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지구과학2 킬러 유형 간단 소개 (1)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6380400
* 개정 후 지2 기준으로 써 보려고 했으나, 새로 들어오는 내용이 있고 무엇보다 지1의 천체가 올라옴으로써 상당히 많은 부분이 개편되어 개정 후 기준으로 쓰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제가 지구과학 전공자도 아니고.. 그래서 개정 전 기준 지2의 킬러를 소개하되, 지1으로 내려가는 내용은 따로 안내를 해두었습니다. 혹시 제가 교육과정 이동 관련해서 잘못 쓴 것이 있거나 기출문제 번호를 잘못 쓴 경우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글이 길어 반으로 나누었습니다. (2)는 내일 올라갑니다.
2020학년도 6 9 수능 50 50 47
4, 7, 10월 교육청 모두 50
지2의 가장 큰 특징은 고정된 킬러가 없다는 것입니다. 모든 단원에 킬러의 소재가 들어 있고 언제든지 시험에 나올 수 있다는 말이죠. 그리고 킬러 유형 이외에도 낚시 or 자료 해석으로 킬러에 준하는 정답률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니 9월 이후에는 아래 유형들은 오히려 쉽게 느껴져야 하고, 지엽 암기 + ebs 자료 공부에 더 힘을 쏟아야 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 지2 인강은 그냥 OZ 풀커리 타세요. 실모는 폴라리스, OZ, 박선
1. 지진파 근거리 주시곡선
지표 아래 지진파의 속도가 다른 여러 층이 있을 때 지진파가 어떻게 굴절되는지, 지표에서 주시곡선은 어떻게 그려지는지를 분석하는 문제입니다. Snell’s law는 알고 있는 게 좋습니다. 교수들이 교과외와 교과내를 줄타기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지구물리학 책에 있는 그림을 가져와서, 교과 내 개념으로 풀 수는 있게 문제를 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입사각과 굴절각의 관계, 주시곡선에서 기울기가 의미하는 것 등에 대해 깊이 있게 고민해보기 바랍니다.
(주시곡선에서 기울기의 의미에 대해 고찰해볼 수 있는 문제. 181116)
(이런 걸 출제해도 되는지 의문이 드는 200918)
2. 고지자기 분석
지1으로 내려갔습니다. 고지자기로 추정한 진북이 변하는 것을 보고 지괴(땅덩어리)의 회전 방향이나 이동 방향을 추적하는 문제입니다. 고지자기 복각/편각에 대한 개념이 제대로 잡혀 있지 않으면 낚시 당하기 쉽습니다. 지괴의 회전 방향은 추정 진북 이동 방향의 반대, 지괴의 이동 방향(남북)은 각거리의 증감으로 구합니다. ‘각거리’를 지구본 구면상에서 구해야 하기 때문에 약간의 공간지각 능력이 필요합니다.
(평면에서 고지자기 분석. 181118)
(구면에서 고지자기 분석. 190920)
3. 판의 운동 계산
지1으로 내려갔습니다. 2020학년도에 처음 등장한 유형으로, 해령에서 1년에 판이 얼마나 생성되는지를 계산하고 변화량을 양쪽 판에 배분해서 해령의 이동 속도를 계산하는 문제였습니다. 상대속도의 개념을 알고 있으면 좋습니다. 해령 양쪽의 확장 속도가 다른 경우, 수렴형 경계, 보존형 경계 등 발전할 가능성이 아직 많이 있는 문제입니다.
(200620)
4. 지질도 해석
지구과학2의 대표적인 킬러 문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단 비주얼부터 충격적입니다. 주향선 그려서 경사 방향 찾기, 지층 경사각 계산, 산등성이/골짜기 지형의 구분, 지층의 생성 순서, 습곡 단층 부정합 해석하기 까지 끝내면 기본은 다 한 겁니다. 이런 기본기를 바탕으로 기출문제의 그림에서 단면을 잘라 단면도를 그리는 공부를 할 텐데, 시험장에서 다 그리고 있을 시간이 없습니다. ㄱㄴㄷ에서 묻는 것만 따로 떼서 판단할 수 있을 정도의 실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특히 지층 생성순서의 경우, 등고선과 지층 경계선이 굽은 모양과 방향을 보고 바로 알 수 있어야 합니다(머릿속에서 단면 그리는 과정을 생략하고, case별로 분류해서 기억해야 합니다).
(일단 풀기 싫게 생김. 181117)
(역대 최고 난이도 지질도로 알려진 200919. 하지만 제가 말한 대로 ㄱㄴㄷ만 판단하는 건 어렵지 않습니다)
5. 대기 단열변화, 푄 현상
단열변화 문제는 실험 유형의 문제로 나올 수도 있고 실제 상황 해석 문제로 나올 수도 있습니다. 후자로 나온다면 실제로 계산을 할 것인가 or 그래프에 그려서 비교할 것인가를 빠르게 판단해서 문제 풀이에 들어가야 하는데, 둘 다 할 줄 알아야 합니다. 웬만하면 그래프로 푸는 것이 낫습니다. 또 수증기압, 수증기량, 절대습도, 상대습도 등 용어들의 정의를 엄밀하게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푄 현상은 계산 문제로 출제되며, 어렵지는 않으나 기온, 이슬점 등 여러 물리량의 변화를 공식화해서 기억하는 것이 시간 단축에 큰 도움이 됩니다.
(절대습도와 이슬점의 정의를 엄밀하게 알고 있는지를 물었던 180619)
(그래프로 풀지 않으면 상당한 계산을 견뎌야 하는 191109)
(간단한 푄 현상 문제. 201116)
아이유의 정보글
수험생활 전반
수험생활 하면서 느낀점 : https://orbi.kr/00026350479
국어
수능 국어와 리트의 관련성 : https://orbi.kr/00025920245
수능 문학 해결법 : https://orbi.kr/00026236531
수학(가)
공부법 : https://orbi.kr/00025839436
컨텐츠 : https://orbi.kr/00026003088
생1
0 XDK (+1,000)
-
1,000
-
그러니 목동러들은 눈물을 그치도록
-
없으려나 연세대같은곳은 거의 만점이던데
-
3합6 최저를 맞추려면 국어, 수학 둘 중 하나를 4등급 맞아야 하는데 머가 더...
-
어이가 없네 2
어삼은 있네
-
목동도 쫌 와봐라ㅠ
-
개재밌다 ㄹㅇ
-
후기좀
-
엠스킬 0
불후의 개념 완강 햇는데 기출이랑 병행 하는게 좋나요 엠스킬 먼저 하는게 좋나요
-
정시 수시 고민 0
외곤데 수시로 3.극초 나와서 설대 종교학과 쓸거 같은데 설대 자전이 너무 가고...
-
기하인강 둘 중에서 하나 들으려는데 뭐가 더 괜찮나요
-
요즘 현우진이랑 옛날 현우진 너무 다르네 ..ㅋㅋ 요즘엔 그냥 로봇같은데 옛날엔...
-
재미도 없는데 깨작깨작 할말은 다하고 수업도 졸라 느긋하게 나가다가 오버하는건 좀...
-
감귤 먹는 시골쥐의 우당탕탕 육지 여행기 1(부산) 28
***사진 많아요. 데이터 & 스압 주의*** 다음편...
-
26학년도 6평대비 사피엔스 모의고사 풀이(해설용) 11
30분 재서 시험본 건 따로 있는데 그건 부끄러워서 못 올릴 듯.. 문제시 삭제
-
3678x, 90543, 28176 선착순 1명 천덕
-
외가가 외할아버지랑 외할머니 두 분 다 전라도 분이셔서 전라도 사투리랑 서울말...
-
개념적고 마더텅 수특딸깍으로2등급가능한사탐뭐있어요?
-
만약 못풀었다면 1 3 5중에 하나 찍으셈 근데 27번이랑 번호 안겹치게+ 하나도...
-
7모 전까지 한바퀴 겨우 돌릴 수 있을 듯 막상 공부하면 재밌긴 함
-
AI에게 먹일 샘플 o4-mini 10초만에 다읽고 45개중에 제대로 읽은 OMR...
-
브레턴이 마지막 경제지문이라는데 킬러이슈 때문임?
-
꼭 수능에 나와서 통수치는듯..? 혹은 무조건 나온다 하는 게 안나오거나 예상을...
-
아니 나 제주도 사투리랑 경상도 전라도 사투리랑 섞였나봐 10
어카디 근디 시방 너무 배고픈디 뭐먹을까
-
왜 다 이과야 9
그러고보니 여긴 왜 다 이과야 왜 다 공돌이나 의돌이임 왜 문돌이 사대지망은 없는거임...?
-
화학 0
4덮 5모에 냈으면 1컷 38-39나왓을듯 진심으로
-
대학가면 롤 많이함? 11
어때요? 아직도 인기많나
-
특히 국어가 궁금합니다
-
물2 바이럴 14
하고다님 5모 표점 보라고 근데 수요는 없음
-
13354 5687x 43521 find x
-
하이호 드북 1
"하이호" 처음 만나서 반갑다는 인사이다. 하이호 하이호 하이호 하이호 하이호!...
-
맞음
-
안된다고 함..?? 글고 6모 신청했는데 이렇게 전에 퇴소하면 6모도 못봄..?ㅠㅠ
-
표점 말고 백분위도 낮은 건가요??? 깡표점 안 쓰는 대학도 동사 하면 불리해요?
-
이걸로 다시 메가패스 삿는데 이거 완전 호텔경제학 아니야?
-
중딩 때 학원 가면 집중 안된다고 혼자 공부해서 모든 시험 전교 2등 유지 후...
-
주황색으로 가자
-
학교가서 자는거 힘든데
-
틀린문제 2주정도 시간두고 3번풀고 모르겠으면 해설 보라는데 걍 모르겠어서 틀린...
-
목이 메어와~
-
진짜 있나요?
-
독서론, 독서 3지문, 문학4지문, 선택 각각 몇 분 걸리시는지 좀..
-
예쁜여자랑밥먹기 으흐흐...
-
1월부터 생윤 윤사 처음 시작했는데 생윤에 비해 윤사가 너무 안맞아서 바꾸려고...
-
그것은 거스를수 없습니다
-
저렇게 응원해주면 없던 힘도 팍팍날듯
-
만약에 1컷이 43이라고 치면 원점수 몇점 나와야 100뜨나요 보통
-
들어보겠습니다
-
김기현 아이디어 0
아이디어 들을려고 하는데 아이디어 워크북 대신 수분감 될까요?
-
이채연을 이길 유일한 방법
절 대 지 2 혜
근데 갑자기 ptsd오니 글삭좀
이게모야 무서워..
200918 현장에서 보고 와 서1321바보다도 심했다 이 생각 함
롱로리키님 서123바 때문에 블라됨 ㅋㅋㅋ
와 ㅋㅋㅋ

문돌이 웃으면서 지나갑니다
아무것도 모르지만 자료추지2는 공부하면안됨.
어디가 구멍인지 알기가힘든게 ㄹㅇ스트레스받음.
ㄹㅇ.. 충분히 했다고 생각해도 시험 치면 비내림
OZ말고 다른 강사는 지2를 안 하나요? 아니면 OZ가 제일 낫다고 생각하시는 건가요?
박선 선생님이나 김지혁 선생님도 하시는데 지2 인강에서 오지훈 선생님 따라갈 사람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현강은 모르겠지만
컨텐츠 양 차이인가요? 강의력 자체로는 다 비슷하지 않을까 싶은데... 그렇지가 않은가요?
개념설명은 다른 선생님들 안들어봐서 모르겠는데 오지훈 선생님 책에 있는거만 다 기억해도 다 커버됐고요. 실전문제가 아주 뚝배기 깹니다. 실모도 굉장히 퀄이 좋고요. 수능칠때 OZ모에서 본 거랑 비슷한거 있었던거 같습니다
재종에서 박선 홍은영 쌤 수업도 다 듣고 자료도 풀고 해봤는데 결국 oz미만잡이더라구요 ㅋㅋ
하나같이 리바이벌에 박혀도 이질감없음
칼럼은 닥추지!
참고: 지질도에서 지층의 두께 구하는건 개정되면서 삭제됩니다. 모든 교과서에 미수록입니다. 아쉽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뭔말인지는 모르겠지만 추
와 지2 모고 고정50...

그럼뭐해요 수능2따리인데지2 1년동안 1개 틀린거 실화냐.... 진짜 존경스럽네
지구물리학 교재 보는 거 지2갤 밈인 줄 알았는데 진짜 하는 사람이 있었네
이거보고 지II갤 가봤는데 념글 진짜엿네 ㅋㅋㅋㅋ
지1으로 내려간거 많네 내년 지1러 어떡하누ㅜㅜ
재수때 지2하고 후회 엄청했네요.... 지2 분량도 많고, 종종 문제유형도 팍팍 튐, 봐야할 책들이 생각보다 많음, 그리고 모고때 컷낮아도 수능땐 등급컷이 안떨어짐 현역때 생2한거 다시 할 껄 후회했ㅜ
2과목은 진짜..서울대 갈거 아니면 하면 안되겠네여 ㅋㅋㅋ
지2 평가원 수능 토탈 1개 틀리셨는데 2등급이넼ㅋㅋㅋㅋ 투과목 씹망;;
진짜 현역때 지2괜히함.. 200918은 진짜 쒀봐인지 모고인지 구분도안됬고 ㅠㅠ 결국 수능 2번 19번틀려서 2등급떠서 재수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