이나 추천 제도 → 소수에게 사회적 지위 획득 기회 줌 → 개방정 축소 →사회적 유동성 감소 이렇게 이어졌겠다.


2.응시 자격에 일부 제한이 있었다=비교적 공정한 제도였지만 완전히 공정한 제도는 아니였다 이렇게 이해 가능

  맥락상 기존보다 비교적 공정한 제도였으니 과거제 이전에는 응시 자격에 엄격한 제한이 있었다=신분이 중요했다로 유기적으로 연결 가능



3.여러가지 장치를 도입한것도 공정성 강화를 위한 노력을 보여준다고 한다.

  그럼 한가지 장치만으로는 공정성 강화가 안됨 즉 문제가 생겼다는거고 

  그걸 보완하기 위해 여러가지 장치를 도입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앞에서 나온것과 같이 과거제가 완전한 제도가 아니였다고 했으니

  아마 공정성 강화 문제를 완벽히 해결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maybe 현실적 차원에서 공정성 차원의 문제를 해결했을수도?




3문단


1.과거제 → 학습에 강력한 동기 제공 → 교육확대와 지식 보급 

즉 긍정적 효과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고 대충 뭉개자.

그리고 비교적 공정한 제도였으니 완벽하지 못한 과거제의 모습이 구체화 될 것이다.



2.긍정적 효과로 인해 긍정적 결과가 발생했구나~ 뭉개자


3.학습 내용은 → 도덕적 가치 기준에 대한 광범위한 공유 

 이것도 마찬가지로 앞에서 나온 과거제가 사회에 끼치는 긍정적 영향 정도로 뭉개서 생각하자


4.우리의 통념이랑은 다르게 탈락한 사람에게도 몇몇 특권을 주나보네~ 특이하다 ㅇㅇ

  그리고 중요한 것은 경쟁적 선발 제도가 가져오는 부작용을 완화하고자 하였다는것은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를 했다는것이지 완벽한 해결을 했다는 것은 아니다

  즉 과거제에는 비교적 공정(완벽한 공정은 아님)=1.공정성 문제 2. 경쟁적 선발 제도 특성상의 문제 등 의 문제가 있었음을 찾아낼 수 있다.




4문단


1. 그런 문제점들에도 불구하고 과거제는  세습적인=신분을 중시한=추천 제도 같은 기존의 제도보다 비교적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고 그로 인해 오래동안 지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2.과거제는 왕조가 변하더라도 동질적인 엘리트층의 연속성을 가졌다고 했으니 과거제 이전의 제도는 왕조가 변하면 엘리트층의 변하는 속성을 가쳤으려나? 예측해볼 수 있다.


3.과거제의 이러한 연속성은 관료 선발 제도 뿐만이 아닌 통치 제도에도 안정을 가져왔다고 한다.




5문단 


1..과거제를 장기간 유지하는것은 세계적으로 드물었다고 하는데  그럼 단기간 유지하거나 그마저도 하지 않는게 대다수였을 것이고 그렇게 흘러간  이유가 나올것이다.

  아마,과거제가 지닌 몇몇의 문제점들 때문에 그랬을려나?


2.아마도 이렇게 장기간 과거제를 유지하는 사실에 대한 놀라움이 전해졌겠지?


3.일군의 유럽 계몽사상가들은 학자의 지식 > 귀족의 세습적 지위보다 우위에 있는 체제를 합리성을 갖춘 것으로 보았다.

  하지만 일군의 유럽 국가들은 학자의 지식 < 귀족의 세습적 지위 체제를 갖추고 있을 확률이 높겠다.

  1.과거제를 장기간 유지한 나라는 세계에서도 드물고 2.그러한 사실을 본 선교사들은 이를 유럽에 전해 많은 관심을 불러 일으켰으니 자기들의 나라에서는 not 과거제의 성격을 띨 확률이 높았겠지.


4.이러한 관심이 사회제도에까지 영향을 미쳐서 경쟁이 도입되기도 했다를 보고 

 이 도입이 아까 앞에서 잡은 경쟁적 특성이 불러오는 문제점을 야기할수도 있겠구나

 라는 생각을 했으면 더 좋겠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