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요청) 코드킴의 인문논술 칼럼 - 2, 인문 논술 공부법에 대하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0626346
안녕하세요.
2019년에도 고졸/무직/백수/아싸인 코드킴입니다.
이번에도 시작하기 전에 고양이 한 마리 보고 가시죠.
'take a look' is everywhere.
--
예전에 인문논술을 연구하고 싶은 분들을 위해서 '인문논술을 어떻게 연구해야 하는가?' 라는 내용의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
링크 : https://orbi.kr/00018283137
하지만 저 글은 학생들이 따라하기엔 약간 무리가 있습니다. 저걸 진짜로 따라하신다면 정말 시간이 넘쳐 흘러서 어지간히 할 것 없는 사람이거나, '나는 정말 인문 논술에 대한 열정이 일반인의 범주를 넘어서서 어떻게든 표출하지 않으면 눈알이 자꾸만 뒤집힌다'며 과몰입하시는 분들이 분명합니다..(글의 내용에 대한 무용론이 아닙니다.)
--
이전 글에서 살펴봤듯이, 대입 인문논술에는 굉장히 부정확한 정보들이 난무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것 때문인 것인지는 몰라도 인문논술 공부를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서도 정보가 굉장히 적습니다. 이런 거 꽁꽁 숨겨서 대단한 비법인 것처럼 팔아먹으려고 하는 건가?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저희가 알아볼 수 있는 공부법으로는 현강, 인강, 교재만 보고 독학하기 정도가 있어보입니다. 저는 인문논술에 대해 연구를 해오고 가르쳐오면서 그 어떤 분들의 강의나 교재도 본 적이 없습니다. 그분들의 교재를 보거나 강의를 들어보는 것은 그분들의 수업 내용을 제가 따라하게 될까봐 두렵기 때문입니다. 저는 '누구의 수업이 좋다더라, 누구의 교재가 좋다더라' 하는 판단을 하기에는 많이 미숙합니다. 또한 '어떤 공부법이 효과적이라더라' 하는 말도 특정한 공부 방법만을 유도하여 공부 방법의 일원화를 만들어버리는 것 같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공부를 '어떻게 공부 해야한다.'를 말하기 보다는 '어떻게 공부하면 안 된다.'를 말하는 것이 훨씬 납득하기 쉬울 것 같습니다.
--
1. 배경지식 과몰입
이전 칼럼에서 배경지식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것이라 말씀드렸습니다. 여러분들께 필요한 배경지식은 사문/생윤 등의 사회탐구 과목에서 얻을 수 있는 단순한 교과적 지식입니다. 그곳에서 다루는 커다란 주제들만 파악하고 있어도 나머지 내용들은 제시문을 통해 충분히 찾아낼 수 있습니다. 게다가, 이런 내용들의 키워드를 직접적으로 물어보는 학교는 경희대학교가 유일합니다. 다른 학교들은 모두 제시문에서 충분한 근거를 주고(제시문 내에 키워드를 넣어두고) 찾아내기를 요구합니다.
인문논술에서 과한 배경지식 공부는 필요가 없습니다. 비교과적인 지식을 채우겠다고 어려운 인문학 서적들을 막 뒤져볼 필요도 없습니다. 여러분들이 아무리 비교과적인 지식을 채운다 한들, 그게 수능 국어 비문학에서 별로 도움이 안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생각해보시면 이해가 빠를 겁니다. 교과적인 지식을 채우겠다고 수능 시험에서 택한 사회탐구 과목을 바꾸실 필요도 없습니다. 언제나 수능에서 사회탐구는 자신이 가장 잘하는 것, 가장 자신있는 것, 공부했을 때 그나마 덜 지루한 것을 선택해주시기 바랍니다.
이전 글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 여러분들에게 필수적이라고 말할 수 있을만한 배경지식은 원고지 사용법과 맞춤법입니다.
2. 무조건 모범답안 필사하기
모범 답안을 필사하시는 것은 크게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누구는 모범 답안을 열심히 배껴썼더니 붙었다던데요?'라고 말하신다면, 이 과정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셔야 합니다. 말씀하신 그 '누구'가 되시는 분은 대단히 똑똑한 분이신 겁니다. 모범 답안을 필사하면서, 형식적 측면뿐만 아니라 내용적 측면에서도 답안의 해당 부분과 제시문들 사이의 관계성을 파악해, 내용을 찾아내는 방법까지도 도구화시켜 정리해낸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분들이 주로 합격하시는 대학은 성균관대, 중앙대, 경희대 입니다. 답안의 구조가 정형화 되어있고 제시문들의 평균적인 길이가 짧아 제시문들을 분석해내기가 간단하기 때문이죠.
이전 글에서도 말씀드린 바와 같이, 논술 답안에서 중요한 것은 내용입니다. 형식이 아닙니다. 형식은 모범답안, 가이드북만 봐도 충분히 알 수 있습니다. 위 내용들을 근거로, 필사의 방법은 그다지 효율적이지 않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차라리 '제시문 내에서 답안의 근거 찾기', '제시문 내용 정리해보고 모범 답안과 비교해보기'가 더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겁니다. 더 나아가본다면, 내용적 측면을 제시문에서 뽑아낼 수 있는 독해의 도구를 만들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가능하면 해보시기 바랍니다.
3. 최대한 많이 첨삭받기
첨삭은 분명 논술 실력 증진에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그 첨삭은 맞춤법이나 글의 형식적인 측면을 넘어서서 내용적 측면에 닿아야만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적 측면을 제시문을 활용한 근거가 뒷받침하고 있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활용될 논리적 사고의 범주는 고등학교 교과과정 이내에 있어야만 합니다. 만일 일정하지 못하고 각 논제마다 계속해서 흔들리는 방법론을 바탕으로 첨삭을 받으신다면 그것들은 전부 쓸모가 없습니다. 여러분들이 어떻게 답을 찾아내야할지 명확한 길을 밝혀주지 못하는 첨삭은 그저 맞춤법 검사와 다를 바가 없습니다. 이런 단순한 맞춤법 검사는 엑셀도 합니다.
여기서 글의 내용적 측면이란 둘을 의미합니다. 하나는 제시문을 통해 밝혀내는 내용과, 이런 내용들을 논리적인 구조로(전제-결론) 풀어내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의문이 들 겁니다. 첨삭은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는가?
아닙니다. 첨삭은 분명히 필요하긴 합니다. 하지만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만큼 빈도가 잦을 필요는 없다는 겁니다.
오히려 일관된 방법론으로 작성된 하자 없는 해설을 보고 혼자 자신의 답안을 되돌아보는 것이 훨씬 크게 도움이 됩니다.
----
2019년의 글
1. https://orbi.kr/00020624013
26요청) 코드킴의 인문논술 칼럼 - 1, 대입 인문 논술을 대하는 태도와 오해
2018년의 글
1. https://i.orbi.kr/00017249429
인문논술에 대한 오해
2. https://i.orbi.kr/00011212290
인문논술의 길잡이
3. https://orbi.kr/00018621451
코드킴의 인문논술 교재 - 성균관대 편 (배포 중지)
4. https://orbi.kr/00018537548
인문논술을 대하는 태도에 관하여
5. https://orbi.kr/00018381314
논술 원서 작성 요령
6.https://orbi.kr/00018916940
코드킴의 인문논술 교재 - 연세대 편(배포 중지)
7. https://orbi.kr/00018899044
인문논술에서 문장의 중요성
8. https://orbi.kr/00018277177
연세대학교 고난도 논제의 숨겨진 전제 찾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7모 에피임? 0
만약 성적표 나왔으면 에피였으려나
-
환상 중 하나 그나마 좀 말단 법같은건 기계적으로 할수잇는 여지가 있지만 헌법...
-
7모 ㅁㅌㅊ 1
선택과목으로 특정되진 않겠지
-
수학 ㅈ같노 1
원래 가장 좋아하던 과목이었는데 요즘 왜 이리 하기 싫을까… 벽에 막힌느낌
-
내 국어 1 1점차이로 갈취당한다..
-
영어.. 해도해도 계속 틀리고 너무 노잼과목이라 하고싶은마음도 의지도 없어요 문과...
-
그리고 다음 해 수능 20번을 보면 정말 피눈물이 남
-
무슨말인지 납득이가면서도 안가요 ㅠ
-
에휴
-
아니야 기하n제 만들어주신게 어디야 감사히 풀어야지 히히..
-
4회에 전력을 쏟을 핑계가 생긴거 같음
-
지금 하는 수능공부들이 말이에요..
-
7모 성적 8
으흐흐
-
현강 들으시는 분 계신가요? 현강 시스템 알려주실 수 있나요?ㅠㅠ 어떤 수업 하고...
-
뉴런없이 첫 기출로 step1 현재 절반정도 했는데 s1 정답률 68%는 좀...
-
ㅗㅜㅑ 나한테 감동의 기준은 높은 난이도가 아니라 216코드로 멋있게 풀리는지...
-
2025 고3 7모 Crux Table (국어/수학) [N2507] 5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Crux) 컨설팅 입시분석 팀장 환동입니다. 자료를...
-
갑자기 6으로 업뎃하더니 7일 줄테니까 돈달라고 그러네요... 5잘만 쓰고있었는디ㅣ
-
풀어봄
-
내일 미용실 감 0
이번엔 매직 말고 펌 해야지
-
막 일어나는게 너무 힘들고 깨있을때도 몽롱하고 그러는데 자기전에 30분정도만...
-
수능완성 영어 챕터1~4 어휘 정리(+유의어, 다의어, 예문) 1
개념 / 성향 / 특성 관련 ⭐️currency 유행 / 통화, 통용성, 현재성...
-
확통 수학 0
몇개틀려야 2등급인가요?
-
진지하게 얘기해주셈
-
기왕 할거면 저능부엉이 - 고능부엉이로 하지
-
프사 바꿔야하나 4
흠..프사바꾼 신드리는 상상할수없는데
-
잘보면 백점도 나오는데 킬캠은 60후반까지 조뎌봤어요… 이런경우는 확통에서 막히거나...
-
ㅈㄱㄴ
-
지하철에서 역 묻길래 중학교 때 어버버 바디랭귀지를 했다는.. 서울도 아닌 대전...
-
제가 피곤해서 잘못보고있는거죠? 강의 10분 10개가 16만원인거
-
간첩도 가정을 꾸린다는데.....
-
요새 겁나 바쁨 2
역시 바쁘게 사는게 좋은 듯
-
따로 떼어놓고 봤을 때 충분히 시간 내에 풀어내는 문제들도 모의고사라는 형태로...
-
ㅈㄱㄴ 수학 국어 푸려고합니다
-
틀르비 질문받음 0
ㄱㄱ
-
유튜브 어케 하는거지 앞사람이 몰래 유튜브 보고있는데 공유해달라 하고파
-
사탐 꿀잼 0
경제 동사 제외 학교 가려고 이과로 사느라 사탐 공부 못한 것에 한이 이렇게 많았구나
-
교과명과 과목명이 무슨 차이인가요??
-
시야가 자기 자신에서 타인, 사회로 확장되는 듯 나 스스로만 잘먹고 잘사는 걸...
-
선착순 10명 13
보유하고 계신 덕코가 십만 덕 이상이시면 천 덕을 주세요 내빼기, 도망가기는 선택하실 수 없습니다.
-
아아앙
-
한국기업이 1000억달러를 투자한다는 소리가 있네요 0
일본처럼 15%면 좋다고해야할지……..
-
6모 확통2컷인데 싱글커넥션 수2 정답률 30퍼 나옴;; 1
12개당 8개정도 틀림;; 이정도면 수2 심각한거 맞음? 수1이랑 확통은 정답률...
-
나 퇴물인듯
-
와 은테 3
드뎌 은테
-
ㅠ 13
-
25일 한미 2+2 회담 연기…美 "베센트 긴급 일정” 1
5일로 예정됐던 한미 재무·통상 수장 간 ‘2+2 협의’가 연기됐다. 기획재정부는...
-
도파민 필요한데 3
ㅂㄱㅂ쌤 공지 언제 올라오려나
26 가즈아~!
(애옹)
26요청 안해도 옯공지 올라가서 자동26 되는거 아님?
그건 아닌 듯함.
인문논술은 코드킴이 딱
인코딱
닉이 걸작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