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감사합니다)수능 "빈칸추론"은 어떻게 풀어야 하는가?-3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9568280
https://orbi.kr/00019568634/영어칼럼 읽으실때 당부말씀
안녕하세요. 굉장히 오랜만이네요.
술 먹고도 칼럼 한편씩 뚝딱 써낼 줄 알았더니 생각보다 그게 잘 안되네요..... 오늘도 쏘주드링킹 하고 왔지만 약속은 지켜야 하기때문에 "빈칸추론"은 어떻게 풀어야 하는가? 마지막 3편을 씁니다.
각설하고 19수능 빈칸추론 마지막 문제 34번 보시죠
The human species is unique in its ability to expand its functionality by inventing new cultural tools. 인간이라는 종은 새로운 도구를 발명함으로써 자신의 기능성(functionality, 대충 어림잡아 능력 등으로 해석해도 됩니다)을 넓힌다는 점에서 특별하다고 합니다.
Writing, arithmetic, science-all are recent inventions. 이러한 "도구"의 예시로, 쓰기, 산수(나형으로 해석해도 됩니다), 과학 등이 있는데, 이것들은 모두 (인류 역사를 기준으로) 비교적 최근에 발명된 것들이라고 하네요.
Our brains did not have enough time to evolve for them, 우리의 뇌는 이러한 도구들을 사용할만큼 진화할 충분한 시간을 갖지 못했지만,
but I reason that they were made possible because__________________________나는 _______________________ 때문에 그것들(앞서 언급된 "도구"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 것이라고 생각한다. (주장문이었네요...)
When we learn to read, we recycle a specific region of our visual system known as the visual word-form area, enabling us to recognize strings of letters and connect them to language areas. 우리(인간)가 읽는 법을 배울 때, 우리는 visual word-form area라고 알려진 시각 시스템의 특정 부위를 재활용(recycle)함으로써 글자들의 연결(strings of letters, 일련의 문자라고 해석하셔도 됩니다)을 인식하고 그것들을 언어 영역으로 연결시킨다고 합니다.
Likewise, when we learn Arabic numerals we build a circuit to quickly convert those shapes into quantities-a fast connection from bilateral visual areas to the parietal quantity area. 마찬가지로, 우리가 아라비아 숫자를 배울 때에도, 우리는 그 문자들의 "모양"을 재빨리 "수량(숫자의 "의미"이죠)"으로 변환하기 위한 회로(circuit)를 구성하는데, 이 회로란 무엇인가? 바로 양측에 있는(bilateral) 시각 영역과 정수리 부분의(parietal, 의학영어 시간에 배웠던 게 떠오르네요ㅋㅋ) "수량 영역"을 연결하는 회로라고 합니다.
위의 두 문장이 공통적으로 말하고 있는 바가 무엇일까요? 바로 어떠한 "도구"의 사용을 익히는 데 있어 우리는 우리 뇌에 있는 "두 개 이상의" 다양한 영역들을 유기적으로 활용한다는 것이죠. 다음 문장으로 넘어갑니다.
Even an invention as elementary as finger-counting changes our cognitive abilities dramatically. "손가락으로 숫자 세기"와 같은 초등적인 발명도 우리의 인지 능력을 크게 변화시킨다고 합니다.
Amazonian people who have not invented counting are unable to make exact calculations as simple as, say, 6-2. 숫자 세기라는 개념이 없는 아마존 사람들은 6빼기 2와 같은 간단한 계산도 제대로 할 수 없다고 합니다.
This "cultural recycling" implies that the functional architecture of the human brain results from a complex mixture of biological and cultural constraints. 이렇듯, "문화적 재활용"은 인간 뇌의 기능적 구조(functional architecture)가 생물학적, 문화적 제약의 복잡한 혼합물로부터 형성되었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합니다.
하... 이게 무슨 소리일까요? 기억하실런지 모르겠지만, 앞서 "recycle"이라는 말이 딱 한 번 언급된 적이 있습니다. 4번째 문장에서, 읽기를 배울 때, 뇌의 특정 부위를 "재활용"한다는 말이 나왔습니다. 마지막 문장에서 "cultural"이라는 미사여구가 붙었지만(아마 이것도 첫 문장에서 "cultural tools"라는 말을 썼기 때문이 아닐까싶네요) 수험생의 입장에서는 어쩔 수 없이 "cultural recycling"을 뇌의 특정 부위를 재활용 하는 "recycling"과 같다고 여길 수밖에 없습니다. 저도 현장에서 이렇게 해석하고 넘어갔습니다. 결국 이 글에서 중요한 것은 "뇌의 여러 부위를 유기적으로 활용하는 것"과 이 "recycling"이라는 단어겠네요. 우선 보기부터 분석해볼까요
1. our brains put a limit on cultural diversity. 우리의 뇌가 문화적 다양성을 제한하기 때문??? 이 글의 요지와 전혀 관계없는 말입니다.
2. we can mobilize our old areas in novel ways. 어휘력의 중요성이 여기서 나타납니다. mobilize는 "동원하다"라는 뜻입니다. 해석해보면, 우리가 우리의 오래된 영역(뇌의 영역을 말하는 것이겠죠? 살짝 불친절하다고 느껴지기는 하지만, 해석의 여지는 충분합니다.)을 새로운 방식으로 동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라는 뜻입니다. 정답입니다. 새로운 방식으로 동원한다는 것은 즉 "recycling"을 말하는 것이고, 이러한 "recycling"을 통해 "뇌의 다양한 영역을 유기적으로 활용한다"는 것 또한 설명이 됩니다.
3. cultural tools stabilize our brain functionality. 문화적 도구가 뇌의 기능을 안정시킨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새로운 문화적 도구를 활용할 수 있다? 지금 닭이 먼저인지 알이 먼저인지 싸움하자는 건 아니죠??
4. our brain regions operate in an isolated manner. "뇌의 여러 부위를 유기적으로 활용한다"라는 핵심과 정 반대의 내용입니다.
5. we cannot adapt ourselves to natural challenges. 이러면 벌써 다 죽었겠죠? 뜬금없으면서, 말도 안되는, 그냥 지우라고 주는 보기입니다.
33번과 34번이 19수능 영어영역 중에서 가장 어려운 문항들에 속한다고 봅니다. 그러나, 제 칼럼을 쭉 읽어보셨으면 알 수 있듯이, "빈칸추론" 영역은 아무리 어려워도 "정확한 해석"이 뒷받침되면 어렵지 않게 풀어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지금까지 "빈칸추론" 영역 칼럼이었습니다. 다음 편은 "문법, 어휘선택 영역"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빈칸추론 1편)
https://orbi.kr/00019280798/26)-수능-"빈칸추론"은-어떻게-풀어야-하는가?q=빈칸추론&type=keyword
(빈칸추론 2편)
https://orbi.kr/00019365422/26포기)수능-"빈칸추론"은-어떻게-풀어야-하는가%3F-2?q=빈칸추론&type=keyword
0 XDK (+1,000)
-
1,000
-
노인부양인구가 늘어난 다는건데 부양안하면 되는거 아님?
-
아직도 1시간 넘게 가야한다니~~ㅠ
-
외대 ㅇㅈ 1
우웅.. 글쓴 시간을 봐
-
;;;
-
다행이군
-
고2모고는 보통 333 뜨는데 (커하땐 223) 작수 집모 국어...
-
몇 년도부터 푸는게 좋나요?
-
될까요 이거…?
-
코인 나락가네 2
한두개도 아니고 여러개가 전부 파란불임 왜지
-
불고기와퍼 꿀맛 갈릭불고기와퍼가 진짜 맛도린데 쿠폰없어서 아쉽네
-
ㅇㅇ..
-
내가 제일 싫어하는말 팩트여도 할말이 있고 모달말이 있다
-
강의를 안 찍고 셀카를 찍으시면..
-
둘레의 길이가 n인 부채골 넓이 최댓값 <<< 이거 10
미적 범위임...?
-
에휴 장애인새끼들아 ㅋㅋㅋㅋ
-
응응... 관심 주지 말고 언급도 덜 하자..
-
앗차차 포탑 피해 데미지 10배요 이자식아 라인스왑시 적용
-
위치 ㅇㅈ 5
-
미국 유학가는게 나으려나요? 아빠가 보내줄순 있다해서 고민중인데..
-
하.. 2309 풀고 옴
-
생각보다 서류 첨부해야할거 많음. 까먹지말고 하세요
-
심지어 고1베이스정돈 있었는데도 인하대 갈 성적 안나왔음
-
내 아들이 11
존재할까
-
맨날 일침충 쿨찐 처럼말하고 다니면 사회에서 도태된다
-
고대 24학번이였을텐데
-
오르비 뉴비 가이드로 칼럼하나 만들어야지
-
심심해도 오르비를 킬 순 없었어
-
ㅈㄱㄴ
-
욕하지마라
-
대충 집 갈 때까지 지하철이 너무 혼잡하면 일찍 마감
-
존버는 승리한다
-
문장해석은 나름 하는데 속도가 너무 느림... 영어 모고 볼 때도 푼 건 다 맞는데...
-
필의패 못 막으면 진짜 의사가 노예 된다는건 알겠는데 1
1) 진짜 긍정 회로 돌려서 윤통 탄핵되고 조기 대선하고 필의패 철회에 증원...
-
정시인하대가쉬운게아님
-
하...
-
차 한 대 필요할 거 같은데 돈이 없음 ㅜ
-
지구 버려야하나 흠 14
지구 버려야하나 그럼 사문으로 가야하는데 사문이랑 잘 안맞는듯 갯수새기 채점형 <<...
-
공항가는길에 들어가봤어요. 그땐 정말 힘들었는데..ㅎㅎ 지나고 나니 다 한때네요 추억이 새록새록
-
이거 맞지?
-
존예 한번도 본적없음..
-
각자 본인 숫자를 설정함. 상대의 숫자를 맞추면 승리 세자리 숫자를 제시하며...
-
그리 예쁘다는데?
-
하 미적황이 되려면 멀었구나...
-
다들 얼마나 마심?
-
국어 찍맞제외 올수 젤낮은3 수학 100분동안 공통 12번까지풀고 단답형19번에...
-
탐구선택 가이드 6
iq 90 미만 ->공부 안해도 3등급이 나오는 경제를 추천함 iq 90이상 120...
-
지듣노 0
-
없는건가여? 컴공은 따로 없는거같아서
-
숫자야구할사람 6
쪽지로

일단올려...삐빅 절평입니다
너어는 정말 나빴다
삐빅 고신머의머 지원가능인원 5퍼센트입니다
넌 진짜 나빴다
잘읽었습니다
형 내년 수능직전에볼게요

괙트) 틀려도 1등급이다절평 피해자 다이

개 십 갓------이상안읽은놈들-------
ㅡㅡㅡㅡㅡㅡㅡ여기까지ㅡㅡㅡㅡㅡ
어법은2번찍기인정하십니까
그렇지 않읍니다
잘읽고, 적절한선지를고른다.

제가 문제를 접근하는 방법을 위주로 보셔도 됩니다. 저보다 잘하시는분들은 굳이 안읽으셔도 됩니다역시 쓉갓
형 뽀뽀해줄게
ㄱㅅㄱ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