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처플랜 [373454] · MS 2011 · 쪽지

2012-04-17 15:20:29
조회수 843

[퓨처플랜] 대학별 학생부와 수능 반영방법 보는 방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870085


대학이 학생을 선발할 때 활용하는
학생부
·수능시험 등 전형 요소는 대학별
모집 시기와 전형 유형 그리고 모집 계열 및 모집단위 등에 따라 반영 방법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학생부는 수시모집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고
,
정시에서도
수능 시험 다음으로 높게 반영한다
.


학생부는 고등학교
3년 동안의 교과 성적과 출결
상황
,
봉사
활동
,
특별 활동
등 학교생활이 어떠했는가에 의해서 성적 결과가 나오는 전형 요소로 수시 모집은
3학년 1학기 때까지의 성적을
반영하고
,
정시 모집은
3학년 2학기 때까지
성적
,
즉 전학년
성적을 반영한다
.
하지만
대학에 따라 특정 학년의 성적을 반영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
반영은
하지만 실질 반영비율은 미미한 대학들도 많다


예를
들어
2012학년도 성신여대 일반전형의 경우
학생부
30%를 반영하지만 점수 최고점과 최저점
차이는 불과
3.3점에 불과한 대학도
있고
,
1~5
등급
차이는 얼마 안나지만
6등급부터는 큰폭으로 벌어지는 대학등
다양하기 때문에 반드시 학생부 등급간 점수를 보고 지원전략을 세워야 한다
.


학생부 전형요소를 확인할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해야 한다
.



첫째
,
희망 대학의
모집 계열 및 모집단위의 학생부 반영 비율과 기타 전형 요소들의 반영 비율을 비교해 본다
.



둘째
,
수시 모집과
정시 모집에서의 학생부 반영 비율과 등급별 점수차를 파악한다
.



셋째
,
학생부 실질
반영 비율을 파악한다
.
,
최고 등급
점수에서 최저 등급 점수를 뺀 학생부 반영 점수가 전형 총점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한다
.



넷째
,
학년별 반영
비율과 반영 교과목을 파악한다
.
특히 지정
교과목이 있는 대학의 경우 대학 지정 교과목과 학생 선택 교과목이 따로 있는지를 확인한다
.
 
다섯째,
교과 성적과
출결 상황
,
봉사
활동
,
특별 활동
등 비교과 성적의 반영 비율을 파악한다
.


여섯째,
교과 성적
산출 지표를 파악한다
.
등급을
활용하는지 아니면 원점수와 평균 등을 활용해 산출한 점수를 활용하는지 알아본다
.


일곱째,
학년별 반영
비율을 파악한다
.
주로
고학년의 성적을 높게 반영하거나 전학년 성적을 동일하게 반영하지만 대학에 따라 학년별 반영 비율을 달리하는 경우도 적지 않으므로 이를 확인해두는
것이 좋다
.



수능은 수시 모집에서는 최저
학력 기준으로 활용하고
,
정시
모집에서는 비중이 가장 높은 전형 요소로 활용된다
.
따라서
다음의 사항에 대해서 철저히 확인해 두는 것이 좋다
.


 


첫째,
지원 희망
대학의 계열별 또는 모집단위별 반영 비율을 파악한다
.


둘째,
대학의 모집
계열 또는 모집단위별 반영 영역과 영역별 반영 비율을 확인한다
.


특히 분할 모집을 하는 경우 군별로
반영방법이 다르고
,
성균관대나
고려대의 경우에는 우선선발과 일반선발의 수능 반영방법이 다른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제대로 확인해야 한다
.

셋째,
성적
결과에서 어느 점수를 활용하는지 파악한다
.
,
표준점수를
활용하는지
,
아니면
백분위을 활용하는지 파악한다
.
최근에는
상위권 대학을 중심으로 탐구과목간 유불리를 최소화 하기 위해 언수외는 표준점수를 탐구영역은 백분위로 반영하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
일부 하위권
대학들중에는 등급을 반영하기도 한다
.



넷째
,
희망 대학이
가산점을 부여하는지 확인한다
.
만약
부여한다면 어느 영역에서 어느 정도 부여하며 그에 따른 점수차가 어느 정도인지 파악한다
.
대부분
수리가형이나 과탐에서 부여하는데 일부 대학의 경우 인문계 과목에도 부여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다섯째,
희망 대학이
수시 모집에서 수능시험 최저 학력 기준을 적용하는지
,
적용한다면
어느 정도인지 확인한다
.
더불어 희망
대학이 우선 선발을 실시한다면 우선 선발에서의 최저 학력 기준이 어느 정도인지
,
그리고 일반
선발과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다
.


여섯째,
탐구 영역은
몇 과목을 반영하는지
,
그리고 지정
과목이 있는지 파악한다
.
특히 일부
중상위권 대학의 경우 탐구 과목을 제
2외국어/한문 영역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확인한다
.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