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연세대 의과대학생들의 자교 인턴,레지던트 지원과 정신과 개원에 관한 질문 동시에 드려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2006223
감히 질문드려보지만 서울대, 연세대 의과대학생은 자교병원인 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에 인턴, 레지던트로 대부분 지원하는걸로 알고 있는데 각각의 서울대 의과대학생이 서울대병원 정신과 인턴,레지턴트
하려면 국시성적, 내신 몇%안에 들어야 하는지 등 반영항목과 정보 좀 아시는분 알려주시구요, 또 연세대 의과대학생이 세브란스병원 정신과 인턴, 레지던트 하려면 국시성적, 내신 몇%안에 들어야 하는지 등 반영항목과 정보 좀 알려주세요.
다음 질문은 피안성정재영이라고 해서 정신과는 인기과라고 알고 있는데 정신과 개원하면 개원가마다 평균적으로 수입이 어느정도나 되는지 아시는 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각도 조절 매우 편함 따로 모양 만질 필요도 없음
-
한칸 줄이면 좀 꽉끼고 늘리면 너무 헐렁하고
-
찾아보지도 않고 안된다 그러네 날짜 크로노 되고 아날로그 중에서 안되는거는...
-
날짜 lcd led 아닌데도 문제 될까요ㅠㅠ?
찾아봤는데 ㅋ
인턴 : 서울대 재작년 미달 작년 234명/209 지원
세브란스 작년 3명초과 인듯..
(서울대, 세브란스가... 인턴 붙는거는 크게 어렵지 않아요 인턴은 강북삼성,삼성,아산이 어렵죠)
인턴은 정신과를 정해서 하는게 아니고요....
그리고 레지던트 지원때,
인기과 중에서도 정신과는 가장 인기가 많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죠. 언제꺼질지도 모르지만.
작년에 두 병원 모두다 정신과 9명씩 뽑앗네요
보통 평범한 대학병원 천병상정도 규모에선 레지던트 총 50여명 정도 뽑으면 정신과 3명정도 뽑죠....;
그럼 성적도 가늠이 가겟죠? ㅋㅋ
정신과 인기는 앞으로도 계속 될 거 같아요..
세상이 돌 아이들이 넘쳐나고 갈수록 각종 중독자들이 늘어날게 뻔하니까요...
글세요 어느과든 정책한두개에 훅갈수있으니 미래는모르죠 최근에 정신과를 필수과목에서 제외시칸다는 얘기도 봤죠
사실 예전에 서울대 의과대학생들은 서울대병원 레지던트 성적 안 좋아도 하고 싶은 과 레지던트 할 수 있다고
글을 본 적 있는데 그게 아니군요 확인하려구요 아닙니까?
2014년도에 인턴이 없어질 예정이어서 판도가 크게 변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드네요.
이 질문에 대한 답변들에 대해선 어디까지나 참고용으로만 보시는게 좋을듯 해요.
성대 학생입니다.
성대같은 경우 삼성서울 정신과 TO 대부분 들어갑니다.
작년 삼성서울 정신과 5명 뽑는데 4명 들어간 걸로 알고있습니다.
저희 학교(cmc)는 모르긴 몰라도 10등 안에 들어야 합니다.
아...위에 성대 분께서 지원자 대부분이 들어갔다고 하셨는데
아마도 성적 딸리시는 분들은 알아서 다른 과에 지원해서 일어난 현상일 겁니다.
저희 학교도 경쟁률 자체는 안 높아요. 하지만 지원자 성적은...별들의 전쟁...
그리고 지금은 정재영이 피안성보다 인기가 높지만 언제 꺼질지 몰라요
정부 정책 따라 과 수입이 확 변할 수 있어서...
그냥 나중에 과 선택할 때 고민하시는게 속편하실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