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YHY(※¿¤) [836394] · MS 2018 · 쪽지

2018-11-22 10:24:10
조회수 975

답안 작성 방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9348389

<1>깔끔한 문장을 쓰도록 하자.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것이 문장을 깔끔하게 쓰는 것입니다자신이 글을 잘 쓴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괜히 복잡한 구조의 문장을 쓰거나 한꺼번에 많은 내용을 담기 위해 늘어지는 문장을 쓰시는 분들이 예상 외로 많이 있습니다논술이라는 것은 결국 글쓰기이고글쓰기라는 것은 글을 쓰는 사람을 위한 활동이 아닌 글을 읽는 사람을 위한 활동입니다굳이 어떤 문장이든 짧게 쓸 필요는 없습니다다만 길거나 복잡한 서술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문장을 짧고 깔끔하게 쓰시는 것을 권유하고 싶습니다


<2>굳이 고급어휘를 쓰려고 하지 말자.

논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글의 내용입니다답안을 작성한 학생이 제시문에 대해 얼마나 잘 이해했고 주어진 요구사항을 얼마나 잘 만족시켰는지가 주요 채점 기준이라는 것이지요반면 어휘의 수준은 점수를 받는 데에 있어 그렇게 중요하지 않습니다물론 고등학생 수준은 되어야겠지요하지만 고등학생 수준을 넘어서는 고급어휘는 한양대 논술에서 필요가 없습니다딱히 가점 요소가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오히려 무리하게 자신이 뜻을 정확히 알지 못하는 고급어휘를 썼다가 감점될 수도 있습니다득은 없고실을 가져다 줄 가능성이 있다는 거에요어려운 단어있어보이는 단어에 집착하지 말고 답안의 내용에 집중합시다.


<3>두괄식 서술

두괄식 구조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그럼에도 두괄식의 답안을 작성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두괄식이 미괄식보다 답안을 쉽게 작성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입니다정확히 말하자면좋은 답을 쓰는 데에 두괄식이 미괄식보다 편합니다미괄식은 두괄식과 달리 문단 첫 부분에 이 문단은 무엇에 대해 말하고 있는지 제시하지 않기 때문에 보는 사람의 눈에 그 제시문의 중심 내용이 확 들어오지 않습니다그만큼 읽는 사람이 쉽게 글을 읽도록 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들여야 합니다반면 두괄식은 상대적으로 그러한 노력을 덜 해도 되지요.


<4>사례 제시에 관하여

쪽지로 질문을 해 주시는 분들이 공통적으로 사례 제시에 대해서 궁금해 하시더라구요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사례 제시에 그렇게 집착할 필요 없습니다저의 경우도 사례는 정말 간단하게 두 줄에서 세 줄씩만 씁니다저 뿐만이 아니라 저희 과의 다른 논술 합격자들을 보아도 사례 제시에 공을 들인 사람들은 찾아보기 힘들어요여러분도 웬만하면 사례 제시는 간단하게 하시고 넘어가시기를 바랍니다

사례 제시가 좋지 않다는 것은 아닙니다오히려 사례 제시를 제대로 하면 정말 좋은 답안이 나올 수 있어요하지만 너무 난이도가 높습니다만약 사례로 승부를 보는 답안을 쓰신다면신경쓰셔야 할 것이 너무나 많습니다우선 글의 구조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생각하는 그런 구조가 아닙니다어떤 것에 대해 설명하고 그 뒤에 설명 보충을 위해 사례를 드는 것이 아니라사례를 중심으로 답안을 이끌어갑니다설명의 중심에 사례가 있는 구조에요앞부분을 엄청 간략하게 이야기하고 나서 사례를 통해 하고 싶은 말을 구체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어요. 2018년 인문논술 우수답안 중 사진작가와 사진의 예시를 들며 내용을 전개해나간 답안이 있는데그 답안이 좋은 예시입니다이런 답안은 굉장히 쓰기 어려울 뿐더러사례가 중심이 되는 글이기 때문에 사례의 독창성도 신경써야 합니다.

반면사례 중심이 아닌 기본적인 내용 서술 중심의 답안을 쓰시려 한다면 이런 어려움을 겪지 않을 수 있습니다사례 제시를 하고자 할 때는사례가 내용의 중심이 아니기 때문에 사례의 독창성에 크게 신경을 쓸 필요 없이 문단 뒤에 짧게 두 줄에서 세 줄 정도만 쓰시면 됩니다이때의 사례는 각 문단을 보충설명해주는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지요.


<5>대응되는 두 제시문을 비교하는 과정을 서술할 때





원래는 어제 올렸어야 하는데, 갑자기 일이 생겨서 오늘에서야 올리게 됬네요. 죄송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