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보,조작,실수에 따른 입결의 상승 하락은 ?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7159661
입결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이유들이 있습니다.
학과 선택의 변화는
사회 변화에 따른 선호도 변화가 제일 큰 것 같고,
학교의 변화는
각 학교 재단의 대내외적인 상황 변화
(재단 변경이나, 재단에서 학교에 미치는 변화,
예를 들어 재단 전입금이 대폭 증가된다든 지 우수 신입생유치를 위해 새로운 안을 내놓는다든지)
가 영향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이것 또한 제비 한 마리 온다고 봄이 바로 온다고 말할 수 없듯이
몇 년에 걸쳐 입결의 변화가 누적되어야 그것이 변화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과거 이야기부터 조금 하겠습니다.
90년대 중반인가 정확한 연도는 기억이 안 나지만,
수능초기였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대학을 가려면 종이 배치표에 의지하던 시절이였고,
각 학교의 전형방법도 지금처럼 다른 것이 아니라
수능점수로 그냥 가기 때문에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전형을 했습니다.
여러 업체에서 배치자료를 냈지만
중앙교육, 대성 그리고 종로, 3군데 것을 많이 봤고
배치표 자체로는 중앙교육을 제일 많이 참조하고 보던 때입니다.
그런데 그 업체에서 그해 배치표안에
중앙대안에서 일문학과를 엄청 낮게 잡아놨습니다.
어문학이 그렇게 인기 없던 시기도 아니었는데
오기(誤記)인지 실수인지는 모르겠지만 타 업체와는 다르게 해놨습니다.
보통의 경우 그 당시 중대문과는 신방, 언론홍보 뒤에 상경대였는데,
일문학과가 커트라인 탑근처에 오르는 결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자신의 점수와 배치표가 차이가 나니
편안한 마음에 하향 안전 지원한 수험생이 많았겠지요.
한 가지 옛날 이야기를 더 해 보겠습니다.
이건은 학교를 밝히기가 조금 그렇습니다.
80년대 중후반이야기입니다.
대학교에서 부터 입결을 높이고 싶은 적극적인 대학이 있었습니다.
조금씩 입결은 올랐던 것 같은데
수험생이 참고하는 배치표상에는 변화가 없었던 것입니다.
결국 총학도 합세해서 그 업체 앞에 가서 시위를 합니다.
우리학교의 변화를 바로 잡아 달라고.
학생회까지 나선 이런 시위는 본적이 없어서 아직도 기억에 생생합니다.
결국 학교에서 로비를 했는 지 시위가 먹혔는지 모르겠지만
배치표에 변화가 왔고, 그 해 결과는 폭락했습니다.
예년에 비해 상당히 높게 잡혀진 그 학교를
수험생들이 겁이나서 원서를 쓰기를 주저했고,
같은 점수면 더 인식이 좋은 학교도 있으니
그 학교를 갈 이유가 없던 거지요.
지금 그 대학을 보면 옛날만큼 공격적인 홍보는 자제하는 것 같습니다.
올해의 경우도 그렇습니다.
생각보다 높게 잡혀있는 학과들은
원래 적정입결보다 떨어지는 폭이 컸고,
사회의 변화를 반영 못하고 낮게 잡혀 있는 학과들은 적정입결보다 더 많이 올랐습니다.
이거 매년 반복되는 현상이고 정시원서를 넣을 때 한가지 TIP이 되기도 합니다.
나중에 정시철에 이것을 원서 접수시에도
실제로 활용할수 있도록 다시 언급하기로 하겠습니다.
자기 학교를 좋아하는 마음은
누구에게나 있습니다.
내가 소속된 집단을 빛나보이게 하고 싶은 생각은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게 실제로 학교의 입결 변화로 이어질지는 생각해 봐야 합니다.
흔히 우스갯소리로
주문처럼 외우는 서연고 서성한 중...이 바꾸어 놨다고 하지만
제가 생각한 바로는 다른 면들이 있습니다.
서강대의 경우
국내재단에서는 하는 것이 없다고해도,
가톨릭안의 예수회 소속 대학들 Notre Dame대학, Boston College 등과 같이,
세계 예수회가 교육을 중요시 여겨서 자신들이 설립한 대학들은 각 나라에서 일정수준이상의 대학을 목표로 합니다.
7,80년대 한국에서 미 유학 시, 미국에서 개도국 대학의 학력을 인정 안해서
대학졸업수준이 맞는지 시험을 보게 했을 때,
한국에서는 서울대와 서강대만 대졸을 인정해서 그 시험을 면제한적도 있습니다.
국내에 있는 서강대 재단은 노력 없이 먹고 들어가는 셈이 되는거지요.
성균관대의 경우도
80년대 투자안하는 재단 대신에
삼성이 재단을 하려고 했을 때 그 당시 극렬하게 학생들이 반대 시위를 한 적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삼성으로 재단의 바뀜이
지금은 삼성이라는 재단의 그 후광효과를 누리고 있는 겁니다.
삼성이라는 든든한 그림자는 누구도 부정하지 못할것입니다.
한양대의 경우도
재단에서 이과에 비해 이미지가 낮은
문과의 집중투자를 해서
(이 투자라는 게 3-4년 해서 학교의 이미지가 바뀌는 것이 아닙니다)
몇 십년에 걸쳐 문과의 수준이 올랐다고 할 수 있습니다.
법대를 성대와 비슷한 수준으로 꾸준히 유지한것 자체가 얼마나 대학에서
신경썼는지의 증거가 됩니다.
중앙대의 경우도
80년대 재단이 재일교포에 사기를 당하는 수모도 겪고 해서
그 이후에도 다른 재일 교포에게 재단이 또 사기를 당한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 사건들 이후로 중대의 이미지의 반전은 정말 어려워보였지만
두산으로 재단이 바뀌면서
학교를 적극적으로 완전 변화시키면서
(경쟁력 없다고 민속학과 등을 폐과 시키는 것을 개인적으로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지금의 입결(이미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외대의 경우
개도국이 처한 특수성 때문에 외국어의 중요성으로
과거에는 학교에서 아무것도 안해도
지금보다 입결이 엄청 높았던 거였습니다.
아이러니 하게도 외대의 입결이 높았던 그 외국어의 중요성 때문에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외국어를 잘하게 되어서
굳이 외대를 진학하는 메리트가 없어져서 옛날보다 입결 하락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제대로 된 학교 측의 투자가 있으면 옛날 상태를 유지 못해도
최소한 지금 상태로까지는 되지 않았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과거에 비해 입결이 낮아진 대학들은 대부분
재단에서 처음계획가 다르게 투자를 줄이든
재단에 문제가 생겨서
제대로 된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입결 하락 아웃풋 하락 다시 입결 하락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애교심 많은 애과심 많은,
특히 훌리들에게하고 싶은 이야기는 이렇습니다.
여러분이 홍보하는 입결자료가 맞는지 조작인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 매수해서
가장 공신력 있고 대다수가 보는 배치표를 조작해서
고려대와 서울대가 같은 위치에 있다고 합시다.
다른 변화가 없는데 그렇게 되어있으면
그해 고대는 완전 빵구의 입결을 보게 될 것입니다.
거꾸로 조작인든 실수든
연대가 배치표상 서성한같은 위치에 있다고 합시다.
이 배치표도 공식력있는 곳이고 다수가 보며 하지만
외부의 변화는 전혀 없다고 합시다.
그럼 같은 값이면 연대를 쓰기 때문에 연대의 그해 입결의 폭이 날것입니다.
일년
입결이 올랐다고
반대로 한해 떨어졌다고 학교나 학과의 위치가 변했다고 하기 어렵습니다.
학교 측 재단 측의 마음이 바뀌어서
전교생 장학금, 상위 30프로 유학이든
획기적인 변화가 없으면 1-2년 사이에 큰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학교의 변화는 10년이상 볼 장기적인 프로젝트입니다.
학과 또한 특정과를 나오면 정부에서 100프로 취업보장 이런 것이 아니라면
그냥 사회 현상에 따라 변하는 것입니다.
잘못 해석된, 심하면 조작까지 해서, 좋게 말해서 1년 우연히 입결이 높아진 자료가지고
학교를 홍보해서 우연히 모든 사람들이 그것을 믿게 되아도
수험생입장에서는 생각해도
사회적변화는 물론 학교적 변화도 없는데
같은 값이면
그 대학이 생각보다 너무 높아서
더 선호도 있는 대학을 가기 때문에
후배들은 유례에 없는 대빵난 입학생들로 채워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늘 입시는 그래 왔고 앞으로도 그렇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자신이 아끼는 학교나 학과의 정보를 조작하고
유리한 자료만 해석해서 홍보하십시오
사회적변화와 학교의 변화는 전혀없는데 .
한해 우연히 학교의 입결이 오르면 그것을 과장 홍보하십시오.
그리고
열심히 노력해서 꼭 모든 사람들이 그것을 믿게 하십시오.
그러면 자신이 좋아하고 홍보한 학교가
사상 유례없이 멍청한 후배들로 꽉 채워진 강의실을 보게 될 것입니다.
곧 장마철이 옵니다.
모든 수험생의 슬럼프도 장맛비가 모두 가지고 내려 가길 바라며
모든 수험생의 노력을 응원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휴학할 동안 0
인터넷 커뮤니티 말고 다른 취미를 가져보고 싶군 커뮤를 주제로 한 작품을 재미삼아 만들어볼까
-
아 진짜 팀운 1
하 진짜 개화나네
-
고인 과목은 특정 선생님을 듣지 않으면 불리한 경우가 많음 Ex) 화학1 김준...
-
왤케 재밌냐 이거
-
[고려대학교 25학번 합격]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25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고려대 25학번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클루x노크 오픈채팅방을 소개합니다. 24학번...
-
흠
-
무슨 낙으로 살지
-
둘다 문학특강 기준이고 커리 변경을 안좋아해서 그냥 강은양 들을까 하는데 김재훈은...
-
지금까지 부경으로 알고 있었는데 전도 끼워주는 곳 많네 님들은 어케 보심?
-
넵
-
사탐런 고민 0
한의대 >> 치대 >> 수의대 순으로 희망하는 학생입니다. 2024학년도 수능...
-
중학수학 0
중학수학 다시 해야할 거 같은데 서점에 중학수학 총정리가 좋음 아니면 50일이 좋음?
-
이제 진짜 끝 2
아 과외 재밌네 역시 과외는 탐구지
-
현역 수능에서 이 성적 받고 대학은 가야겠다 생각하고 재수해서 대학 다니다가 너무...
-
1일1? 1
머하지
-
아 ㅈㄴ 귀찮다 애니 ost 들으면서 해야지
-
메일로 오르비에 문의 넣어보니까 게시글 링크 하나하나 보내야 삭제시켜준다는 거 같은데 맞나요..?ㅠ
-
근데 재수때 이러다가 대학못갈뻔해서 겨우 교차지원해서 대학옴;
-
어차피 공부 안 할건데 누워서 또 폰만쳐보다가 자는 것보다야 낫겠지 뭐
-
1.최적T가 사문정법 둘다 하니까 최적T로듣기 2.사문 윤성훈T 정법 최적T듣기
-
드릴드 현우진 0
책에 자기 얼굴 있는지 몰랐던 학생들을 위해 친절하게 말해주는 현우진희...❤️...
-
"야당 대표 노려본 게 탄핵사유 맞나?" 재판관 질문에…국회 측 "국회 무시 정황" 1
박성재 법무부 장관에 대한 탄핵소추를 의결한 국회 측은 박 장관이 야당 대표를...
-
무등비 시발 3
개좆같다 진짜 230428 이거 왜 비율이 안 찾아져
-
집 잠깐 들러서 패딩으로 갈아입고 바로 치과 가야해요 걍 누워서 자고싶다...
-
감만 잡는용으로 조정식모고로 해봄 악필 ㅈㅅ합니다 나볼려고 대충썼는데 사진이라도...
-
오늘 여러가지유전 올라오는날인데
-
자격증 궁금한거 있나요 26
컴활1급, 2급 비서 1급 회계관리 1급 항공교통안전관리자 철도교통안전관리자...
-
뭐가 문제임?..........
-
무슨 일 안 생기나
-
작수 74점으로 3등급 나왔는데(듣기는 다 맞음) 단어장좀 추천해주세요 션티...
-
남자는 군대 갈것같고 여자는 과외 뛰나요 그럼
-
현여기입니다 작년엔 고2 수학 항상 2떴어염 지금은 수학 ㅈㄴ게까먹었고 미적분은...
-
워크북을 풀까요 기생집4점을 풀까요??? 3월 7일쯤 부터 시작하려하는데 이제 파데...
-
책 입고되면 알려달라니깐 갑자기 냅다 번호를 물어보더라구요,, 얼탱없어서 알려주긴...
-
공군은 이미 늦었고 해군 수송, 항공, 화생방 1종면허 있으면 육군 운전 아니면...
-
인강 아는내용도 다 들음? 특히 지구같은거
-
3월부터 커리가 어떻게 되나요? 예전엔 듄탁해랑 그릿이였는데 그릿이 뒤로 밀린걸로...
-
체력 너무 쓰레긴데 10
원래도 알았지만 새터가서 많이느낌 내가 가장 많이잤는데 내가 가장 피곤하고 1일차엔...
-
프변완 12
프사만보면ㅈㄴ육수흐를거같은 사람같네
-
후후후 2
28렙풀콤은 쉽다
-
내 품에 안겨와 오랫동안 그랬듯
-
삼겹살 두줄 비빔면 1개 맥주 1000cc 엑설런트 2개 5
놀랍게도 방금 30분동안 처먹은것.
-
교수님이랑 단둘이 수업 ㄷㄷ
-
오늘부터 0
오르비를 '입시커뮤니티'로만 활용한다.
-
07현여기임 문제푸는데50년정도걸림 영어지문 하르예 딱 8개만 풀고 분석하려는데...
-
어카지 6
수업하다 학생 사라짐 카톡에 1이 안사라진다
-
배달을 시켜먹으면 오르비에 치킨한마리를 쏘겠습니다.
-
드릴 해설 1
드릴 인강 꼭 봐야함? ㅈㄴ 오래걸리는데
-
할수있어:)
통찰력에 박수치고 좋아요누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소설 읽듯 술술 읽히네요:) 좋아요 누르고 가요전문글도 아닌데 슬슬 읽히는게 정상일겁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정말 좋은 글 읽고 갑니다좋은 결과 있기를 바랍니다.
훌리짓을 하면 역효과가 일어난다는 말씀이시군요
훌리짓이 먹히지도 않지만 먹히는 순간은 더 위험합니다.
역시... 한강추
감사합니다.
정말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정시 전에 배치표 에 높게 된 거랑 낮게 된 거 분석하는 법 꼭 알려주세요. 염치 없지만.....
정시 원서넣을"때 중요한 한가지 팁임에는 분명합니다.원서넣기전에 글쓸 기회가 있을겁니다.
ㅎㄱㅊ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랍니다.
학생회까지 나서서 배치표 시위한 대학이 어디인지 찾아보니 한양대네요.
뒤에 또 있었나 보네요.전 80년대 다른 학교 이야기입니다. 중앙교육(지금 유웨이)앞에서 시위했였죠.
총학까지 나설 문제는 아닌것 같은데
‘성균관대 총학생회에서도 곧 대성학원 측에 이의제기를 할 것으로 안다’ 성대 총학도 불만은 있었나보네요 입학처가 확전을 막은듯ㅎ
이런 식으로 역효과가 일어나니 신기하네요
의도했건 안했건 원서넣는 수험생들의 심리를 모르는거죠.
그러면 요즘 같은 상황에서 문과는 외대 갈 성적일시 다른 비슷한 대학교 가는게 이득이라는 말씀이신가요??
지금 외대 점수면 외대가 메리트가 있습니다.저글은 과거에 지금보다 많이 높았을때 이야기입니다.
글이랑은 상관없는 내용인데 자소서 쓰다가 상담받을때랑 인터넷이랑 말이 달라서 여쭤봅니다... 2번항목 활동 3개 쓰는게 좋을까요? 아님 하나하나 깊게 쓸수 있게 2개가 좋을까요?
깊이 없이 내용만 나열하는것은 전혀 도움이되지 않습니다.3개의 내용이 다 알차기는 어렵습니다.활동보다는 역량(어떻게 해낼수 있는지)와 1개 사항정도는 교과와 연결지울수 있으면 좋습니다. 2개를 추천합니다.
외대는 선호도보다는 지금 입학처 정책이 문제가 많은거같아요
분명 다군으로 옮기던지 하면 살아날 방법이 있는데 그 방법을 왜 안쓰는지 제 3자가 보기에도 너무 답답합니다.
세인트님 말이 맞는것 같습니다.입결을 올릴수 잇는 최소한의 머리도 잘 안쓰는 것 같은 느낌.
저도 저 방법으로 빵꾸나는 곳을 몇군데 골라서 합격한 경우인데 매우 유용한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글을 보니 악질훌리와 자료조작이 판치는 모 대학이 생각납니다
특이하게 되어있는것 잘 찾으면 보석을 찾을수 있죠.
쭉 지켜 보면 인위적인 입결 상승을 위한 특정 대학들 훌리들의 온갖 타학교 허위비방이나 편파나 부분확대된 자료들로 자기학교에 대한 과도한 세뇌성 홍보 행위 등의 저열한 획책들이 단기적으록 반짝 넷상에선 효과를 보이고 그로인해 그 훌리들 자신들이 승리감과 그 성취감에 고취되서 더 훌리짓에 열을 올리는 악순환의 연속이 일어나죠.
그러나 좀 더 장기적 시점에서 보면 그런 짓하는 학교들 지금 죄다 되려 답보내지는 퇴보하는 추세를 보이고 되려 아래라 여겼던 학교들에 다 따라잡히는 형국이 일어나고 있죠. 원래 주식도 그렇고 입시도 실제 내부의 획기적인 변화와 혁신없이 그냥 인위적으로 편법으로 조작해 보려다가 골로가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보이지 않는 손'의 위력은 굉장히 무서운 겁니다
입결표 조작훌짓하는 왕십리 공대훌리 유명하죠
한양대는 졸업한 아재들도 오르비에 훌리로 활동하더라구요 놀랐음
어디서 돈받나...
댓글고맙습니다.훌리짓이 결코 목표한대로 되지않는다는 의견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한대의 훌리보고 쓴글은 아닌데,,,
만약 한양대가 심하게 한다면 한대는 좋은 학교인데 왜 하는지.
결코 좋은 결과로 이어지지 않을텐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