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라쿠세 [851127] · MS 2018 · 쪽지

2019-01-04 23:15:19
조회수 516

세사)작년 10월학평 문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0496274


이건 저도 어떤 오르비언이 이상한것같지 않냐고 해서 발견했습니다만, 흠흠.


출제자의 의도는 저 밑줄친 친위부대를 예니체리라고 생각해서 낸것같고, 처음엔 나도 ㅇㅎ 5번 데브시르메 제도 ㅇㅋ했음. 근데 저거, 예니체리가 아니라 시파히도 조건에 부합한다고 해서요. 술탄의 노예ok 친위부대 ok (왕실 시파히)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성전참여 ok


더 중요한건 시파히가 교과과정 내에 있다는 겁니다. 작년 수특 날개부분에 언급된거 확인함. 아무래도 이 부분을 교과내용적인 허용...으로 넘기느냐가 중요한듯 한데 일단 교육청이 아니라 평가원 시험이었으면 이의제기 걸렸을 것으로 생각이듬. 물론 복수정답 인정은 안되겠지만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Habsburg Haus · 756822 · 19/01/04 23:23 · MS 2017

    근데 왕실시파히도 티마르제도의 영향을 받았나요? 사파히 부대도 티마를르이냐 카프클루이냐로 나뉘어서....

  • 시라쿠세 · 851127 · 19/01/04 23:32 · MS 2018

    애초부터 저 문제가 이상한듯요. 출처는 역사임용 강의하시는분 글이구요. 말씀대로 시파히가 두 종류로 나뉘잖아요? 티말리 시파히랑 왕실 시파히(카프쿨루 시파히)로. 여기서 중요한건 티말리 시파히가 몰락하면서 이들의 경제 기반이었던 티마르(봉토)가 예니체리에게 넘어갑니다. 즉 엄밀히 따지면 예니체리도 티마르 (초기부터는 아니지만) 분봉을 받았단 거죠. 왕실 시파히가 티마르 분봉받은것 한터학회지에서 본것같네요 이건 제가 학술지 뒤져보고 말씀드리겠습니다.

  • Habsburg Haus · 756822 · 19/01/04 23:33 · MS 2017

    앗 전 사파히 몰락이 콘스탄티노플 점령이후라고 알고 있어서...

  • 시라쿠세 · 851127 · 19/01/04 23:37 · MS 2018

    말씀대로 콘스탄티노폴리스 떨어지고 몰락하는건 맞는데, 발문에선 예니체리에 대한 설명을 묻고 있잖아요 그러니깐 어느 시점 당시의 예니체리를 묻는게 아니라 그냥 예니체리 그 자체의 특성을 묻고 있으니깐, 티마르를 받았다는건 엄연한 사실이니깐 뭐... 그래서 제가 교과내용적 허용이 아닌가 궁금하다고 한겁니다. 출제자의 의도는 저도 이해가 가는데, 만약 6,9모나 수능이었으면 이의제기 좀 걸렸을듯요.

  • Habsburg Haus · 756822 · 19/01/04 23:39 · MS 2017

    아 이해했어요 ㅋㅋㅋ 근데 세계사 문제 추이를 보았을땐 출제자 양반이 예니체리로 풀거랏하고 낸 느낌이네요 ㅋㅋㅋ 그 양반도 저렇게까지 자세하게 알고 있단 생각은 안드는 문제라고 해야하나

  • 시라쿠세 · 851127 · 19/01/04 23:42 · MS 2018

    네 찾아보면 저렇게 좀 이상한 문제 많더라구요. 일단 괜한 주의 끌기 싫어서 나 혼자만 알고 있자 이런 자세이긴 한데 전... 흠. 권자님도 일리가 있다고 하시구요. 아무래도 교수님들이 내는게 아니라 그냥 교사분들이 내는거라, 그분들도 님이나 그 오류지적해주신 오르비언?처럼 자세히 모를것 같네용

  • 시라쿠세 · 851127 · 19/01/05 10:10 · MS 2018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