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해력 결정 요인과 교육 현장의 무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3757016
공공정책을 위한 연구기관인 the Rand corporation이 펴낸 <Reading for understanding - toward an R&D program in reading comprehension> 에서는 독자마다 다른 이해능력을 보이는 속성들을 아래와 같이 열거했다.
인지능력 - 주의력, 기억력, 분석력, 추론, 시각화
동기 - 읽는 동기, 콘텐츠에 대한 흥미, 독자로서 자기효능감
지식 - 어휘 및 주제 관련 지식, 언어 및 담화 지식, 읽기이해전략
경험
"그러나 매우 많은 연구들이 위와 같은 (독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독해 결과에 작용한다는 것을 밝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요인들을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는지 교육 현장에서는 아는 바가 없다. 뿐만 아니라 외국어 습득에 있어서 어휘와 언어 지식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돕는 방법도 알지 못하며, 모국어 이해 능력을 갖춰 나가도록 돕는 것 역시 알지 못한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기출도 거의 안틀려봤고 고수탑 위콤 챌린지문제도 거의 다 맞음 좀 빡센 엔제 있나요?
-
근처 대학 축제때 놀러가기로 했는데 아는 사람들이 나오는구만
-
제껀 아닌데 작년 레비테이트 있어서 올해 교재 배송 오기 전에 미리 풀어보려는데 차이 없음?
-
부럽다… 일단 여사친부터 있어야 뭘 하지
-
제가 ㅇㅈ하면 5
여르비 ㅇㅈ인가여???
-
예쁘고 잘생긴 사람 너무 많음 편차가 커..
-
전 못생김 6
외모 7등급이라 비틱질 못함
-
얼굴 잘생기면 저런 경험 초딩때부터 존나 겪는데 커뮤에 굳이 와서 올린다? << 나...
-
아니 의외로 ㅈㄴ풀만할거임 7번빼곤 다 쉬움 내면거 아 이게 맞나 싶었음 너무쉬워서…
-
카악 4
카아아악
-
혹 수험생 분들 중 인문논술 대학 측 모범답안 읽어보시면서 고개를 갸웃거리신 적...
-
돈 받고 학교 다니는데 너무 큰 걸 바라는 것 같음 그래도 제가 양심적인 가수...
-
우선 3모 기하 손필기부터 올리고 5모로 넘어가겠습니다! 11
열심히 쓰고 있으니 조금만 기다려주세용!! 글씨가 삐뚤삐뚤 못생겨도 너무 미워하진 마세여 흐흐
-
옲평 ㅋㅋ 3
너무 높으면 ㄱㅊ
-
갑자기 든 생각
-
ㅅㅂ 이걸 놓챠
-
기분이 좋잖아!
-
메타 설명 좀 5
여붕이가 어쩌구….
-
아무도안풀어줘서울었어 10
-
경옥경옥!
-
내 앞에서 남자한테 차이고 나한테 들러붙음.
-
겠냐
-
오늘 사람 많네 5
어버버
-
6모때 0
국어 백분위 70가능할까요..? 수능때 6이였고 매일 국어 2,3시간씩 투자중인데..
-
풀어주새여 2
도함수구해서 이차함수 판별식쓰면되는거아닌가..?오ㅑ안나오지
-
하루종일 두통 복통 집 와서 유튜브 켜보니 해킹당해있음 방금 변기에 에어팟 빠뜨림 진짜ㅋㅋ하……..
-
비틱 하나만 할게요 28
어제 빤 시대 부엉이 인형!
-
비틱질 4
좆같네 자기 전 기분 좋게 오르비 켰는데 아
-
고민중..
-
제가 영단어장을 따로 안외우고 매일 기출 8지문풀면서 지문에서 모르거나 헷갈리는...
-
도파민 파티구나 얼쑤
-
걍 2025 국힙 ㄹㅈㄷ 명곡이다
-
오르비만 보면 1
미 기 확 비율이 4 : 3 : 3같네 분명 4퍼센트 한줌단인데 오르비엔 기하하는...
-
이거들어바 1
좋아하는 노랜데 뮤비나왔어 굿
-
비틱은 결핍에서 말미암는다하시니라..
-
흠흠
-
아직 적분안들어가서 안풀어봤는데 생김새는 내가 본 문제중에 제일 무섭게생김
-
이제 벡터 중반까지 쎈발점 끝냈지만. 뉴런까지 미적을 해왔어도자신이없다 기하도...
-
파키스탄 무섭네 4
-
말 나온 김에 또다시 라떼 썰입니다(...) 제 주치의께서는 면허번호...
-
근데 어제도 그렇고 오늘도 그렇고 잠이 안 오네...
-
상대방이 괜찮다 한건가
-
아 나도 0
여자관련으로 기만하고싶다..
-
작수 미적 92점(22 29틀) 4덮 74점 킬캠1회 92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참고: 정답은 4 5 3 1 3 5 / 2 3 2 2 해설지 없음 첫번째 지문은...
-
이번주 수업에서 오르비 언급하시던데 미적 기출 설명하면서 이 문제가 그날 6모의...
제기하신 문제점들은 충분히 공감이 갑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Solutions이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교육 현장의(교육당사자) 해결책을 묻는 것인가요? 아니면 학생들이 교육 현장에서 얻을 수 없는 것을 어떻게 찾을 수 있을지를 질문하신 것인가요?
미국은 literacy coach나 coordinator가 있어서 읽기 교육을 돕고 있습니다. 실효성은 잘 모르겠습니다. 우리나라도 준비를 했으면 합니다.
읽기이해에 어려움을 갖고 있는 학생이라면(오르비를 들어오는) 저의 최근 글을 참고하면 좋겠습니다. 앞으로 이쪽 글을 계속 쓸 생각입니다.
학생 입장에서 이런 문제점을 겪고 있다면, 명쾌한 해결책이 존재하나요?
명쾌한 길은 있습니다. 하지만 길을 걷는 일은 명쾌하지 않습니다. 당연히 어느 공부와 마찬가지로 노력과 인내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