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오미 [282781] · MS 2009 · 쪽지

2011-09-27 00:42:58
조회수 1,673

전문연구요원 제도에 관해서 잘 아시는분 계신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786475

1.

보니까.. 
박사를 진학해서 코스웍 2년내에 전문연 시험에 합격하면,, 박사 수료 후
자신이 전문연 TO를 가지게 된다고 들었는데,, 자신이 TO를 가진다는게 뭔지
모르겠어요.. 전문연을 뽑는 회사에 경쟁율에 상관없이 자기가 들어가고 싶은 곳으로 
들어갈수 있다는 건가요??

2. 석사를 마치고 바로 전문연구요원으로 회사에 취직하시는 분들도 있던데 이 경우는 위에와 어떻게 다른가요? 이 경우는 따로 전문연 시험을 치지 않는겁니까?


싸이엔지에 물어볼려고 가입했더니 48시간동안은 글을 못쓴다네요 ㅠㅠ
잘 아시는 분들만 답변좀 ㅠ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하루한달일년 · 345501 · 11/09/27 00:46 · MS 2010

    1. 박사과정 하면서 전문연 하는거에요.
    (회사에 가는게 아니라 학교에 있는거)
    2. 회사는 회사 전문연은 박사과정

    잘못된 점이나 그 이상의 것은 아랫분들이나 사이엔지 검색해서 친절히 알수 있을거에요.ㅋㅋ

  • 오오미 · 282781 · 11/09/27 01:04 · MS 2009

    답변 감사합니다~ㅎㅎ
    근데 전문연이 학교에만 있는건 아니지 않나요?

    1.석사만 마치고 회사 취직시-->회사가 TO를 배정받으므로 회사 TO에 따라 내가 취직이 될수도 안될수도.
    2.박사 '수료'후 & 전문연시험 통과-->자신이 직접 지역TO를 배정받으므로 학교에 남아서 계속 박사과정을 할수도 있고, TO 있는 기업체에 취직할수도 있고(이 때 이 기업체 배정 TO에 관계없이 자신의 TO로 입사가능)

    싸이엔지 검색해보고 있는데 전 이렇게 이해했는데...ㅠㅠ 아닌가요?? 아 모르겠어요 ㅠㅠ

  • 하루한달일년 · 345501 · 11/09/27 01:19 · MS 2010

    1번 잘못 이해했어요.
    아무튼 군복무 관련해서 기업에서 하는거 말고 학교에서 하는거라고 이해한..
    아 저 잘 모르겠어요 사이엔지에 문의하세요 잘 몰겠어요.ㅠㅠ

  • 오오미 · 282781 · 11/09/27 01:21 · MS 2009

    아무튼 감사합니다~^^
    가입하자마자 48시간 이내에는 글을 못쓴다는군요ㅠㅠ 기다렸다가 글을 올려봐야겠슴돠 ㅠㅠ

  • tros · 254078 · 11/09/27 02:27 · MS 2008

    1. 전문연구요원 시험에 합격하면 박사과정 3년을 군복무로 인정해줍니다. 이 경우 자신이 TO를 가지고 회사를 자유롭게 갈 수 있다는 것은 잘못 알고 계신것 같구요. 참고로 KAIST, GIST, UNIST는 이 시험이 면제 입니다.

    2. 석사 마친후에 회사에 취업하는 경우가 있는데, 요즘에는 대기업들 TO가 많이 줄어서 대부분은 중소기업들입니다.

  • 한라설 · 300042 · 11/09/27 02:35 · MS 2009

    현재 관악 산자락에 있는 학교 대학원생입니다

    학위과정을 하면서 병역을 대체 할수 있는 제도에 크게 2가지가 있는데요


    그 첫째가 글쓴이가 말씀하시는 '전문연구요원' 제도입니다.

    박사과정 1년차 (석박통합은 학교마다 기준이 다름)에 그 해 실시하는 전문연구요원 선발때 지원해서 선발되셔야하고요

    올해 개정되어서 TEPS는 점수가 높으면 높을수록 좋고 한국사 자격 3급 이상을 따두셔야합니다... 예전엔 행정고시에서 이 3급을 요구

    해서 좀 거시기 했는데 그런 시험들이 이제 2급 이상으로 올리면서 3급을 쉽게 내는 추세라고 하더군요

    제가 알기론 이 TO가 지역별로 있어서 서울이 오히려 지방보단 전문연 TO가 좀 빡빡합니다

    이 전문연에 합격하시면 박사 학위과정과 군복무 기간이 겹치게 되고 보통 박사 따면서 그 의무기간도 자연스레 끝납니다...

    중요한건 이것또한 군인같은 신분이라... 매일 자신이 전문연으로 소속된 기관에 매일 아침에 가서 출첵해야하고 뭐 암튼 노는것도 맘대로 못 놀고

    기간 안 채우고 튀면 소위 탈영같은거로 됩니다 ㅋㅋ


    그 다음이 '병역특례'인데요... 이건 석사학위 소지자 이상부터 적용되고

    그냥 아~무 시험이나 조건 없고

    병영특레 TO가 배정된 회사, 연구원 이런곳들이 있는데 이런 기관에 병역특례 옵션을 달고 정직원으로 취직하시면 됩니다..

    고로 그냥 그 회사나 연구원에 정직원이나 다름 없는데 병역특례다~ 라는 옵션만 붙는거죠

    이 병특은 3년 3개월인가 3년인가 암튼 이정도고요,

    보통 해외박사를 하려거나, 박사까진 가기 싫다 하는 학생들이 많이 선택합니다


    병특 TO는... 뭐 경쟁률이나 이런것도 빡세지만 인맥도 작용할수 있고.... 뭐 근데 제 주변에서는 오라면 오라지 아직 튕기는 건 잘 못 봤습니다...

    도움이 좀 되었으려나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