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나 [852473] · MS 2018 · 쪽지

2019-01-30 23:33:10
조회수 89,562

26요청)너기출을 풀지 않기를 권장하는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1149790

칼럼에 들어가기 앞서)


원래 본격적으로 n수생 또는 현역들이 수능 기출을 공부하는 시기인 3월에 이 칼럼을 작성하려고 했으나 이미 수능 공부를 시작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시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이렇게 수능 수학 나형 기출 문제집 추천 칼럼을 작성하고자 합니다.


올해 2020 수능을 보시는 모든 문과분들이 보실 수 있도록 26요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수학 나형에 한정된 칼럼입니다.


1. 수능 기출 분석의 중요성


수능을 준비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기출 문제 풀기입니다. 이는 모두가 아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똑같이 기출 문제집을 풀었는데 막상 수능이나 모의고사에서 다른 결과가 나오는 이유가 뭘까요? 물론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저는 그 여러가지 이유들 중 가장 중요한 하나가 바로 '기출 분석력' 이라고 생각합니다.


2. 기출 분석력이란?


전 수능을 준비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 기출 문제라면 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기출 분석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출 분석이란 말 그대로 수능 기출 문제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다들 어렸을 때 레고를 가지고 놀아 본 경험이 있을겁니다. 기출 문제가 레고로 된 하나의 완성된 성이라면 기출 분석은 그 성을 다시 하나하나의 레고로 해체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그럼 이 기출 분석력을 어떻게 어디서 기를 수 있을까요?


바로 기출 문제집 해설에서 기출 분석을 통해 기를 수 있습니다.


3. 그럼 어떤 기출 문제집을 풀어야 하는가?


사실 여기서부터가 이 칼럼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다음은 올해 풀어야 할 기출 문제집의 필수 조건들입니다.


ⓐ 2009 교육과정에 맞는 1994년~2019년 수능 및 모의평가 기출 문제가 수록되어 있어야 함


특히 1994 수능 2차 17번 문제가 반드시 수록되어 있어야 함


기출 문제집을 고를 때 가장 우선시해야 하는 조건입니다. 만약 어떤 기출 문제집에 이 문제가 수록되어 있지 않다면 과감하게 거르시면 됩니다. 해당 문제의 사진입니다.




ⓑ 2009 교육과정에 맞는 교과서적이고 정석적인 풀이가 다양하게 수록되어 있어야 함


앞에서 설명 드렸었던 기출 분석력에 엄청난 영향을 끼치는 매우 중요한 필수 조건입니다. 만약 어떤 기출 문제집에서 어떤 문항에 대한 풀이가 이 조건과 어긋난다면 그 문제집 또한 과감하게 거르시면 됩니다.


4. ⓐ 조건에 대한 고찰


여기서부터가 이 칼럼의 꽃입니다.


일단 작년에 제 칼럼을 읽으셨던 분들은 아시겠지만 2019 9월 모의고사 30번 문제와 1994 수능 2차 17번 문제의 풀이가 일부 겹칩니다.


작년에 제가 작성했었던 1994 수능 2차 17번 문제와 2019 9월 모의고사 30번 문제의 연계성에 대한 칼럼 링크입니다. 반드시 이 링크에 접속하셔서 정독하시길 바랍니다.


https://orbi.kr/00019009163


물론 다른 기출 문제들의 풀이들과도 겹칩니다만 이 문제가 최초로 겹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1994년도 기출도 중요하므로 기출 문제집을 선택할 때 조건 ⓐ처럼 반드시 1994년~2019년 수능 및 모의평가 기출 문제가 수록되어 있어야 합니다.


참고로 시중 문제집들 중에서 ⓐ 조건을 만족하는건 2가지뿐인 걸로 알고 있습니다.


① 너희들의 기출문제(너기출)


② 이동훈 기출 문제집(이동훈 기출)


5. ⓑ 조건에 대한 고찰


너기출과 이동훈 기출 중에서 조건 ⓑ를 만족하는 문제집은 뭘까요? 이 칼럼의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바로 이동훈 기출입니다.


이 2가지의 기출 문제집에 마지막 조건인 ⓑ 조건을 아까의 문제인 1994 수능 2차 17번 해설에 적용해 봅시다.


① 너희들의 기출문제(너기출)의 해설



위 사진 속 03-05가 바로 1994 수능 2차 17번 문제의 해설입니다.


그냥 합성함수를 그리라네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② 이동훈 기출 문제집(이동훈 기출)의 해설



위 사진 속 B027이 바로 1994 수능 2차 17번 문제의 해설입니다.


아까 너기출에서의 풀이를 포함해 2가지 풀이를 제시하고 있는데 2번째 풀이(너기출 풀이)는 참고용이라고 되어 있네요.


https://orbi.kr/00019009163


아까 위에서 정독하라고 제시했었던 링크인데 사실 이 링크 속에서 제가 했었던 역함수, 합성함수에 대한 설명이 바로 논문+위 사진 속 1번째 해설에서 기인한겁니다.


이것이 바로 기출 문제집 해설에서 뿜어 나오는 기출 분석력의 예시입니다.


1994년 수능 2차 17번 문제를 너기출로 푼 사람과 이동훈 기출로 푼 사람 중 과연 누가 2019 9모 30번을 맞췄을까요?


5. 결론


만약 어떤 기출 문제집에 위에서 본 너기출 풀이를 제외한 1994 수능 2차 17번 문제의 풀이가 수록되어 있다면 그 문제집을 반드시 구매해서 풀어야 한다.


다시 한번 올해 2020 수능을 보시는 모든 문과분들이 보실 수 있도록 26요청 부탁드리겠습니다.


+ 더욱 더 유익한 칼럼들을 보고 싶다면?


이 글 좋아요 200개 이상 또는 조회수 10000회를 넘겨주세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