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드리 [408384] · MS 2012 · 쪽지

2012-07-25 15:39:51
조회수 2,099

신도님 경제학&진로탐색 레슨 후기입니당 ㅎㅎ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972702

오늘 신도님 경제학 모임(?)에 다녀왔습니다..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오셨고... 저 빼고 다 남자분이셨다는게 참...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뻘쭘했습니다.. 

레슨은 11시부터 1시까지 상경대학 5층 강의실에서 진행되었습니다. 
경제학 강의라고 해서 시장원리에 대해서 설명하실 줄 알았는데 '경쟁력'을 주제로 강의해주셨어요. 
교수님이 되게 재밌는 분이셨어요 ㅎㅎ 재밌는 농담도 해주시고 ㅋㅋ '박수'하시면서 손드시면 다같이 박수치고 ㅋㅋㅋㅋ 
중간 중간에 공부에 대한 팁도 알려주시고.. 강의끝나고 질의응답 하기 전에 자신의 가치관, 꿈, 대학진로계획에 대해 적어보는 시간도 가졌습니다. 
질의응답 끝나고 신도님이랑 이야기하는 시간도 있었는데 집에 빨리 귀가해야하는 처지라서 중간에 나왔어요 ㅠㅠ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수험생활하면서 정말 큰 힘이 될 거 같아요! 
신도님께 감사드립니당 ㅋㅋ  

못오신 분들을 위해 강의때 적었던 것들 공유합니다! 혹시 오셨던 분들이 이 글을 읽으신다면 읽고 제가 잘못적거나 빼먹은 것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수시로 들어와서 수정하겠습니다! 
(평서체로 작성하였습니다, 양해부탁드려요 ㅠㅠ)

첫번째로 경제규모가 컸던 국가는 베네치아였다. 베네치아가 최초로 상업을 선도하기 시작한 국가인데, 상업을 선도하였다는 것은 인류번영의 길로 들어왔다는 것이다. 제 3차 국가는 네덜란드 였다. 청어를 잡아 향신료를 넣어 비싸게 판매하는 사업을 하였던 상인들은 향신료를 외국에서 구하기 위해 보낸 선척이 침몰하거나 해적들에게 수탈 당하는 것이 고민이었다. 그래서 상인들이 돈을 조금씩 모아 배 한척씩 보내기로 하였는데, 20척 중 9척은 침몰하거나 해적들에게 수탈을 당하였고 11척은 무사히 돌아왔다. 이것이 오늘날의 '주식회사'이다. 

미국의 경제력이 1900~1950년대에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에이브라함 링컨 대통령이 특허법을 제정하기 때문이다. 이 때 에디슨이 GE를 만들었다. 

일본의 한 학자는 '삼성이 두렵다'라는 책을 2005년에 출간하였다. 이 당시 시가가 소니를 뛰어넘었다. 이 사례를 통해 전략만 잘 수립하고 시행하면 성장이 가능하다는 걸 알 수 있다. G20 국가의 총 GDP는 전세계의 90%를 차지한다. 이는 불평등이 심화되었다는 것이다. 인구 또한 2/3을 차지하고 있다. 이 안에 한국이 들어갔다는 것은 자랑스러운 일이다. 

중동은 여러 국가의 기술을 빌려서 발전하였다.[으아아아 사실 이 부분은 어떻게 써야할지 모르겠어요 ㅠㅠ] 룩셈부르크는 전국민에게 회계학 공부를 시켰다. 3년 뒤, 모든 국민이 회계사가 되자 회계사 인건비는 내려갔다. 따라서 유럽의 많은 은행들은 룩셈부르크에 들어왔다. 그리고 룩셈부르크의 1인당 국민 소득은 86000불이다. 이것이 국가 전략이다. 

(그다음에 발전사례에 대해 몇가지 설명해 주셨는데 이걸 필기 못했네요 ㅠㅠ ) 

중국과 홍콩을 비교해 보았을 때, 홍콩은 빠르게 성장하였지만 중국은 성장하지 못하였다. 중국은 공산주의 체제가 남아있었고, 홍콩은 자유로웠다. '자유'라는 것은그 국민이 발휘할 수 있는 잠재력이다. '얼마나 자유로운가'에 대한 평가기준은 법치주의(재산권), 평화(총칼 사용하지 않는 것), 정부가 얼마나 실용적으로 지출하는가, 시장개방성, 직업선택, 신용도, 투자자유성, 시장개방성, 무역자유성, 정부금융보유량 등이다. 

우리는 세계를 모르지만 세계는 우리를 안다. 부패-첨령도, 기업에게 자유가 있는 정도, 수명/투자/소득/성인문맹률/어린이 노동율/ 유아사망률과 경제력은 비례한다. 데이터가 있기에 거짓말을 할 수 없다. 

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변신으로 수요를 창조해야 하고, 고객을 감동시켜야 하며, 역량을 발휘하고 투자한 사람들에게 보답해야 한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전략이다. 존경받는 CEO의 조건은 자기를 위해 일하는 사람을 부자로 만드는 사람이다. 

질의응답
1. 두바이가  악조건 속에서도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
무하마드 족장의 꿈과 목표가 있었기 때문이다. 꿈과 목표를 세우는 데에는 구체적계획과 데드라인이 필요하다. (리더십도 강조하셨습니다)

2. 대학교도 스펙으로 여겨야 하는가? (질문이 사실 기억안나요ㅠㅠㅠㅠ )
대학이 나를 뽑는다 라는 생각 보다는 자신이 대학을 선택한다는 생각을 가져야한다. 그리고 대학을 선택하여 만들어 가야 한다. 

3. 경제학자로서의 역할
현실을 분석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 경제학자의 역할이다. 

4. (질문이 생각 나지 않네요ㅠㅠ)
존경받는 CEO의 표상인 '존 챔벌스'는 사내 주차장에 임직원 주차공간을 따로 마련해두지 않는다. 오는 순서대로 차를 세우도록 되어있다. 그는 큰방이 필요 없다며 작은방을 사용하고, 비행기를 탈 때 가는 시간은 똑같은데 굳이 비즈니스클래스를 이용해야하겠냐며 이코노미클래스를 이용한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