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난도 『코렁탕 국사』(2) 오늘은 3문제에요~ ^^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727890
새 문제를 만들 힘이 없어서 구글링해서 찾은 작년 문제를 우려먹었네요.. 죄송ㅠㅠ
예상하는 정답과 스스로 생각한 정답의 근거를 댓글에 비밀글로 달아주세요.
정답은 10분 이상이 댓글을 다시면 1:1로 해설 및 피드백을 달아드립니다.
해설에는 예상오답, 문제의 힌트, 정-오답 분석이 들어갑니다.
[★★★★★ 예상 정답률 15%]
1.다음에서 설명하는 시기에 볼 수 있었을 모습을 상상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백제는 원래 5부 37군, 200성 76만호였는데, 이때에 이르러
마한(馬韓), 동명(東明), 금련(金蓮), 덕안(德安), 웅진(熊津) 등
다섯 지역으로 나눈 후 우두머리[渠長]를 뽑아 도독과 자사로 삼아
다스리게 하였다. 낭장 유인원에게 도성을 지키도록 명령하였다.
1.창녕비의 설립을 명하는 왕
2.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간행하는 승려
3.정사암 회의를 통해 왕을 압박하는 상좌평
4.거문고를 연주하여 흥을 돋우는 악공
5.사굴산문의 개창을 축하하는 지방민
[★★★★★ 예상 정답률 45%.. 원래는 15%였는데 11수능 덕분에 45%로 늘었네요.
제 말의 의미가 무엇인지는 문제를 풀다보면 알게 되실 듯!]
2.학생들이 수행 평가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글이 쓰여진 시기에 관한 설명을 하고 있다.
적절한 설명을 한 학생을 모두 고른 것은? [3점]
“석가모니의 도는 선(禪)·교(敎)로 둘 뿐이었는데,
그 뒤에 파벌이 나뉘어져 7종이 되었습니다. 본래의 가르침이 왜곡되고 거짓을 이어받아
점점 더 말단이 갈라졌습니다...(중략)... 또한 절을 비워두고 거처하는 자가 없으므로
절들이 점점 무너지고 허물어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조계·천태·총남 3종을 합쳐서
선종으로, 화엄·자은·중신·시흥 4종을 합쳐서 교종으로 하며,
서울과 지방에 중들이 지낼 만한 곳을 가려서 36개소의 절만을 두어,
양종에 분속시킬 것입니다.....(중략)..."라고 하니,
왕이 그대로 따랐다.
갑: 4군 6진의 개척을 기리기 위해 야연사준도가 그려졌어.
을: 신경준이 '훈민정음운해'를 집필하여 훈민정음의 연구를 심화시켰어.
병: 당시의 군대에서는 거북선과 비거도선을 볼 수 있었을거야.
정: 토지의 비옥도와 해마다의 풍흉을 동시에 고려하는 조세 제도가 마련되었어.
1.갑, 정
2.을, 병
3.병, 정
4.갑, 을, 병
5.갑, 을, 정
[★★★★★ 예상 정답률 25%]
3.다음에서 설명하는 사찰이 건립된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어느 날, 왕이 부인과 함께 행차하는데 미륵삼존이 못에서 나와 수레를 멈추고
경의를 표하였다. 왕비가 "이 곳에 큰 절을 세우는 것이 제 간곡한 소원입니다."
라고 말하였다. 왕이 허락하여 못을 메워 평지를 만들게 한 후,
미륵법상 세 개와 회전, 탑, 낭무를 각각 세 곳에 세워 절을 만들게 하였다.
1.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된 고인돌 유적지가 있다.
2.현존 최고(最古)의 주심포 양식의 건물이 자리잡고 있다.
3.사람이 많이 다니는 길목에 지역색이 잘 드러난 미륵보살 입상이 세워졌다.
4.제주도 4.3사건의 진압 출동 명령에 반발하여 군인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5.박정희 대통령 때 수출 자유 지역이 설치되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내 뱃속에서 키우고 낳은거잖아
-
내 학장시절인기 1
교생선생들이 막들이대며 번호따가고 여선생들이 애일 맛있는 빵 줌
-
초고속충전할려면 1
충전케이블도 아무거나 쓰면 안되나요? 초고속이 되는 게 따로 있는건가요
-
확통 3등급이 목푠데 등급컷보니 70점정도는 맞아야 하겠더라구요 6~7문제 안풀고...
-
서방님들 여르비왓어염 12
뿌우
-
하나도 모르에네..누가 누군거제..
-
감떨어지는 소리 들린다
-
경제학. 2
90점인가 제발 그대로 나와다오 에쁠 제발 에쁠
-
독서-피램 문학-김상훈 언매-김동욱 ebs-김승리 어쩌다보니 분야별로 찍먹을..
-
연필통 말구 딴걸루요 이감 시즌1, 인강민철, 데일리유대종중 생각중입니다 연필통은...
-
다 탈릅햇나.. 8
어피니티는 간 거 같네요.. 좋은 친구였는데 원조 심심한은 어디감요?
-
하..
-
책값 너무 비쌈 5
중고책 살까 그냥
-
[문제집] 수학의 신은 n수생 입장에서 풀어도 맛있네 2
웬만한 시중N제만큼 ㄱㅊ은듯
-
젼나 음흉해보이잖아 여따가 “으흐흐”
-
월화수목금 2시간 근무 토일 6시간 근무 물리적으로는 가능세계범위?
-
섹스
-
앨범 만들었어요 0
사진이 하나밖에 없네요. 채워주실 분 환영합니다.ㅎㅎ
-
언매 도움요청… 0
나 혼자서 밥을 먹는다. 나 혼자 밥을 먹는다. 첫번째 문장에서 혼자서가...
-
공통은 좋은데 미적(10강까지 들음)은 실전개념도 없고 단순한 풀이만 하는 것...
-
완강을 위해 0
뽜이팅
-
만넌필 케이스 둘중에 뭐가 이쁨? 실링 밀랍 장식 자체는 1인데 전체적인 감은 2라 고민되네..
-
그냥 이과가 생윤하는게 이런 느낌일까? 온몸으로 좆노잼이라고 몸이 가부함...
-
삼반수 0
화작미적생1지1 24수능 54245 25수능 23222 이렇게 받았는데 한번 더 해볼만할까요..?
-
이제부터 세계 최고의 교수님이십니다
-
3덮때 노베라 3점 맞고 한 달동안 4덮 자이스토리+개념 한 달 공부했어요 진도...
-
배달이 뒤지게 안 온다 ㅅㅂ
-
벌점을 두번받앗다는데 도대체멀한거야
-
첨보는내용을 갑자기 복습노트라면서 올리시더니 거기서 와장창 문제를 내는건
-
나 협찬받음 3
요즘 방구를 홍보중임 공공장소에서 마구 뀜
-
강e분? 16
내가 다 이겨
-
뉴진스 팬들 무지성으로 르세라핌 아일릿 죽이기 ㅈㄴ 하고 뉴진스도 알면서 방관하고...
-
평소에 수능 교육청 다 1-2등급 기본으로 떴는데 시간부족으로 도표 3문제...
-
지방대 특수교육과 다니는 사람이 요즘 수능 너무 쉽다길래 대체 특수교육과 공부가...
-
못참겠다 0
-
똥 마려운데 5
어떡해
-
친구관계 비롯해서 다 말해드릴 수 있음
-
내가 그렇게 못가르치나
-
과외 학생 입장에선 한 번에 한 과외 선생님이랑만 상담 가능한가요?
-
고등학교 재입학 1
검정고시 합격했어도 재입학 가능하다는거같은데 실제로 그렇게하신분 계시나요?
-
진짜 ㅈㄴ 정신사나워서 집중이 안되네 걍 백색소음 들으면서 해야하나 하... 진짜...
-
잘지내시나요 저는이학교에서 전교한자리수를유지중이에요 중앙대원서를안쓸거같습니다…...
-
최근들어서 느끼는건데 원래 앞에선 안그러면서 등에 칼꼽는사람들이 최악이라고...
-
과외 학생 입장에서요
-
구함. 재밌어용
-
"4월 월급 왜 이래?" 직장인 1030만명 깜짝…건보료 20만원 더 낸다 1
임금 인상·성과급 지급 등으로 지난해 보수가 오른 직장인 1030만명이 이달...
-
국주티콘보유중
-
진짜 처음 들어보는 대학 사범대 다니는 사람이 요즘 대학가기도 너무 쉽고 수능도...
코렁탕이뭔가여
검색하면 나오는 유명한 신조어인데..
'설렁탕을 코에 들이붓는 고문방법'을 뜻합니다 (....)
아차 그리고 늦었지만 모두들 Merry 추석^^ 모두들 공부 잘 되셧길 바래요.
1. 백제 성왕아닌가요? 성왕때 신라 진흥왕이니까 답은 1번으로 할게요.
2. 우선 보기는 조선 세종때이구요. 따라서 답은 3번. 갑의 경우 그림은 이후에 그려진걸로 알고있고 거북선은 태종때 만들었으니 세종때도 있을것이고 정은 당연한거고 전 작년 수능아직 안풀었는데...틀릴수도 있겠네요ㅠ
3.답은 4번. 제가 근현대사를 아직 체계적으로 공부를 안해서 4번이 순천이 맞는지 조차 헷갈리네요;;ㅎㅎㅎ ;;;
못을 평지로 메꿨다는걸 보고 순천을 했습니다.;;;
답이라도 가르쳐주시면 안되나요 ㅠㅠ 해설은 나중에 보더라도 ㅠㅠ 좀있다 나가야하는데 이것때문에 못나갈것 같아요...흑
순서대로 4-3-5 입니다. ㅎㅎ
3번
1번 5번 선지좀 알려주세요.
3번
문제 멋지네요 ㄷ
세번째꺼는 모르겠어요 ㅠㅠ
1.
백제는 원래 5부 37군, 200성 76만호였는데, 이때에 이르러
마한(馬韓), 동명(東明), 금련(金蓮), 덕안(德安), 웅진(熊津) 등
다섯 지역으로 나눈 후 우두머리[渠長]를 뽑아 도독과 자사로 삼아
다스리게 하였다. 낭장 유인원에게 도성을 지키도록 명령하였다.
백제에 방령이 아닌 도독을 보내네요. 그것도 '웅진'에 보내죠?
웅진도독부를 연상하실 수 있어야 합니다.
즉 백제 멸망 직후 당나라 강점기입니다.
1.창녕비의 설립을 명하는 왕 -->신라 진흥왕이니 x
2.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간행하는 승려 -->통일후 8세기 신라니까 x
3.정사암 회의를 통해 왕을 압박하는 상좌평 -->망한 나라에 왕과 귀족이 있겠습니까.. x
4.거문고를 연주하여 흥을 돋우는 악공 -->O. 고구려 왕산악이 거문고를 만들었습니다.
5.사굴산문의 개창을 축하하는 지방민 -->X 신라 하대에 선종이 처음 생겼슨비다. 사굴산문은 선종의 한 파입니다,
2.
“석가모니의 도는 선(禪)·교(敎)로 둘 뿐이었는데,
그 뒤에 파벌이 나뉘어져 7종이 되었습니다. 본래의 가르침이 왜곡되고 거짓을 이어받아
점점 더 말단이 갈라졌습니다...(중략)... 또한 절을 비워두고 거처하는 자가 없으므로
절들이 점점 무너지고 허물어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조계·천태·총남 3종을 합쳐서
선종으로, 화엄·자은·중신·시흥 4종을 합쳐서 교종으로 하며,
서울과 지방에 중들이 지낼 만한 곳을 가려서 36개소의 절만을 두어,
양종에 분속시킬 것입니다.....(중략)..."라고 하니,
왕이 그대로 따랐다.
-->국사 교과서에 보면 세종이 36개의 절만 남기고 교종 선종을 통합했다고 나옵니다. 그 제시문입니다.
★갑: 4군 6진의 개척을 기리기 위해 야연사준도가 그려졌어. -->X 조선후기 그림인데 낚시로 나올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을: 신경준이 '훈민정음운해'를 집필하여 훈민정음의 연구를 심화시켰어. -->X 이름이 훈민정음이라 역시 교란에 걸리기 쉽죠?
이거 조선후기 책입니다. 2011 수능 기출 선택지입니다.!!!
병: 당시의 군대에서는 거북선과 비거도선을 볼 수 있었을거야. -->O 태종 때 만들어졌으니까 세종때도 있겠죠
정: 토지의 비옥도와 해마다의 풍흉을 동시에 고려하는 조세 제도가 마련되었어. -->O 이게 바로 전분6등법, 연분9등법입니다.
정답 3(병,정)
3.
어느 날, 왕이 부인과 함께 행차하는데 미륵삼존이 못에서 나와 수레를 멈추고
경의를 표하였다. 왕비가 "이 곳에 큰 절을 세우는 것이 제 간곡한 소원입니다."
라고 말하였다. 왕이 허락하여 못을 메워 평지를 만들게 한 후,
미륵법상 세 개와 회전, 탑, 낭무를 각각 세 곳에 세워 절을 만들게 하였다.
-->우리 교과서에 나온 탑 중에서 '탑'이 3곳이며 미륵사상과 관련된 곳은? 미륵사입니다.
고로 미륵사지 석탑(익산)
1.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된 고인돌 유적지가 있다. -->강화/고창/화순 (x)
2.현존 최고(最古)의 주심포 양식의 건물이 자리잡고 있다.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X)
3.사람이 많이 다니는 길목에 지역색이 잘 드러난 미륵보살 입상이 세워졌다. -->논산 관촉사 미륵보살 입상 (X)
4.제주도 4.3사건의 진압 출동 명령에 반발하여 군인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여수 순천 사건
5.박정희 대통령 때 수출 자유 지역이 설치되었다. -->(O) 익산, 마산입니다.
1번은 1번인것같고 2번은 3번 3번은 어디지역인지모르겠네요.. 익산에 미륵사인가요?
1/3/5???
첫번째 문제는 감도 못잡겠네요... 2번째문제는 세종? 3번째 문제는미륵사??
파리님 재수 초기때 보고 오랜만이에요.
저 송송바 닉 썻었는데 기억하시려나 모르겠네요.
설농 너무가고싶네요.
파리님은 작년 이맘때 어떠셨어요??
앞만보고 공부하셨나요??
제 이 시기 모습을 수필로 쓸까 고민핟너 참인데..
여기서 슬쩍 스포를 뿌릴게요,
작년 6평 본뒤에 허무감+월드컵 때문에 들뜨는 바람에 여름방학을 날려먹은 뒤
9월 평가원을 치고서 무기력해있었습니다.
그러다가 성적표가 나오고나면서부터 진짜 앞만보고 달렸어요.
밥먹는 시간 아끼려고 미숫가루 사다가 그걸로 3분만에 끼니 때우고...
최고로 많이 공부한 기록이 17시간정도입니다
3수때는 독학하셨나요??
현재 저는 재종반 다니고있는중인데요.
곧 듄 다푸는대로 음 10월 전후 1주일쯤 해서 학원 나가서 독재 할까 하는 생각이드네요.
파리님 재수때도 굇수 아니셨나요?
육구평은 잘 못치셨나여??
어떻게생각하세요??
1.3번//5부면 성왕 이후... 백제라서..
2.3번//세종대왕 시절 일이니... 갑을은 후기고..정은 태종 이후부터니 병정..
3.모르겠네요..ㅜㅜ
1.
백제는 원래 5부 37군, 200성 76만호였는데, 이때에 이르러
마한(馬韓), 동명(東明), 금련(金蓮), 덕안(德安), 웅진(熊津) 등
다섯 지역으로 나눈 후 우두머리[渠長]를 뽑아 도독과 자사로 삼아
다스리게 하였다. 낭장 유인원에게 도성을 지키도록 명령하였다.
백제에 방령이 아닌 도독을 보내네요. 그것도 '웅진'에 보내죠?
웅진도독부를 연상하실 수 있어야 합니다.
즉 백제 멸망 직후 당나라 강점기입니다.
1.창녕비의 설립을 명하는 왕 -->신라 진흥왕이니 x
2.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간행하는 승려 -->통일후 8세기 신라니까 x
3.정사암 회의를 통해 왕을 압박하는 상좌평 -->망한 나라에 왕과 귀족이 있겠습니까.. x
4.거문고를 연주하여 흥을 돋우는 악공 -->O. 고구려 왕산악이 거문고를 만들었습니다.
5.사굴산문의 개창을 축하하는 지방민 -->X 신라 하대에 선종이 처음 생겼슨비다. 사굴산문은 선종의 한 파입니다,
2.
“석가모니의 도는 선(禪)·교(敎)로 둘 뿐이었는데,
그 뒤에 파벌이 나뉘어져 7종이 되었습니다. 본래의 가르침이 왜곡되고 거짓을 이어받아
점점 더 말단이 갈라졌습니다...(중략)... 또한 절을 비워두고 거처하는 자가 없으므로
절들이 점점 무너지고 허물어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조계·천태·총남 3종을 합쳐서
선종으로, 화엄·자은·중신·시흥 4종을 합쳐서 교종으로 하며,
서울과 지방에 중들이 지낼 만한 곳을 가려서 36개소의 절만을 두어,
양종에 분속시킬 것입니다.....(중략)..."라고 하니,
왕이 그대로 따랐다.
-->국사 교과서에 보면 세종이 36개의 절만 남기고 교종 선종을 통합했다고 나옵니다. 그 제시문입니다.
★갑: 4군 6진의 개척을 기리기 위해 야연사준도가 그려졌어. -->X 조선후기 그림인데 낚시로 나올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을: 신경준이 '훈민정음운해'를 집필하여 훈민정음의 연구를 심화시켰어. -->X 이름이 훈민정음이라 역시 교란에 걸리기 쉽죠?
이거 조선후기 책입니다. 2011 수능 기출 선택지입니다.!!!
병: 당시의 군대에서는 거북선과 비거도선을 볼 수 있었을거야. -->O 태종 때 만들어졌으니까 세종때도 있겠죠
정: 토지의 비옥도와 해마다의 풍흉을 동시에 고려하는 조세 제도가 마련되었어. -->O 이게 바로 전분6등법, 연분9등법입니다.
정답 3(병,정)
3.
어느 날, 왕이 부인과 함께 행차하는데 미륵삼존이 못에서 나와 수레를 멈추고
경의를 표하였다. 왕비가 "이 곳에 큰 절을 세우는 것이 제 간곡한 소원입니다."
라고 말하였다. 왕이 허락하여 못을 메워 평지를 만들게 한 후,
미륵법상 세 개와 회전, 탑, 낭무를 각각 세 곳에 세워 절을 만들게 하였다.
-->우리 교과서에 나온 탑 중에서 '탑'이 3곳이며 미륵사상과 관련된 곳은? 미륵사입니다.
고로 미륵사지 석탑(익산)
1.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된 고인돌 유적지가 있다. -->강화/고창/화순 (x)
2.현존 최고(最古)의 주심포 양식의 건물이 자리잡고 있다.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X)
3.사람이 많이 다니는 길목에 지역색이 잘 드러난 미륵보살 입상이 세워졌다. -->논산 관촉사 미륵보살 입상 (X)
4.제주도 4.3사건의 진압 출동 명령에 반발하여 군인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여수 순천 사건
5.박정희 대통령 때 수출 자유 지역이 설치되었다. -->(O) 익산, 마산입니다.
파리날다님 안녕하세요.. 재수 초반에 눈팅으로 많이 뵈었었는데 오랜만이시네요. ^^
일전에 ebs 공부의 왕도 나오신다고 하셨던 것 같은데 언제 즈음에 나오나요?
연락이 없네요 파토난듯 ㅋㅋㅋㅋ
헐.... ㅜㅜ 저 파리날다님 꺼 보고 싶었었는데... 그래서 가끔 공부의 왕도 가서 올라왔나 확인하곤 했는데...ebs 개객끼들 ㅜㅜ
1번은 2번 2번은 3번이요
1번 문제는 백제사람들 통일후 통합하는거? 같구
2번은 세종 때 이야기에요
야연사준도는 김종서였나 개가 쓴건데 세종시기는 아니여서 제외!
그래서 병정
1.
백제는 원래 5부 37군, 200성 76만호였는데, 이때에 이르러
마한(馬韓), 동명(東明), 금련(金蓮), 덕안(德安), 웅진(熊津) 등
다섯 지역으로 나눈 후 우두머리[渠長]를 뽑아 도독과 자사로 삼아
다스리게 하였다. 낭장 유인원에게 도성을 지키도록 명령하였다.
백제에 방령이 아닌 도독을 보내네요. 그것도 '웅진'에 보내죠?
웅진도독부를 연상하실 수 있어야 합니다.
즉 백제 멸망 직후 당나라 강점기입니다.
1.창녕비의 설립을 명하는 왕 -->신라 진흥왕이니 x
2.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간행하는 승려 -->통일후 8세기 신라니까 x
3.정사암 회의를 통해 왕을 압박하는 상좌평 -->망한 나라에 왕과 귀족이 있겠습니까.. x
4.거문고를 연주하여 흥을 돋우는 악공 -->O. 고구려 왕산악이 거문고를 만들었습니다.
5.사굴산문의 개창을 축하하는 지방민 -->X 신라 하대에 선종이 처음 생겼슨비다. 사굴산문은 선종의 한 파입니다,
2.
“석가모니의 도는 선(禪)·교(敎)로 둘 뿐이었는데,
그 뒤에 파벌이 나뉘어져 7종이 되었습니다. 본래의 가르침이 왜곡되고 거짓을 이어받아
점점 더 말단이 갈라졌습니다...(중략)... 또한 절을 비워두고 거처하는 자가 없으므로
절들이 점점 무너지고 허물어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조계·천태·총남 3종을 합쳐서
선종으로, 화엄·자은·중신·시흥 4종을 합쳐서 교종으로 하며,
서울과 지방에 중들이 지낼 만한 곳을 가려서 36개소의 절만을 두어,
양종에 분속시킬 것입니다.....(중략)..."라고 하니,
왕이 그대로 따랐다.
-->국사 교과서에 보면 세종이 36개의 절만 남기고 교종 선종을 통합했다고 나옵니다. 그 제시문입니다.
★갑: 4군 6진의 개척을 기리기 위해 야연사준도가 그려졌어. -->X 조선후기 그림인데 낚시로 나올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을: 신경준이 '훈민정음운해'를 집필하여 훈민정음의 연구를 심화시켰어. -->X 이름이 훈민정음이라 역시 교란에 걸리기 쉽죠?
이거 조선후기 책입니다. 2011 수능 기출 선택지입니다.!!!
병: 당시의 군대에서는 거북선과 비거도선을 볼 수 있었을거야. -->O 태종 때 만들어졌으니까 세종때도 있겠죠
정: 토지의 비옥도와 해마다의 풍흉을 동시에 고려하는 조세 제도가 마련되었어. -->O 이게 바로 전분6등법, 연분9등법입니다.
정답 3(병,정)
3.
어느 날, 왕이 부인과 함께 행차하는데 미륵삼존이 못에서 나와 수레를 멈추고
경의를 표하였다. 왕비가 "이 곳에 큰 절을 세우는 것이 제 간곡한 소원입니다."
라고 말하였다. 왕이 허락하여 못을 메워 평지를 만들게 한 후,
미륵법상 세 개와 회전, 탑, 낭무를 각각 세 곳에 세워 절을 만들게 하였다.
-->우리 교과서에 나온 탑 중에서 '탑'이 3곳이며 미륵사상과 관련된 곳은? 미륵사입니다.
고로 미륵사지 석탑(익산)
1.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된 고인돌 유적지가 있다. -->강화/고창/화순 (x)
2.현존 최고(最古)의 주심포 양식의 건물이 자리잡고 있다.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X)
3.사람이 많이 다니는 길목에 지역색이 잘 드러난 미륵보살 입상이 세워졌다. -->논산 관촉사 미륵보살 입상 (X)
4.제주도 4.3사건의 진압 출동 명령에 반발하여 군인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여수 순천 사건
5.박정희 대통령 때 수출 자유 지역이 설치되었다. -->(O) 익산, 마산입니다.
1번은 ...도독 어쩌구 하는 거 보니 웅진도독부?ㅠㅠ 요런 거?ㅋㅋㅋㅋㅋ아닌가요? 하여튼 4번이요 거문고!
2번은 세종을 말하는 거 같은데...갑병정 일 거 같았는데 보기에 없네요 ㅠㅠ 뭐가 문제지...일단 시험장이었으면 3번 찍었을 듯!
3번은 익산 미륵사지 석탑이 있는 곳인가요? 익산이면 5번이요. 수출 자유 ㅋㅋㅋ 근대사 무지 약한데 맞으면 좋겠네요....수능 국사땐 이 정도론 안 나오면 좋겠어요 ㅠㅠ
1.
백제는 원래 5부 37군, 200성 76만호였는데, 이때에 이르러
마한(馬韓), 동명(東明), 금련(金蓮), 덕안(德安), 웅진(熊津) 등
다섯 지역으로 나눈 후 우두머리[渠長]를 뽑아 도독과 자사로 삼아
다스리게 하였다. 낭장 유인원에게 도성을 지키도록 명령하였다.
백제에 방령이 아닌 도독을 보내네요. 그것도 '웅진'에 보내죠?
웅진도독부를 연상하실 수 있어야 합니다.
즉 백제 멸망 직후 당나라 강점기입니다.
1.창녕비의 설립을 명하는 왕 -->신라 진흥왕이니 x
2.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간행하는 승려 -->통일후 8세기 신라니까 x
3.정사암 회의를 통해 왕을 압박하는 상좌평 -->망한 나라에 왕과 귀족이 있겠습니까.. x
4.거문고를 연주하여 흥을 돋우는 악공 -->O. 고구려 왕산악이 거문고를 만들었습니다.
5.사굴산문의 개창을 축하하는 지방민 -->X 신라 하대에 선종이 처음 생겼슨비다. 사굴산문은 선종의 한 파입니다,
2.
“석가모니의 도는 선(禪)·교(敎)로 둘 뿐이었는데,
그 뒤에 파벌이 나뉘어져 7종이 되었습니다. 본래의 가르침이 왜곡되고 거짓을 이어받아
점점 더 말단이 갈라졌습니다...(중략)... 또한 절을 비워두고 거처하는 자가 없으므로
절들이 점점 무너지고 허물어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조계·천태·총남 3종을 합쳐서
선종으로, 화엄·자은·중신·시흥 4종을 합쳐서 교종으로 하며,
서울과 지방에 중들이 지낼 만한 곳을 가려서 36개소의 절만을 두어,
양종에 분속시킬 것입니다.....(중략)..."라고 하니,
왕이 그대로 따랐다.
-->국사 교과서에 보면 세종이 36개의 절만 남기고 교종 선종을 통합했다고 나옵니다. 그 제시문입니다.
★갑: 4군 6진의 개척을 기리기 위해 야연사준도가 그려졌어. -->X 조선후기 그림인데 낚시로 나올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을: 신경준이 '훈민정음운해'를 집필하여 훈민정음의 연구를 심화시켰어. -->X 이름이 훈민정음이라 역시 교란에 걸리기 쉽죠?
이거 조선후기 책입니다. 2011 수능 기출 선택지입니다.!!!
병: 당시의 군대에서는 거북선과 비거도선을 볼 수 있었을거야. -->O 태종 때 만들어졌으니까 세종때도 있겠죠
정: 토지의 비옥도와 해마다의 풍흉을 동시에 고려하는 조세 제도가 마련되었어. -->O 이게 바로 전분6등법, 연분9등법입니다.
정답 3(병,정)
3.
어느 날, 왕이 부인과 함께 행차하는데 미륵삼존이 못에서 나와 수레를 멈추고
경의를 표하였다. 왕비가 "이 곳에 큰 절을 세우는 것이 제 간곡한 소원입니다."
라고 말하였다. 왕이 허락하여 못을 메워 평지를 만들게 한 후,
미륵법상 세 개와 회전, 탑, 낭무를 각각 세 곳에 세워 절을 만들게 하였다.
-->우리 교과서에 나온 탑 중에서 '탑'이 3곳이며 미륵사상과 관련된 곳은? 미륵사입니다.
고로 미륵사지 석탑(익산)
1.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된 고인돌 유적지가 있다. -->강화/고창/화순 (x)
2.현존 최고(最古)의 주심포 양식의 건물이 자리잡고 있다.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X)
3.사람이 많이 다니는 길목에 지역색이 잘 드러난 미륵보살 입상이 세워졌다. -->논산 관촉사 미륵보살 입상 (X)
4.제주도 4.3사건의 진압 출동 명령에 반발하여 군인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여수 순천 사건
5.박정희 대통령 때 수출 자유 지역이 설치되었다. -->(O) 익산, 마산입니다.
5 1 5
라고 생각했는데ㅠㅠ 다 좀 헷갈리네요;
1번은 아예 햇갈리구ㅠㅠ -도독이라고 해서 웅진도독부를 생각하긴햇는데
ㅠㅠ그보단 중앙집권에 더 가까운 것 같기도 하고.. 잘 모르겠어요
2번은 세종 때 말하는 것 같구
3번은 미륵사 말하는거 맞나요?-?미륵이랑 세개의 탑이라는 데서
추측했는데; 익산이라고 생각하고 선지를 보니까
1-4는 아닌것 같고 5번만 어딘지 모르겠어섴ㅋㅋ
5번으로 찍엇네얌 ㅠ-ㅠ 문제 감사해용
그리구 개인적으로 수필 꼭 써주셧으면 좋겠어요!!
저 농경제 아니면 식자경에 관심많은디ㅠㅠ 공부하신거
궁금하기두 하구요 ㅠㅠ 감사해요~
2번은 글쎄... 언어학 연구하는 책이 조선 후기 이후밖에 없어서 ;; 3등급 위로는 별로 안 낚이지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