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고난양치기 [370703] · 쪽지

2012-01-09 08:15:55
조회수 932

2011학년도 수리영역문항중 최고난이도는 블록아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564065

이 문제 제대로 푸는사람 한명도 못봤음 뭐 나열해서 2배인가를 짐작하라는 어처구니없는 소리만 해댐 이거 함수문제임 알고있었음? 이 함수고교수준상 쉽게 생각할수없을뿐이지 떠올릴수있었음 이거 진짜로 어려운문제임 답은 어찌어찌해 맞출수는 있었다쳐도 제대로 푸는사람 이과에서도 몇없을듯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타고난양치기 · 370703 · 12/01/09 08:17

    가형 적분3점짜리랑 이게 난이도가 있었다고봄 그러나 블록이 훨씬 차원이 앞선문제

  • ajy570 · 396120 · 12/01/09 08:20 · MS 2011

    이 문제는 일반항을 만들어내는 게 힘들어요.2의 n승에 관해 굳이 푼다면...시그마 풀이할 때 n=1,2,3.....등 순서대로 나열이 아니라 같은 성질의 녀석들끼리 나열해 묶어서 풀어내면 됩니다.대성 학원 프리미엄 n제에 비슷한 문제 있어요.

  • 타고난양치기 · 370703 · 12/01/09 08:22

    이게 떠올리기가 가장힘들다고 생각 수능문제에서 감탄한 유일의 문제 수식은어렵지는 않음 일반항을 함수개념으로 찾아내야함

  • ajy570 · 396120 · 12/01/09 09:29 · MS 2011

    물론 수열자체가 함수에 기반을 두기에 함수 풀이도 좋지만 제가 말한 풀이를 이용하는 문제가 시중에 꽤 많은 편이기에 더올리는게
    엄청 어렵거나 그렇진 않다고 생각하네요.다만 그런 풀이가 있다는 걸 대다수가 수능날까지 안고가질 못해서 그런듯합니다

  • 쫌재롱 · 363275 · 12/01/09 09:07 · MS 2010

    예전에 수학선생님이 연대 논술 기출문제라면서 보여주신 문제생각나서 그걸로 풀었는데;;

  • 카나하루 · 370457 · 12/01/09 09:23 · MS 2018

    작년 9평 , 11수능 30번 / 11수능 나형 25번이 블럭이랑 비스무리할듯
    11수능 가형 24번은 시간 줘도 무슨 소리하는 지 못 알아듣는 문제...
    그 블럭은 수학적으로 완벽히 함수식 구해서 풀라고 했으면
    굳이 2^(n+1)항과 2^n항의 차를 구하라고 하는 이유가 없을텐데요

  • 김문수 · 386142 · 12/01/09 09:47

    블럭 보다는 24번이나 28번이 훨 어려웠음요...

  • 타고난양치기 · 370703 · 12/01/09 10:20

    24번이 무슨문제죠? 그 개형문제면 풀때도 쉽게했지만 나중에안건데 그건일전에 비슷한유형이 평가원출제.... 28번은 뭐죠?

  • 엘류어드 · 304134 · 12/01/09 10:21 · MS 2009

    그거 그냥 2ⁿ 규칙만 나열하면 계차가 등비인거였나 그런 수열나오던데..
    그걸 1단계 2단계 다 세려고하면 안드로메다로...
    전 전자로 세서 풀었네요...
    작년 30번 3년전 25번(블럭채우기)보다는 쉬운축에 속하는듯..

  • 키하데 · 340556 · 12/01/09 10:58 · MS 2010

    나열해서규칙찾아라는게...어이없는소리인가요?
    발견저추론원래그렇게풀면되는거 아닌가요

    저도11수능칠때 그렇게 하니까
    10분안되서풀고 맞았어요

    굳이 함수니 뭐니 할거까지도 없는거같아요

  • 타고난양치기 · 370703 · 12/01/09 11:25

    저는 그렇게 푸는것이 수능에 적합하다고는 생각하나 완벽한 풀이는 아닙니다 그냥 1 3 5 이런거보고 등차수열을 유추할수는 있지만 엄밀하게는 아닐수도 있죠

  • 타고난양치기 · 370703 · 12/01/09 11:25

    저는 그렇게 푸는것이 수능에 적합하다고는 생각하나 완벽한 풀이는 아닙니다 그냥 1 3 5 이런거보고 등차수열을 유추할수는 있지만 엄밀하게는 아닐수도 있죠

  • 타고난양치기 · 370703 · 12/01/09 11:26

    제가 말하는 어려움은 제대로 풀기어렵다는것이죠 아마 서술형이면 정답률10미만일듯

  • 만족 · 374458 · 12/01/09 11:37

    객관식에 정확한 풀이보다는
    어떻게든 답을 찾아내는게 중요하죠ㅋ
    시험장에서 함수식 이끌어내는 사람은
    거의 없을겁니다

    거기다 이 문제는 함수식의 극한을 표현하는
    거기 때문에 정확한 함수식을 끌어낼 필요도 없구요

    근데 함수식 끌어내는거 보고 지리긴 햇음ㅋㅋ
    정석으로 풀기는 어렵죠

  • 간달푸 · 348518 · 12/01/09 11:43 · MS 2010

    그거 f(2^n+1)=f(2^n) + 4^n 이렇게 계차나오는데 이거 풀면 끝

  • longtime · 341872 · 12/01/09 12:52 · MS 2017

    10수능에 같은 식의 문제가 있지 않았나요

    1부터 하나하나 해보는건 무리가 있으니

    문제에서 힌트를 줬잖아요 2^n을 보라고.. 계차를 유심하게 보라고도 힌트를 주었는데

  • 미나아러 · 366564 · 12/01/09 13:57 · MS 2011

    아 근데 궁금해서그러는데
    이문제에 f(n) 이 나오나요??
    혹시 아신다면 좀 가르쳐주세요

  • tahah · 342370 · 12/01/09 14:12 · MS 2017

    흠.. 좋은풀이와 나쁜풀이의 차이점이 뭔가요
    저는 시험장에서 과한시간이 걸리지 않으면서 풀어서 맞을수있고 증명만가능하다면 좋은풀이라고 생각되는데요
    저도 재작년까지 글쓴이분처럼 '제대로된'풀이를 찾아해메다가 실전에서 해멘경험이있네요
    수학 잘하는애들풀이보면 그렇게 '제대로된'풀이로 푸는사람 별로 없어요..
    나열해서 푸는 풀이는 어처구니 없는풀이고 일반적인 함수를 구해서 푸는 풀이는 좋은풀이라는데에 공감하지 않습니다..

  • ExcIusive · 348885 · 12/01/09 16:32 · MS 2010

    걍 맞히는 사람이 승자에요

    제가 재수할 때 2011수능 쳤는데요

    저는 가형이어서 다른데서 시간 엄청 빼앗기고 24,25 왔는데 둘 다 킬러삘이라 일단 24버리고 그나마 풀만해보이는 25부터 풀었구요,

    완벽한 풀이고 나발이고 일단 맞혀야 대학을 가니까 아무 생각도 안들었어요

    여러개 나열 해 보고 등비가 점점 4로 수렴하는 듯 해서 어차피 극한값을 구해야하니까 4^1-4^0/4^2로

    완벽한 풀이는 커녕 야매 가득한 풀이지만 어째뜬 빨리 풀고 맞혀서 다른 문제들도 마저 건들 수 있었습니다

    실력이 뛰어나다면 시험장에서도 시간이 널널해서 출제자의 의도도 고려해보고 이리저리 생각해보면서 완벽한 풀이를 구사하면야 좋겠지만

    시험이 어려우면 일단 맞히는게 장땡...

  • Intuition · 245411 · 12/01/09 17:40 · MS 2008

    함수 함수하시는데 수열 문제에 왜 함수라는 말을 계속 쓰시는지 모르겠네요. 정의역이 이산적인(일반적으로 n=1,2,3,...) 함수라는 의미로 쓰신 것 같은데 그러려면 그냥 일반항이라고 표현하시는게 좀 더 맞지 않나싶네요.아마 나열하여 구하는것이아니라 점화식을 통해 구하신다는 말씀같은데 저도 f[2^n]인경우만 아는데 f[n]을 아신다면 풀이에 대해 알려주시거나 힌트를 주시면 감사하겟네요 ㅋ..ㅋ

  • 타고난양치기 · 370703 · 12/01/10 09:55

    글쎄요 케이스를 분류해야하는문제라 함수를 써야할듯싶네요

  • 부산빛나리 · 262061 · 12/01/09 18:31 · MS 2008

    점화식으로 푸는게 제일 깔끔하고 창의적이지만
    수능장에서는 나열적 추측으로 대부분 풀었을듯 합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