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중세국어의 주격 조사 '이, ㅣ, ∅'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354352
다 알고 있는 내용일 테지만 혹시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중세 국어의 주격 조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중세 국어의 주격 조사는 3가지가 있다고 배우셨죠?
그리고 이게 어떤 환경에서 쓰이는지 '암기'하셨나요?
사실 이건 암기할 것도 없습니다.
중세국어의 이중모음에 대해서 이해하고 있으면 말이죠.
따라서 'ㅐ', 'ㅔ' 'ㅖ', 'ㅒ' 'ㅚ', 'ㅟ' 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위의 모음들을 중세 국어 때 어떻게 발음했나요? '[애], [에]'? 아니죠
'[아이], [어이], [여이], [야이], [오이], [우이]를 빠르게 1음절로 발음했습니다.
그럼 주격 조사를 알아볼게요. 주격 조사의 소리는 그냥 '이'였습니다.
그런데 왜 형태가 달라졌을까요?
1. 우선 '이'입니다.
이건 현대 국어와 똑같기 때문에 외울 것도 없죠.
받침이 있으면 '이'가 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각'에 '이'를 붙여 발음하면 [가기]가 되므로, 따라서 '각+이'로 적어줍니다.
연철을 하면 '가기'가 되겠죠?
2. 다음은 'ㅣ'입니다.
만약에 '가'라는 체언에 주격 조사 '이'를 붙이고 빨리 발음하면요? [가이]가 되지 않나요?
그런데 [가이]는 중세 국어 때 '개'로 적을 수 있으므로 '가+ㅣ'가 되는 겁니다.
'ㅐ'는 [아이]로 발음했으니까요.
3. 형태가 없는 ∅
만역에 '기'라는 체언에 주격 조사 '이'를 붙이면요?
[기이]가 되죠. 어차피 'ㅣ'라는 모음이 중복되기 때문에
'ㅣ'를 굳이 적어줄 필요가 없으니까 ∅가 오는 거예요. 즉 아무것도 안오는 거죠.
다른 예로 '대'라는 명사에 주격 조사를 붙여 본다고 생각해 봅시다.
'대'는 [다이]로 읽었고, 즉 여기에서도 'ㅣ'가 이미 포함되어 있으니까
아무 것도 적어 주지 않는 거예요.
결국
중세 국어의 주격 조사는 '이'라는 소리 한 가지였고, 앞에 이미 'ㅣ'라는 소리가 포함되어 있으면 적어 줄 필요가 없었다. 입니다.
그 'ㅣ'가 포함되어 있는 모음은 'ㅣ'는 물론이고 'ㅐ', 'ㅔ', 'ㅒ', 'ㅖ', 'ㅚ', 'ㅟ' 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럼 한번 문제를 풀어볼까요?
만 보고 풀어보세요!
0 XDK (+1,000)
-
1,000
-
수능 국어 몇등급 실력과 비슷하다고 생각함?
-
2022년 7급 PSAT 언어논리 찍먹 선별좌표에 달린 댓글 여러분이 어떤 커리를...
-
여러분이 어떤 커리를 타든, 독서 찍먹하기에 가장 좋은 강사 이해황입니다....
-
5쇄 나옴.. 1
PSAT/LEET 강의를 하는 것도 아닌데, 이제는 입소문으로 엄청나게 판매되네요....
-
PSAT/LEET 기본서를 몇 권 뿌릴까 하는데... 53
[요지] PSAT/LEET 기본서(베스트셀러!)를 오르비에 몇 권 뿌릴까 하는데,...
-
고3국어는 뭐가 다를까? (덧: PSAT/LEET 관심있는 예비대학생 있나요?) 51
고1, 2 때는 단순히 [국어=내용일치]라고 생각해도 고득점이 나올 수 있습니다....

읽기 전 정성추궁금한 게 있습니다. '아래아'를 현대어로 읽을때 'ㅏ'나' ㅡ'로 읽잖아요 그러면 아래아는 양성모음으로 봐야하나요 음성모음으로 봐야하나요? 대개 양성모음으로 본다고 있던데 궁금해서요..ㅎㅎ
아래 아는 현대에 와서 ㅏ나 ㅡ로 바뀐 것이지, 중세 국어에서는 명백하게 '양성 모음'이었습니다!
저거 답이 뭐졍? 12345454321 맞나용
몰까요!
4번 입니다-! 좀 늦게 봤어요ㅎㅎ 기출에서 보던 거라 익숙하네요ㅎㅎ 의문사도 재밌었는데 누고 누구 누가 ㅎㅎ

정답입니다 ㅎㅎㅎㅎ 다음 주제도 기대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