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의 고대 인문 오후 답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231943
1번문제(생각나는대로 이긴 하지만 제가 기억하는 흐름)
(1)은 다양한 정당성의 근거에 대해 고찰 - 정당성 - 시대변천, 사회(? : 무슨 내용이 있던거 같은데 생각이 잘 안나네요)에 따라 가변적 -따라서 정당성의 근거도 다양함. 우선 규범 ~~~ 그리고 합리성 ~~~ 마지막으로 카리스마~~~.
2번문제
1.비교 = [공통점 : 상이한 정당성의 근거간 충돌-사회운동이란 점], [차이점 : 사회운동의 정당성 근거가 다름 + 성공과 실패(결과의 차이)]
2.
분석 1 : [최만리 vs 세종 = 관습(조선 사회 규범 - 성리학) vs 합리성(문자 사용의 편리라는 보편적 목적)],[언문
창제 - 합리적 정당성에 근거한 사회운동], [최만리의 반발 - 관습의 정당성에 근거한 사회저항], [조선 중기 - 고종대 -
시대변천에 따라 정당성의 근거가 점차 성리학적 규범에서 합리성으로 이동함을 의미 - 근거 : 사용계층 확대, 사용범위 확대.]
3.
분석 2-1 : [주교, 정부 vs 뵘 = 합리성(신분질서-제도) vs 카리스마(초능력)], [뵘-카리스마(기적)에 근거한 정당성
통해 신분질서 부정(사회운동)],[체포(제도-합리적 정당성)에 의해 카리스마 붕괴 - 카리스마에 근거한 정당성- 기반이 취약함 +
합리적 정당성에 비해 비이성적]
분석 2-2 : [주교,정부 vs 뵘 = 관습(신분질서 - 규범) vs
카리스마(초능력)], [뵘-카리스마(기적)에 근거한 정당성 통해 신분질서 부정(사회운동)], [체포(규범적 정당성의 사회저항)에
의해 카리스마 붕괴 - 카리스마에 근거한 정당성- 기반이 취약함 + 급진적]
2-1은 시험보고 집에 오면서 떠올린 내용인데 출제 의도는 2-1인거 같아요. 합리성을 고리로 상이한 정당성간의 충돌이라고 생각하면 딱 맞아 떨어지는듯 한데. 전 2-2내용을 썼는데 급진적이란 내용은 쓰지 못 했습니다.
(1)은 다양한 정당성의 근거에 대해 고찰 - 정당성 - 시대변천, 사회(? : 무슨 내용이 있던거 같은데 생각이 잘 안나네요)에 따라 가변적 -따라서 정당성의 근거도 다양함. 우선 규범 ~~~ 그리고 합리성 ~~~ 마지막으로 카리스마~~~.
2번문제
1.비교 = [공통점 : 상이한 정당성의 근거간 충돌-사회운동이란 점], [차이점 : 사회운동의 정당성 근거가 다름 + 성공과 실패(결과의 차이)]
2.
분석 1 : [최만리 vs 세종 = 관습(조선 사회 규범 - 성리학) vs 합리성(문자 사용의 편리라는 보편적 목적)],[언문
창제 - 합리적 정당성에 근거한 사회운동], [최만리의 반발 - 관습의 정당성에 근거한 사회저항], [조선 중기 - 고종대 -
시대변천에 따라 정당성의 근거가 점차 성리학적 규범에서 합리성으로 이동함을 의미 - 근거 : 사용계층 확대, 사용범위 확대.]
3.
분석 2-1 : [주교, 정부 vs 뵘 = 합리성(신분질서-제도) vs 카리스마(초능력)], [뵘-카리스마(기적)에 근거한 정당성
통해 신분질서 부정(사회운동)],[체포(제도-합리적 정당성)에 의해 카리스마 붕괴 - 카리스마에 근거한 정당성- 기반이 취약함 +
합리적 정당성에 비해 비이성적]
분석 2-2 : [주교,정부 vs 뵘 = 관습(신분질서 - 규범) vs
카리스마(초능력)], [뵘-카리스마(기적)에 근거한 정당성 통해 신분질서 부정(사회운동)], [체포(규범적 정당성의 사회저항)에
의해 카리스마 붕괴 - 카리스마에 근거한 정당성- 기반이 취약함 + 급진적]
2-1은 시험보고 집에 오면서 떠올린 내용인데 출제 의도는 2-1인거 같아요. 합리성을 고리로 상이한 정당성간의 충돌이라고 생각하면 딱 맞아 떨어지는듯 한데. 전 2-2내용을 썼는데 급진적이란 내용은 쓰지 못 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분석1 저랑 굉장히 비슷하게쓰셨네요..ㅋㅋ 좋은결과있으셨으며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