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회가싫어 [410199] · MS 2012 · 쪽지

2012-09-11 00:24:19
조회수 995

물리1 고정1등급이신분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056679

20번까지풀며 시간 얼마나 남아요??

저는 요번 9모평 시험 20번까지 (8,19,20번은 못푼채로) 23분걸렷고 못 푼 문제중19번을 푸니깐 27분이돼서

 마킹을하니깐 시간이 얼마 안남앗더라고요,..

결국 8번 20번은 찍엇거든요.. (결국 두개다틀려서 44점..)

 어떻게 하면 시간을 단축할수잇을까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abc · 355975 · 12/09/11 00:34 · MS 2010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하나는 역학에서 시간을 줄이는것이고 다른 하나는 전기&파동에서 시간을 줄이는 겁니다
    왠지 모순되 보이지만

    일단 역학의 경우 킬러2문제 정도를 제외하면 상당히 빨리 풀립니다
    일의개념과 에너지개념을 완벽히 이해하고 이것을 적절히 섞어가면서 푼다면
    킬러 두문제 이외의 시간이 걸리는 문제는 거의 없다고 봐도 되고
    킬러 두문제 역시 이런 개념을 잘 활용한다면 의외로 어렵지 않게 풀립니다
    오히려 전력을 정량적으로 계산하게 만드는 전기문제가 저는 가장 시간이 많이 걸리더군요...

    두번째 방법인 전기&파동에서 시간줄이기는 중상위권이 상위권으로 올라갈때 가장 많이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실질적으로 난이도는 역학>전기>파동이며
    문제수 비중역시 역학>전기>파동
    그리고 시간이 소요되는 단원 역시 역학>전기>파동 입니다

    전력소모를 정량적으로 계산해야되는 전기문제 하나를 제외하고 나머지 문제(대략 12문제정도 됩니다)
    8~10분컷으로 "정확하게" 푸는 연습을 한번 해보시는건 어떨까요?
    대개 이 문제들 10분컷을 방해하는 문제는 파동의 개념이 명확하지 않을때의 여러가지(특히 정상파의 중첩과 관계된 경우가 많습니다,혹은 굴절률 문제, 그리고 정말로 개념이 부족한 경우 물질파문제) 파동문제와
    가변저항 혹은 스위치와 관계된 전압&전류&전력의 크기비교문제가 되겠네요
    이경우 정량적으로 계산하는것이 아닌 단순 크기 비교문제의 경우는 빠르게 풀수 있습니다.

    요런 문제들을 집중적으로 공략해서 시간을 줄여보시는건 어떨까요?

  • 후회가싫어 · 410199 · 12/09/11 00:48 · MS 2012

    역시 저도 역학에서 시간을 젤 많이 잡아먹는것 같습니다

    두번째 방법 실천해 보겟습니다~~!!

  • **abc · 355975 · 12/09/11 00:52 · MS 2010

    계산 잘못해서 8~10분컷이라고 했는데 10분정도만에 풀어도 느린거 아니니까 걱정마세요...
    그리고 역학에서 시간을 잡아먹는건 어느 수험생이나 마찬가지이죠
    이것에 대한 돌파구가
    시간이 오래걸리는 역학시간을 줄이자
    라는 것과
    역학이외의 것에서 시간을 벌자

    요 두개가 됩니다
    첫번째 두번째방법 모두 다 잡아주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수능에서는 뭐가 어찌될지 모르거든요
    그리고 일과 에너지개념을 적절하게 섞어서 문제에 활용하는건
    최상위권 물리수험생의 필수조건이기도 하니까요....

    라고 말은하지만 저도 처음에 물리 시간 줄일때 두번째방법으로 줄였었죠... ㅋㅋ

  • 후회가싫어 · 410199 · 12/09/11 01:00 · MS 2012

    감사합니다!! 낼부터 당장 해봐야겟슴다 ㅋㅋ

  • 서울의대합격하자 · 410706 · 12/09/11 00:52

    역학 두문제~세문제 정도 저항이나 전력관련 한문제 정도가 시간 쓰게 만드는 건데요

    파동은 이미 빨리 푸실거 같고,,, 저항 기출 보시면서 자기만의 스킬 한번 익혀보세요

    윗분말씀대로 역학 에너지쪽에서도 아낄수 있구요

    작년 수능 19번 같은것도 발상에 따라 계산이 천차만별이죠

  • 후회가싫어 · 410199 · 12/09/11 00:57 · MS 2012

    정말 전기쪽 저항 생각하다보면 시간 금방 가잇더라고요,,ㅜ 특히 19~20번에 걸쳐잇는 킬러문제..

  • Obamaa · 302206 · 12/09/11 01:00

    전기저항쪽은 몇일 집중훈련 좀 하면 쇼샤샤샥 다 풀려버리던데요? ㅋㅋ
    역학은 아직도 쥐약 ㅠㅠ

  • 위급상황발생 · 384210 · 12/09/11 08:58

    근데 막상 문제 풀어보면 킬러 한 2개쯤 남기고 8~9분 남겨도 마킹제외하고 결국 킬러는 못풀겠더라고요.. 아 3년째 물리하는데 진짜 ㅠㅠ. 지구과학이나 할껄

  • sdijhg192 · 389063 · 12/09/11 09:22 · MS 2011

    작년 수능 때 19번, 20번 2개 틀려서 44점 2등급 뜨고 올해 6월, 9월은 다 맞은 반수생입니다. 사람마다 모두 다르겠지만 저 같은 경우는 작년까지는 문제를 무조건 순서대로 풀었는데 올해 방법을 조금 바꿔보니까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 같더라고요. 저는 맨 앞장을 먼저 다 풀고(1번~5번까지 정도의 문제들) 맨 뒷장으로 가서 19번, 20번을 풀고 18번부터 6번까지 역행해서 문제를 풉니다. 아무래도 19번, 20번 같은 문제들은 시간이 어느 정도 넉넉하면 문제가 잘 풀리는 반면 시간이 부족할 경우엔 평소에 생각 나는 것도 급한 마음에 잘 생각 안 나는 경우가 많아서요 ㅎㅎ 반면에 다른 문제들은 시간이 넉넉하든 부족하든 간에 훈련만 잘 되어 있으면 집중해서 풀 수 있죠.

  • **abc · 355975 · 12/09/11 13:57 · MS 2010

    이게 실력은 있지만 시간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매우 좋은 방법이 될수 있지만
    킬러문제를 크게 고생하지 않고 풀어낼 실력이 안되는 학생들에게는 꽤 위험한 방법이 될수 있습니다

    1~5번, 19번 20번 풀고났더니 10분남았어! 마킹도 해야되는데....

    같은 상황이 닥칠수 있기 때문이죠

  • sdijhg192 · 389063 · 12/09/11 15:10 · MS 2011

    맞는 말씀이십니다. 실제로 기본 개념이 부족한 경우에는 제가 말한 방법을 쓰는 게 오히려 큰 독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 점 짚어주셔서 감사하고 다만 위 글 쓰신 분께서는 이번 9월에서도 8,19,20번 빼고는 다 푸셨고 실제로 다 맞으셨기 때문에 제가 쓴 방법을 시도해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ㅎㅎ

  • kyoung93 · 385585 · 12/09/11 10:09

    저도 같은 고민하고 있는데...T.T 물리1 포기하려다가 위의 분들 댓글보고 실천해봐야 겠어요^^

  • 후회가싫어 · 410199 · 12/09/11 11:03 · MS 2012

    답변주신분들 감사합니다 다 시도해보고 저한테 맞는걸 찾아야겟군요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