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통계학과 연고대승 [879065] · MS 2019 · 쪽지

2020-04-19 15:05:56
조회수 247

좌표축에 평행할 때 축 위에 가능한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9511568


가 조건을 보면 정사각형의 각 변이 좌표축에 평행하다고 지시하잖아요.


답에 변이 x축, y축 위에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헤네시스 · 740249 · 20/04/19 15:14 · MS 2017

    원래 눈치껏 푸는거임

  • 21통계학과 연고대승 · 879065 · 20/04/19 15:39 · MS 2019

    헤잉 너무해

  • 헤네시스 · 740249 · 20/04/19 16:14 · MS 2017

    a1 값을 줬으니 축 포함인지 여부는 알아서 유추할 수 있죠.

    수학에는 생각보다 애매한 표현이 많습니다.
    '함수의 그래프' 라고 하면 원래는 그림을 말하는 게 아니라 순서쌍 그 자체의 집합을 의미하는거예요. 그걸 펜 들고 그려야 그림이 되는거지.

    우리가 말하는 그래프는 엄밀히 말하면 '함수의 그래프의 기하학적 표현' 이라고 해야하지만, 그런식으로 말하지 않죠. 딱히 큰 오개념 아니니깐.

    현대 대수학에서는 0을 자연수로 보지만, 그럼 논문에서 집합 'N' 이 나왔다면
    {1, 2, 3, ...} 으로 봐야할까요
    아니면 {0, 1, 2, 3...} 으로 봐야할까요?

    그런거 논문에 일일이 정의해주지 않습니다. 읽는 사람들이 사람들이니깐 눈치껏 알아서 읽겠지 하고 쓰는거예요 그냥.

    평행이라는 단어도, 평면기하적인 의미가 아니라 벡터적인 의미로 썼다고 하면 겹쳐도 딱히 문제될 거 없죠. 문제되지 않는 방향으로 해석하는게 당연한거고.

  • 21통계학과 연고대승 · 879065 · 20/04/19 16:22 · MS 2019

    오 축 위에 그려졌지만 사실은 축 위에 떠있는? 그런 상황 오 뭔가 느낌이 와요! 장문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