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fc빠돌이 · 816628 · 18/08/04 12:44 · MS 2018

    등가성을가진다에서 A=B가 나온건가요?

  • 내가 일등급이 아닌 이유 · 783091 · 18/08/04 12:44 · MS 2017

    네 등가성이요

  • 연대의대박효신 · 817244 · 18/08/04 12:45 · MS 2018

    인과관계가 아니라 둘은 상관 없는 정보에용

  • 수지고 오르비 · 668529 · 18/08/04 12:47 · MS 2017

    물1 내용을 말씀드리자면

    열기관에서 흡수한 열 = 들어간 열 - 나간 열 = 열기관이 한 일이고

    이에 대한 카르노 효율은 열기관이 한 일/들어간 열로 정의됩니다

  • kfc빠돌이 · 816628 · 18/08/04 12:48 · MS 2018

    저는 저지문에서 A=B가 나온이유를 묻는거지 거기까지 물어본건 아니에요^^쨋든 ㄱㅅ

  • Евгений · 743122 · 18/08/04 13:14 · MS 2017

    쉽게 설명해드리면 이렇습니다. 우선 일당량이란 일정량의 열이 어느정도의 일로 변환될 수 있는지로 이해하시면 적당합니다. 물리학에서는 일과 에너지는 동등합니다. 줄의 실험의 경우는 일이 열로 바뀌는 과정인데 가령 a만큼의 일을 할 수 있다고 합시다. 그런데 그 중에서 b만큼은 일이 손실되고(물리학적으로 옳은 표현은 아니지만) 열로 바뀐다고 합시다. 이 때 발생하는 열은 손실된 일의 크기 즉 b와 같습니다. 물리학적으로는 일이 열로 바뀌면 손실 없이 100%로 바뀐다는 의미이고 따라서 남은 일과 발생한 열에너지합은 a로 일정하고 발생한 열과 손실된 일은(한 일) 일정합니다.. 반면 열기관의 경우 이의 역과정 즉 열을 일로 바꾸는 과정인데 이 경우 어떤 열기관도 흡수한 열이 전부 일로 바뀌지 않기 때문에 B/A 값은 1보다 작은 값이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일당량이 위보다 작게 됩니다.

  • 휴이름다시함 · 614822 · 18/08/04 13:16 · MS 2015

    등가성에 의해서라기 보단, a 전부가 b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A(100) + B(0) => A(0) + B(100)이 가능하기 때문. 열기관에서 열을 통해 일을 하고 난 뒤의 상황입니다.

    카르노의 경우 A에서 B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손실 발생.

  • kfc빠돌이 · 816628 · 18/08/04 13:27 · MS 2018

    B에서A가 전부전환될수있는거아님?? 본문내용보면 열에서 일은 100%가될수없고 일에서 열은 100%가된다고 나와있어요

  • 휴이름다시함 · 614822 · 18/08/04 13:28 · MS 2015

    아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