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귤 [399736] · MS 2017 · 쪽지

2019-01-29 21:25:25
조회수 2,591

서울대 의대생이 알려주는 비교과 준비하는법 (1)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1124039

블로그에 썼던 글이었는데 오르비에도 도움이 될까 싶어서 공유해요! 

시리즈 칼럼이고 3탄까지 있어요! 


-----

(1) 왜 탐구대회를 준비해야할까?


의학전문대학원이 폐지되면서 고등학교에서 의대로 갈 수 있는 정원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2019학년도 입시의 경우 2018학년도의 2582명에서 2019학년도의 2929명으로 늘어났으며, 이 중 수시로 선발하는 인원은 62.8%로 전체 정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작년 대비 0.1% 감소한 수치이지만, 이는 의학전문대학원의 정원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수시 정원을 확대할 때 필요한 서류 검토 인원의 충원 실패로 추측됩니다. 점점 학종으로 선발할 의대 정원이 늘어날 것은 거부하기 어려운 시대의 흐름이며, 이는 27.6%로 학종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음을 통해서도 알 수 있습니다. (24.8%의 교과, 9%의 논술, 1.6%의 특기자 순으로 나머지 정원이 이어집니다 – 출처 © 베리타스알파)




그렇다면 어떻게 학종을 통해 지원자가 의대에 특화된 인재임을 어필할 수 있을까요? 4차산업혁명의 시대가 오면서 단순히 ‘의술’만을 행하는 의사는 점점 그 의미를 잃어가고 있습니다. 암기, 그리고 암기한 지식을 적용하는 것은 AI가 인간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기에 앞으로 의사에게는 ‘새로운 지식을 생산’하는 사람이 될 것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즉 단순한 임상을 수행하는 의사가 아닌 탐구하고, 연구하는 의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지요.


이런 흐름을 반영하듯, 메이저 의대들은 벌써부터 교육 목표에 탐구하는 의사를 포함시키기 시작했습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 ‘창의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의학자의 기본 역량을 키운다’, 연세대학교의 경우 ‘창의적인 탐구정신의 함양을 통해 의학의 발전에 기여한다’, 성균관대의 경우 ‘창의적 연구와 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기본능력을 갖춘다’를 교육목표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오죽하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본과 2학년은 학기 중 10주라는 긴 시간을 ‘의학연구’라는 수업에 전적으로 할애하고 연구를 수행하도록 가르칠까요?


 

하지만 대부분의 의과대학의 지원자들은 이런 흐름을 파악하고 있지 못합니다. 의사라면 당연히 환자를 보는 것, 그리고 그에 대한 치료를 하는 것이 기본적인 업무라고 생각하고 있지요. 이런 흐름은 10년 안에 뒤집힐 것입니다. 이제는 임상을 보는 MD (medical doctor)가 아닌 임상에 필요한 과학적 지식을 생산하는 의사과학자 MD-PhD가 필요한 세상이 될 것이며, 의과대학은 이런 인재를 뽑고 싶어 하고 있습니다.


지원자가 이런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보여줄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스펙은 바로 탐구대회 수상 실적이 될 것입니다. 특정 분야에 진득하게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성과를 거둔 것이 생활기록부에 포함되어 있다면 다른 지원자들과 차별화시킬 수 있는 강력한 무기를 갖춘 셈입니다. 하지만 이런 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탐구대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그리고 해당 대회에는 어떤 식으로 준비해야 하는지 수험생의 입장에서 알기란 쉽지 않습니다. 메디브릿지에서는 수많은 대회에 참여하고, 직접 다양한 연구를 자기주도적으로 진행해 서울대학교/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 진학한 선생님들이 경험을 바탕으로 학생을 지도합니다. 이런 멘토 아래에서 차근차근 스토리를 잡아 쌓은 경험은 입시에 있어서 누구보다 강력한 무기로 작용하겠죠?






[출처] 비교과 탐구대회 알아보기 (1) 왜 탐구대회를 준비해야 할까요? (의대수시 mmi면접 과학탐구대회 독서토론대회 소논문 R&E 생기부예시 생기부독서활동 메디브릿지)|작성자 MEDIBRIDGE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