ㅎㄱㄴ [781668] · MS 2017 · 쪽지

2018-10-10 06:24:57
조회수 779

케미옵티마 3회 20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715320

해설은 이미 C의 산화수가 +3인 걸


확정짓고 나서 해설인데...



사실 C의 산화수가 3인걸 알면 이 문제를 틀릴 리 없으니...



왜 C 산화수가 3인지 풀어보신 분 중에


아시는 분 계신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ㅎㄱㄴ · 781668 · 18/10/10 06:30 · MS 2017

    혹시 제것이 오타가 난 채로 배송된건가요?? 혹시 문제에 이온 A와 B는 수가 동일하다는 표현이 문제 조건에 따로 있나요??

  • AHceyZVoP7Db2v · 758521 · 18/10/15 21:17 · MS 2017

    저는 저런 조건이 없었는데 그냥 A,B 이온이 둘 다 감소하는 그래프를 그리기때문에 무조건 C 이온의 산화수가 A와 B의 산화수보다 커야되서 그런거 아닐까요??

  • ㅎㄱㄴ · 781668 · 18/10/16 06:44 · MS 2017

    저 그래프에서 반응이 진행될수록 A와 B 각각 이온수는 감소하는 게 당연하지 않나요...? 전체 이온수가 감소했다면 C가 3가 양이온인 게 납득이 가지만... 저 그래프에서의 y축은 각각 이온수 아닌가요...?

  • AHceyZVoP7Db2v · 758521 · 18/10/16 19:44 · MS 2017

    아 그러네요 제가 문제를 잘못봤네요.. 음... 그럼 진짜 왜죠..?? ㅋㅋㅋㅋㅋ

  • AHceyZVoP7Db2v · 758521 · 18/10/15 21:16 · MS 2017

    이거랑 다른 질문인데 C를 6N 넣어서 A까지 이온수가 0이 되는데 전하량을 따져보면 맨 처음에는 A2+ 9N, B1+ 6N 이어서 총전하가 +24 이고 마지막에 C3+ 6N이어서 +18 이 되는데 왜 전하가 감소하나요... 어디서 계산을 잘못한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