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학년도 국어b 슈퍼문 지문에서 "이는 달의 공전 궤도 상에 있는 근지점과 원지점도 마찬가지이다."가 달의 공전 궤도의 이심률이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8146112
1.
2015학년도 국어b 슈퍼문 지문에서
천체의 다른 조건들을 고려하지 않을 때, 지구 공전 궤도의 이심률만이 현재보다 더 작아지면(↓) 근일점은 현재보다 더 멀어지면(↑) 원일점은 현재보다 더 가까워지게(↓) 된다.
"이는 달의 공전 궤도 상에 있는 근지점과 원지점도 마찬가지이다."가
→ 달의 공전 궤도의 이심률이 ↓ → 근지점 ↑ 원지점↓ 이라는 의미인가요?
아니면
→ 지구 공전 궤도의 이심률이 ↓ → 근일점 ↑ 원일점 ↓ 근지점 ↑ 원지점 ↓ 이라는 의미인가요?
2. 2015 수능 B 슈퍼문 지문에서
26번 문제
④ 지구 공전 궤도의 이심률만이 더 커지면, 달이 근지점에 있을 때 A 지점에서 1월에 나타는 조차가 이심률 변화 전의 1월의 조차보다 더 커진다. ( O )
이 선지를 해설할 때,
1) 마닳
이심률 변화전, 달이 근지점에 있을 때, 1월 vs 이심률이 더 커진 후, 달이 근지점에 있을 때, 1월
a) 지구 공전 궤도이 이심률 ↑(커짐)
b) 지구-달 거리 =(둘다 동일함)
∵ 지구 공전 궤도의 이심률 변화 전이든 후든 달이 근지점에 있을 때이므로 지구-달 사이 거리 아무 변화 없다
c) 지구-태양 거리 ↓ 더 가까워졌다.
∵ 지구 공전 궤도 이심률 ↑ → 근일점↓원일점↑
∴ 지구-태양 거리 ↓ → 조차 ↑
2) 국정보
'달이 근지점에 있을 때'라는 것은 대체 무슨 의미일까요?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가 조차에 미치는 영향만을 고려하면'이라는 의 조건을 맞춰주기 위한 서술입니다. 왜냐하면 지구와 달 사이 거리를 근지점 조건에 맞춰서 고정해 버리면,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에 따라서 '조차'의 크기가 어떻게 바뀌는지 상대적인 비교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만약 지구와 달 사이 거리가 같이 변화하면 어찌 될지 모르는 일입니다.) 선택지 ⑤에서 '달이 원지점에 있을 때'라고 조건을 달아주는 것도 같은 이유입니다.
분명 에서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가 조차에 미치는 영향만을 고려하면, 조차는 북반구의 겨울인 1월에 가장 크고 7월에 가장 작다.'라고 하였습니다. '지구-태양 거리 영향만'이라고 하였고, 따라서 조건 3개가 모두 움직여 버리면 어떤 결과가 나올지 출제자도 알 수 없기 때문에 선택지들에서는 조건들 일부를 고정시켜서 물어보고 있습니다.
조금 더 심화해 보겠습니다. 정답의 '달이 근지점에 있을 때'라는 조건은 '달이 원지점에 있을 때'로 바꿔도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물론 이유는 위에 더 서술해 두었으니 한 번 생각해 보세요. 분명 다른 해설들은 이 조건을 간과한 것이 많을 것입니다.
3) 마더텅 검은책 수능
이심률 ↑ 근일점 ↓ 지구 태양 거리 ↓ 조차 ↑
4) 오르비 수능실록
문단 5를 통해 ‘지구 공전 궤도의 이심률만이 현재보다 더 커지면 근지점은 현재보다 더 가까워지며 원지점은 현재보다 더 멀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를 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조차가 커진다’는 내용을 바탕으로 생 각해 보자. 지구 공전 궤도의 이심률만이 더 커지면, 달이 근지점에 있을 때 근지점이 현재보다 더 가까워지고 결국 조차는 이전보다 커진다. 따라서 지구 공전 궤도의 이심률만이 더 커지면, 달이 근지점에 있을 때 A 지점에 서 1월에 나타나는 조차가 이심률 변화 전의 1월의 조차보다 더 커진다’는 진술은 적절하다.
5) 수능 기출 해설쓰기 프로젝트 pdf
④ 그럼 이심률이 더 커졌으니 이심률 변화 전보다 근지점이 더 가까워졌을 거고, 거리가 더 가 까워졌으니 조차는? 더 커지겠죠. 답은 4번이네요.
요약하면, 선지 ④를 근일점으로 접근하는 해설이 있고, 근지점으로 접근하는 해설이 있는데 어느 것이 맞는 것인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학평 과탐 0
난이도 왜이럼..
-
통제집단 실험집단 안배움? 학벌 vs 떡밥 보고 하는 소리에요 '이 또한 아님 말고'
-
파랑머리님 13
제발 오르비 와서 계속 글이랑 쪽지로 ㅠㅠ . . . 이러지 마시고 이럴 시간에...
-
성공하면 님들 펫 생김
-
그랬나봐 1
나 널 좋아하나봐
-
오르비 의뱃형님 따라하기
-
ㅅㅂ 뭐지
-
세트로만 판다고 또 사라고 하네;
-
나 강화해보셈 10
10덕에 강화 가능함
-
단어 부족해서 워드마스터 베이직이랑 2000 샀는데 이거다 외우고 커리 타는거임?...
-
두꺼우면 보기싫어
-
와 근데 2
옯평 ㅈㄴ 높다 ㄹㅇ 다들 스카이 메디컬 각인데
-
5모성적으로 2
설수의 갈수있나요?
-
언매 드랍 2
-
근데 3학년 노인이라 수원까지 가기는 너무 힘들어
-
여리여리 0
너무 좋아
-
정석민 0
현강이랑 차이가 뭔가요?
-
축구 관해서는 완전 문외한인데 이번에 손흥민 우승하면 무관 드립 사라지고 손까들도...
-
화작 언매 1
화작 2~30분 걸려서 2~3문제 틀리고 독서 2~3지문 나리는 상황인데 언매가 나을까요?
-
개깔끔하네 가형고정100은 달라도 다르다 저건 뭐야
-
그 기회를 잡을라면 수능 잘보기 위한 능력 외의 무언가가 필요하다 -> 참 (좋은...
-
5모 점수 2
수학이 좀 아쉽네..
-
자라 3
넵 ㅂㅂ
-
미지근한 오르비 뜨겁게 열 올리는데는 짱이네
-
어제 5모 0
정시로 일반과 두군데 붙었으나 쌩재수생이구요. 수시로 6메디컬 떨어졌습니다. 정시로...
-
생각해 보니까 예전에 중세국어 보기를 잘못 인용한 게 있어서 오류 떴었다고 하는...
-
기만입니다 5
제 키 160대입니다 단위는 킬로미터
-
정말로줫만한인생
-
돈잘 (돈많고 잘생김) + 몸잘 (몸좋고 잘생김) 이게 최고임 학벌? 안봄 ㅇㅋ?...
-
기만하고싶다 3
그래서햇음
-
시발점 워크북 유기하고 수분감 step 1 푸는거 어떤가여 0
워크북은 계산연습용으로 나중에 따로하고 기출먼저 하는거어때요?
-
높은데는 바라지도 않습니다. .
-
대치동 자사고 재학중이고 고1땐 열심히 공부하다가 고2때 부모님과 다툼&슬럼프 로...
-
서울애서 대구 쏴야겠다 ㅖㅏ
-
국어 87 수학 100 영어 2 지1 50 화2 50 국어 진짜 어떻게 해야 오르나요 선배님들ㅠ
-
잇올에서 종쳐줄때 시간재고 풀었어요 목표는 한의대입니다
-
책 이쁘다..
-
우웅
-
헤헤헤ㅔㅎㅎ 3
헤ㅔ헤헤헤헤헿
-
진짜 공부 뒤지게 안하네
-
님들 어떻게 푸심?????
-
미적26,29 3
26. 교대수열 앞에 2개인데 못봄 29. 마지막에서 11/4 - 1/2인데...
-
작년에 기억안나는데 올해는 되게 챗지피티 문체 비슷한 지문 많던데 지피티로 쓴건...
-
6시 10초전에 미리 들어가고 새로고침했는데 서버가 1초만에 터져있음 ㅋㅋㅋㅋㅋ ㅆ
-
쓰담쓰담 2
이쁜아
-
야르야르
-
나오기만 하면 뭘 해달래 자꾸 오늘은 칠레 가고싶은데 스피치를 3분 들어달라어쩌고
지구:이심률 변화 >근일점 원일점 변화
'마찬가지로'
달 :이심률 변화 >근지점 원일점 변화
근일점: 태양 주변을 도는 천체가 태양과 가장 가까워지는 지점이다.
근지점:지구 둘레를 도는 위성이 궤도상에서 지구와 가장 가까워지는 점을 말한다
다 읽어보니까
전자의 관점 - 1번 2번 3번
후자의 관점 - 4번 5번
이렇게 되는거 같내요
근데 저는 전자의 입장이 맞다고 봅니다.
일단 근거가 2가지가 있는데
1. 처음으로는 과학적으로 따지면 전자가 맞고
2. 굳이 지문 내에서 근거를 찾아보면
만약 후자의 입장이 맞다고 하면, 저희는 근지점이 가까워지는지 원지점이 가까워지는지 모릅니다. 명시적으로 언급이 안되어있고 그걸 추론할만한 근거도 없으니까요. 근일점이라고 해서 근지점과 비슷하다는 것은 근거가 이상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전자의 입장에서 보면, "아하! 지구 공전궤도 이심률이 작아짐에 따라 근일점이 가까워지고, 원일점이 멀어졌으니 달의 공전궤도도 이심률이 작아지면 비슷한 느낌이 들겠군! 왜냐하면 이 내용 앞에서 언급했듯이 둘다 타원궤도로 돌고 있으니까!" 이런식으로 생각할거 같네요
사실 후자의 입장도 이해가 가는게...이 지문은 당시 문과만 보는 시험이었고, 저도 다시 읽어보니까 지문 내용만 보고는 무조건 전자라는 명시적 근거가 없다는게 느껴지내요. 후자라고도 생각이 가능할 만큼요. 하지만, 제 생각에는 굳이 후자로 생각한다면, 그분들은 왜 교수님들이 굳이 타원에 대한 설명을 주고, 달의 공전궤도에 대해 설명하고 지구의 공전궤도에 대해 설명했는지 생각 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단법인 지문도 그렇고, 포퍼와 콰인 지문도 그렇고, 평가원이 우리에게 지문에 명시적으로 드러나있지 않은 정보의 약간의 상식적인 추론을 요구한다는걸 다시 한 번 느끼게 해주는 과정이었네요. 감사합니다
참고로 제 생각도 틀릴수 있으니 어느정도 비판적으로 받아들이시길 바랍니다. 사실상 평가원이 발표하지 않으면 사실 아무도 모르는거니까요....
중간에 이상하게 짤렸었네요....ㅇㅁㅇ
2번이 가장 정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