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공입력하신 분들 합격 예상 파일 가져가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0537935
정시 예측 - 배포용.xlsx
그냥 집에서 카트만 하기 심심해서 새벽에 문득 점공으로 결과를 어느정도 예측해보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데이터를 보다보니 점수별 점공 입력비율이 대략 최종 추합권을 근처로 해서 크게 달라진다는 것을 느껴서 이 파일을 만들었습니다. 딱 저거 하나만 보고요. 오르비에서 여기저기 다니는 뭐 보정치 그런 거랑은 전혀 연결짓지 않았습니다. 일단 최초-추합 까지는 어느정도 높은 비율로 입력을 해줬지만 불합격권은 입력비율이 크게 떨어지더군요. 그러다 보니 자신이 어느정도 5-6칸에서지원을 했다면 점공 등수에서 생각보다 실제에서 등수가 많이 밀릴 가능성은 적겠고 4칸 부터는 좀 많이 밀리겠다는 생각을 했구요. 높게 지른 사람들이 굳이 결과를 미리 알아버리기 싫어하는 심리가 어느정도 있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합니다.
본론으로 들어가 파일 사용방법을 설명드리자면 우선 연한 바이올렛 칸과 노란색 칸은 직접 입력해주시구요. 그에 따라 옥색 칸과 파란색 칸은 자동으로 값이 나올겁니다. 여기서 파란색 칸이 곧 점공 기준 예상 등수니 중요하겠죠? 그러나 제일 중요한 부분은 개인적으로 노란색 칸이라고 생각합니다. 저같은 경우 노란색 칸은 대략 이런 조건들을 기준으로 대략적으로 입력했습니다.
1. 실제 값을 기준으로 추정 vs 비율 값을 기준으로 추정
자신이 지원한 대학이 17년도 18년도와 비슷하게 모집인원, 지원자수가 형성이 되고 4년 동안 추합정도도 크게 변화가 없었다면 실제 값으로 추정을 하시면 실제 값으로 추정을 하시면 좋을 것 같고, 그렇지 않다면 단순히 비율 값을 기준으로 계산하여 추정을 하겠죠.
2. 혹시 두 항목간의 비례관계는 없었나?
저 같은 경우 다 군의 한 대학이 경쟁률과 추합 비율 사이에 어느정도의 정비례 관계가 성립을 하였습니다. 그래서 다 군의 대학에 대해서만 가,나의 대학과 다르게 예상 추합인원을 입력하였습니다.
3. 그곳의 예상치를 기억하고 있다면 그걸로 입력을 한다.
파일이 막 화려한 것도 아니고(어짜피 2년 평균치 계산이 거의 대부분이라) 이 글이 묻힐 가능성이 높긴 하지만 혹시나 쓰고자 하시는 분들 중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댓남겨주세요.
+ 약간 수정해주세요ㅠㅠ 예상 추합 점공 등수는 ‘최초합 이후 추가 합격 가능 인원 수’ 의 의미로 이해해주시면 됩니다.
+ 굳이 다 끝나서 쉬는데 이런 걸로 날 불편하게 하다니 ㅡㅡ 이런 댓은 그냥 지나가세요. 이건 제가 단순히 자기가 진짜로 붙을지 궁금한 마음은 있지만 따로 계산하기 귀찮아하는 분들을 위해 만든 파일이니깐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 57
-
첫 문장을 천천히 읽으세요 첫 문장을 읽는 속도로 나머지 문장들을 읽기 때문입니다...
-
4등급인 시절 무조건 열심히 하면 되는 줄 알았습니다 하루 10시간이 넘게 공부하고...
-
'답만 찾아서 국어가 망가진 것이다' 작년 2월 같은 주제에 대해 글을 올린 적이...
-
안녕하세요. 송영준입니다. 3등급인 학생이 네 달만에 98점으로 올라갈 수 있었던...
-
안녕하세요. 국어는 흐른다, 송영준입니다 오늘 시험이 있었다는 얘기를 들으니 예전...
-
안녕하세요~국어는 흐른다, 송영준입니다.어느날 자판기에서 음료를 뽑아 먹다가이런...
-
안녕하세요~국어는 흐른다, 송영준입니다.11월 수능까지 참 많은 시간이 남아...
-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국어는 흐른다, 송영준입니다.국어 영역...
-
안녕하세요. 국어는 흐른다 송영준입니다. 그동안 힘들게 공부했어요. 준비한 것들을...
-
[송영준] 나는 왜 국어가 어려웠을까? (6평 해설) 18
안녕하세요. '국어는 흐른다' 송영준입니다. 학생들은 보통 국어 영역이 어려운...
-
안녕하세요. '국어는 흐른다' 송영준입니다. 시험이 3일 앞으로 다가왔네요. 6평...
-
안녕하세요! 국어는 흐른다 송영준입니다. 곧 6평이네요. 그동안 국어를 어떻게...
-
안녕하세요. '국어는 흐른다' 송영준입니다. 글을 읽는 것은 어렵지도 복잡하지도...
-
삭제 25
삭제
이게 이륙이 안된다구?
좋아좋아

일단 올려점공 최초(등수)는 몇등이 마지막인지 쓰는건가여 아니면 총 몇등이 최초였는지 쓰는칸인가요?
해당 년도 최초합 점공자중 가장 끝 등수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ex) 그곳 과거 점공 결과- 최초합격자 가장 끝등수
감사합니다
옥색칸에서 추합점공등수랑 파란색칸에서 최+추1 점등이랑 차이가 좀 나는데 파란색칸은 무엇을 의미하는건가요?
아 제가 조금 수정을 해야겠네요 ㅠㅠ 옥색의 추합점공등수는 사실상 ‘점공자중 추합 인원 수’ 라고 고쳐야 맞겠네요. 그리고 파란색 칸은 최초부터 추합까지 다 합친 최종 합격 예상 등수입니다.
자료 감사합니다! 혹시 "비율 값을 기준으로 추정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설명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우선 저 같은 경우 올해 가군에 쓴 대학이 이월이 많이 되다 보니 모집인원이 17,18년도 보다 약 2배로 늘어 그에 맞게 예상 추합인원을 17,18년도 추합인원의 평균을 내어 2배로 늘렸습니다. 또는 15-18까지 큰 변화 없이 올해만 좀 값이 다르다면 4년치의 평균을 적어도 괜찮겠죠?
아하~네!감사합니닷
262626!!
나의 점공긍수칸에 내등수/점공 입력 인원칸에 직접 나눠서 소숫점 나오는거 쓰는건가요? 그리고 바이올렛식 점공최초(등수) 점공추합(등수) 다 ㅈ학사 기준 맨 마지막 등수 적는건가요?
그리고 예상추합 점공등수랑 예상최+추 1 점등, 최+추 2 점등이 각각 무엇인지...
점공등수칸은 수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요 그냥 사이트에 다시 들어가지 않고 어느 정도 위치에 있었는지 기억만 하는 용도로 만든 칸입니다. 점공 최초와 추합 등수는 각각 (최초기준 제일 마지막 등수)와 (추합기준 제일 마지막 등수-최초기준 제일 마지막 등수)를 입력하시면 됩니다.예상 추합 점공등수는 최초합을 제외한 예상 등수이구요 최+추1,2가 나뉜 이유는 아무래도 최초합인 사람이 입력한 비율과 추합인 사람이 입력한 비율도 어느정도 차이는 있다보니 각각의 비율을 구한뒤 합한 값과 그냥 합격한 사람을 통째로 계산하는 방법 사이에도 어느정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여 두 가지 방법으로 계산을 하여 구하도록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럼 젤 오른쪽 파란색 칸의 최+추1이 최초합 합격자 중 점공 이용률과 추합 합격자의 이용률을 따로 계산한 것이고, 최+추2가 통째로 계산한 것인가요?
네네 맞아요 ㅎㅎ
좋은 자료 정말 감사합니다
예상 최+추 점등1이 31.87이고 예상 최+추 점등2가 35.56이면
점공한 사람들 중 31등~35등까지 (점공등수기준) 최종합격 예상된다는 의미인가요?ㅜㅜ
네네 점공 등수 기준으로 상황이 안좋다면 31등 그나마 낫다면 35등까지 붙을 가능성이 있는거죠. 하지만 참고로만 활용해주세요 ^^
오.. 작년 재작년 둘다 비슷하게 점수공개인원 약 40~45명이고 20~25등까지 최종합격했던데 제가 뭘 잘못입력한걸까요ㅋㅋㅋㅋ ㅠㅠ,,,
제 개인적인 생각은 윗글에서 언급했듯이 혹시 노랑색 칸의 예상 추합기능인원에서 조금 숫자가 크게달라지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을 합니다.
과년도 바이올렛칸에 있는 점공 추합(등수)란을 잘못입력했네요ㅋㅋ큐ㅠ (추합기준 제일 마지막 등수-최초기준 제일 마지막 등수)를 입력했어야 됐는데 추합기준 제일 마지막 등수만 입력했네요.. 해결했어요! 감사합니다^^
꼭 합격 기원합니다!! ㅎㅎ
아니면 대학명 가리고 자료 보내주시면 제가 조금 도와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