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에서 표본 n-1 하는거 정확히 뭐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932153
원래 모표준편차 나오고 크기를 뽑는 상황에서 루트n 으로 나누는 것을
n-1로 나눠야 한다는건가요? 정확히 뭔지좀.. 책이 학원에있어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932153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문과도 알아야 하나요..?
지금까지 배운적 한 번도 없음..
미통기 교과서 통계적추정 첫페이지에 공식설명잇으니까 참조하세요
표본 하나하나 가지고 분산구하는과정에서 n-1로 나누는거였나.. 안나올꺼같은뎅..
아 시그마 사용해서 (편차-평균)제곱해서 총 갯수로 나눌때의 n개를 하나 줄인 n-1로 줄임을 의미하나요?
신승범이 열라 강조한건데, 얼마전까지 공부하다가 버림... 6,9월에 안나옴 결론 수능에서는 안나옴 ㅋ
그냥 n-1 로 하시는게 좀 더 정확하다고 보는게 맞아요
무슨말이에요? 루트n으로 나누는거 아닌가요?
자료들이 주어졌을 때 n으로 나누는게 아니라 n-1로 나눠야한다는거에요
표본 1개 내에서의 분산을 구할 때 n-1로 나누는 거구요.
표본 평균들 가지고 모평균 추정할 때는 루트n이 맞네요.
방금 찾아봄. 교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