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제백 [914941] · MS 2019 · 쪽지

2019-12-07 18:38:58
조회수 5,389

26)국어기출분석+국어공부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6022700

설명해 주기 진짜 귀찮았는데 드디어 합니다.

설명 전에 먼저 말하자면 저는 예비 고3이고

기출문제는 예전에 학원에서 많이 풀어 봤지만

고3 모의고사 6평 9평 수능은 한 번도 통으로 풀어 본 적이 없습니다.


요건 '간단히' 기말고사 범위인 고2 11월 학평 분석한 것


자 제가 분석한 것 중에서 여러가지 특징이 보일 것입니다.


우선 첫번째로 빨간색이랑 파란색으로 박스쳐 놓은 것이 보입니다. 이건 빨간색은 etc의 과정과 방식이 *중요*하기때문에 빨간 박스로 그려놓았고요, 파란색 박스는 "방식" 중에서 동기식과 비동기식으로 '구분'해 놓은 것들입니다.


이제 조금 감이 잡히나요? 나머지 것들도 설명해 드리죠


"과정" 중에서 곡선이 보이죠? 이 곡선들은 전부 데이터 전송에 관한 것들입니다.


일반적 글과 특이한 점이 있다면 모두 으로 쓰고 있다는 점인데요, 은 용언(동사, 형용사)의 활용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 중에서 제가 생각하기에 가장 정보를 압축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화살표와 이항대립 이거는 제가 설명하려면 꽤 오래 걸리고 중간에 말을 잘못할 수 있기 때문에

자세히 배우고 싶으신 분은 이해황t나 이원준t 들으세요






이제 수능 국어에 대해 말해보고자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국어문법을 어려워하고 기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제가 생각하기에 가장 중요한 건 문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문법'을 제대로 안다면 기출 분석할 때 엄청 도움이 됩니다. 한 문장을 문장성분으로 나누고 또 품사로 나누고 마지막으로 형태소로 나눈다면 화작, 지문형 문법, 문학, 독서 하나도 가릴 것 없이 뭔가 눈에 띄는 것이 분명히 존재합니다.(고전 또한 마찬가지 입니다.)


'문학'은 그냥 작품만 나왔을 경우 여러가지 해석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보기'로 해석의 다양성을 없앱니다. 그리고 당연한 사실이지만 문학 용어(설의법, 대구법 등)를 모르면 문제 몇 개를 포기해야만 합니다. 그래서 문학개념어에 대한 완벽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독서'는 앞에서 이야기한대로 글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에 대한 틀이 존재해야 합니다. 그 틀을 만들고 적용시키는 연습은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어느 인강을 듣건 인강을 듣는다는 것 그 자체가 아닌 스스로 복습하는 시간을 훨씬(5~10배정도)많이 하셔야 합니다. 이 사람 좋다 안 좋다하는 걸 먼저 하지 말고 들으면서 계속 그 사람의 방법을 적용시키고 안 맞는다 싶으면 바꾸세요.


'화작'은 사실 설명할 게 별로 없습니다. 그 이유는 화작은 정말 쉽습니다.라고 말하면 여러분들이 화낼 거 다 압니다. 그런데 화작에서 시간이 오래 걸리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라고 생각이 드시면 이렇게 생각해보세요


"화작이 어렵게 나오면 너는 화작이 문젤까 아니면 문법 문학 독서를 빠르게 못 풀어낸 게 문젤까"

한 번 생각해 보세요 화작이 아무리 오래 걸려도 '30분정도밖에' 안 걸립니다.(근데 이정도면...) 나머지 시간을 엄청 단축시킨다면 화작에서 불안감을 떨쳐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괜히 '화작 열심히 해야지'라는 생각을 버리고 나머지에 집중하세요.


(어우 너어무 열심히 썼다 진짜 26 안되면 울어버릴지도ㅎ)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