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리필터 [865912] · MS 2018 (수정됨) · 쪽지

2020-06-08 22:47:11
조회수 1,648

16학번 연대 문과로 입학했는데 요즘 이과입시 질문드려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0544149

안녕하세요

16학번 군필 연대 상경경영대 중 한 곳에 다니는 사람입니다.

다름아니라 2022학년도 입시부터 약대 정원일부를 정시로 뽑는다고 들어서 어느정도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요.

제가 좀 고학번이라ㅠ 요즘 입시를 여러분만큼은 잘 몰라서 질문드립니다. 특히 이과입시...


1. 대학 선형대수, 미적분이 이과수능수학이랑 연관이 큰가요? 


2. 이과수학 인강이나 교재 추천 부탁드려요.

만약 준비하게 된다면 수학은 걍 인강안듣고 실력정석이랑 기출 풀려는생각도 해봤는데 좀 오바인가요? 요즘 트렌드를 잘 몰라서..


4. 문과-->이과로 전과하셔서 수능 치신분들 수학 과탐 마스터하는데 얼마나 걸리셨는지 질문드립니다.


혹시 몰라서 제 베이스? 말씀드리면 현역때 수능 원점수 국수영 100 96 97 이었음여


감사함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Art Nouveau · 972734 · 20/06/08 23:07 · MS 2020

    22학년도 수능부터 수학이 공통과목+선택과목 체제로 바뀌어요

    공통과목은 수1이랑 수2인데, 수1은 지수로그함수 삼각함수 수열 다루는 과목이고, 수2는 다항함수 미적분 다뤄요. 미통기에서 확률통계 뺀 거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선택과목은 미적분, 기하, 확통 있는데, 아마 상위권 자연계 대학에서는 대부분 미적분이나 기하 선택을 강제할 거예요. 그러니까 의치한약 등 가시려면 미적분이나 기하 선택하셔야 할 거예요. 옛날 이과처럼 미적분이랑 기벡을 둘 다 할 필요는 없고, 하나만 하면 돼요

    미적분 과목은 초월함수 미적분이랑 무한급수를 다뤄요. 기하 과목은 이차곡선, 평면벡터, 공간도형을 다루고요. (작년까지는 공간벡터도 다뤘는데, 공간벡터는 개정되면서 빠졌어요)

    고등학교 미적분에서 다루는 건 지수함수 로그함수 삼각함수, 그리고 그 함수들의 합 차 곱 몫 합성 등으로 표현되는 함수들의 미분과 적분이니까... 미적분학 1학기 초반 내용으로도 수능 수준의 개념은 다 커버가 될 거예요. 다만 미적분학(저는 미적분학 1,2중 1만 들었어요)에서 기억나는 게 삼각함수 역함수, 쌍곡함수, 렘니스케이트, 삼각치환을 통한 적분 뭐 이런 거 다뤘던 기억 나는데, 대부분의 내용이 수능과 큰 관련 없을 거예요. 미적분학2는 모르겠고 1에서도 극초반 내용만 수능 범위 개념이니까...
    기하는 평면곡선 음함수 미분, 벡터 내적, 공간도형의 위치관계 뭐 이런 개념들 미적분학에서 배웠던 것 같은데 그걸로 충분할 거예요. 선형대수는 행렬을 안 배워서 큰 관련 없을 것 같아요. 수능에서 벡터를 다루긴 하지만 기껏해야 2-튜플이니까...

  • Art Nouveau · 972734 · 20/06/08 23:09 · MS 2020

    아무튼 1번 질문 관련 답변을 요약하자면,
    이과 학과 가시려면 "기하"과목이나 "미적분"과목 둘 중 하나를 하셔야 돼요
    둘 다 미적분학 1학기 내용으로 개념은 커버가 돼요(선형대수는 기하랑 관련이 있긴 한데 행렬도 안 나오고, 3튜플 이상의 벡터도 안 다루니까 큰 의미는 없을 것 같아요)
    개념은 다 아시는 셈이니까 바로 문제 푸실 수 있을 것 같은데, 기본 유형이나 계산 연습 위해 쎈 한 권 푸시는 거 추천드려요

  • 체리필터 · 865912 · 20/06/08 23:12 · MS 2018

    와 길고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말씀해주신게 자세해서 진짜 이해가 잘되었어요. 감사합니다! 뭔가 문과로 대학 입학한 입장에서 왠지 모르게 미적분 과목이 더 친숙하게 느껴지네요ㅎㅎ 시간 내서 답변 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 Art Nouveau · 972734 · 20/06/08 23:14 · MS 2020

    강의는 메가스터디 현우진T 커리큘럼 쭉 따라가시는 게 제일 무난할 것 같아요
    요즘은 프리패스가 많아져서 학생들이 여러 강사의 강의를 섞어 듣기도 하는데, 여러 강사들을 나열하면서 이 강사는 어디에 강점이 있고 무슨 강의가 유명하고... 이런거 일일히 설명하면 저도 힘들고 작성자분도 헷갈리실 것 같아요
    현우진T가 (사람들이 말하기로는) 장점도 있고 단점도 있는데, 강의 업로드 밀리거나 하는 일도 없고, 많이들 듣기도 하고... 해서 제일 무난한 것 같아요

  • 체리필터 · 865912 · 20/06/08 23:19 · MS 2018

    오오 강좌 추천도 해주시다니 감사합니다. 아직 진입을 확실히 결정한건 아니지만, 생각해보던 차에 큰 도움이 되었어요! 인강 안듣고 혼자 실력정석이랑 기출푸는건 이과수능준비에는 힘들까요? 인강의 중요도가 어느정도인지 감이 안잡히네요..

  • Art Nouveau · 972734 · 20/06/08 23:21 · MS 2020

    카카오 오픈채팅에서 얘기하는 게 편할 것 같은데, 쪽지 확인해주실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