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빠른재수 [761905] · MS 2017 · 쪽지

2019-08-01 10:34:00
조회수 664

2008 6모 신기루 지문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3915507

이거 지문이 논쟁이 많았던 것 같은데


13번 15번 판명기준이 지문 안에는 명확하게 보이질 않아요 ㅠㅠㅠ 


13번 산봉우리가 "부근" 이라고 부르기에는 다소 애매해보여서 틀린 선지라고 생각했는데 맞은 선지였구


15번의 위 신기루가 아지랑이보다 오래 지속된다는 서술이 없어서 틀린 선지라고 생각했는데 맞은 선지였고..


원래 옛날에는 이렇게 추론형식으로 내던건가요?


요즘 수능기조랑 거리감이 있는것 같은데 그렇구나.. 하고 넘어가는 게 맞을까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Evolved Slave II · 872525 · 19/08/01 10:37 · MS 2019

    추론 근거는 간단합니다. 낮에 태양에 의해 달궈져서 온도가 올라가서 아지랑이가 일어나기에 아지랑이는 하루 중 온도가 높은 일정 시간 사이에만 생기는 게 추론 가능합니다. 반대로 신기루는 하루종일 생기는 것이기에 신기루가 더 오래 지속된다 추론 가능합니다. 그정도의 1차원적 추론은 실제로 요즘 묻는 듯하니 꼭 알고 가시길 바랍니다.

  • 3년빠른재수 · 761905 · 19/08/01 10:43 · MS 2017

    낮이기에 해가 비치고 -> 시간이 지나 밤이 되면 아지랑이가 사라질 것이다. 생각해보면 당연한데 그렇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사실 요즘 어디까지가 과추론이고 어디까지가 추론인지 싶어서 궁금했는데, 요즘에도 이 정도 추론은 나온다는 말씀이시죠? 도움이 됐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