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과생들 그만 괴롭히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6282053
우선 난 수학 과학이 싫어서 문과간 케이스도 아니고 어쩔수없이왔는데 이과생들이 항상 부러움. 그렇게 이과좋으면 가던가? 에 대한 질문의 답변은 항상 어쩔수없는 상황이여서...
내 입장은 문과생들도 미적2 기벡가르치면 이과생들보다 잘하는 애들이 분명존재할텐데 왜 문과생들을 욕하는지...
이러다간 혐오현상이 문이과 사이에도 생길듯.
아, 몇명은 이미 혐오할려나?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 1등급 이상 실력자들에게 해당하는 얘깁니다. 그 아래는 곱게 기출+EBS...
-
저도 김종익 강사 Q&A 보다가 찾은 거 하나 올려보죠.
-
이이는 이가 발하지 못한다고 본거 아닌가요???
-
레오폴드입장에서 ㄴ 선지가 왜틀린건가요? 생태계의 선을 우선시한거 아닌가요?
-
케인스는 계획 경제에 찬성하나요 반대하나요?? 해설볼때 어떤 부분은 찬성하고...
-
다수의 견해를 반영하지 않은 법에 대한 불복종->민주주의 의사 복원 다수의 견해를...
-
의식이 있는 생명체라도 항상 의도적으로 고유한 선을 추구하는 것은 아님 이 선지가...
-
생윤 1등급분들 3
지금 뭐하심? 전 잘잘잘 듣다가 너무 난잡하고 쓸모없는 것 같아서 드랍함 킬러...
-
장자가 옳고 그름은 없고.. 분별하는것은 안 좋고.. 그런식으로 말했자나여 그럼...
-
오류 있음/없음이 확실해서 ㅇㅇ 그러니 어서 윤리 버리고 물리를...
-
발표해야 하는데... 배아복제 동물실험 사형제 안락사 저작권 낙태 온라인그루밍 난민...
-
정수환 선생님 수업듣고 도움 많이 받았었는데 어디서 수업을 들을 수 있는지 전혀 알...
-
먼저 모든 수험생 여러분 정말 수고 많으셨습니다. 노력한 만큼의 성과가 있었기를...
-
라고 제목은 지었지만…… 사실 이건 고인물과 청정수를 가르는 테스트가 아니라...
-
스토아학파 vs. 스피노자 비교 분석 이상(理想) 도덕·윤리 연구소 소장 임재섭...
-
역시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는 게 쉽지 않습니다…… 교육 과정에 맞는 방식으로 표현하는...
-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6번 (정약용) 분석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0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6번 (정약용) 이상(理想) 도덕·윤리...
-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2번 (홉스, 로크, 루소) 분석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5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2번 (홉스, 로크, 루소) 이상(理想)...
-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1번 (에픽테토스, 스피노자) 분석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3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1번 (에픽테토스, 스피노자)...
-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5번 (아리스토텔레스, 아퀴나스) 분석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6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5번 (아리스토텔레스, 아퀴나스)...
-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4번 (맹자, 순자) 분석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3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4번 (맹자, 순자) 이상(理想)...
-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2번, 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7번 (하버마스, 슘페터) 분석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3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2번 (하버마스, 슘페터) 2022학년도...
-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번 (석가모니) 분석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1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번 (석가모니) 이상(理想) 도덕·윤리...
-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2022학년도 6·9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분석 칼럼 안내 3
2022학년도 6·9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분석 칼럼 안내 이상(理想) 도덕·윤리...
-
안녕하세요! EASY한 독도바다입니다. 오늘은 '매일 세계사 한 문제' 시리즈도...
-
임정환T 챌트 1회 도중 로크: 자연상태에서는 자연법 위반 행위에 대해 처벌할...
-
오르비에 올라온 2019 수능 윤사 8번문제 논란에 대한 글을 읽다가, 오르비의...
-
정수환t 윤사 강좌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꼭 봐주세요 ㅠㅠㅠ) 6
요번에 9평 셤지 어따 갖다버리고 47인줄 알았는데 성적표보니 한개 더틀려서...
-
9평 생윤 최고 오답률 문제인 환경윤리문제에서 많은 분들을 함정에 빠트렸던 그...
-
(빵떡)님의 생윤사 변형 자료 정오표 (생윤, 윤사) 7
(빵떡)님께서 계정 이용이 제한되어 있으신 관계로 배포하셨던 생윤, 윤사 변형...
-
생윤 공부하신 분들께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사과 먹는 곰입니다. 몇 달 전...
-
이렇게 오개념 논란에 자주 휩싸이고 나름 안티도 엄청 많은 것 같은데 도대체 무슨...
-
6번 이황 이이 다이어그램 문제에서 이황만 되는거에 이는 운동하고 변하하는 기의...
-
오늘 대성모의고사 생윤 문제... 생윤 고수님들 도와주세요ㅠ 12
오늘 본 대성 모의고사 생윤 10번 문제가 잘 이해가 안가는데요.. 니부어의...
-
기출 문제 중에서 14년도 예비시행 6번 문제인데요 이 문제해설에서 "모든 쾌락은...
-
안녕하세요 대학교에서 서술형으로 시험 문제가 나온다고 하여 고민하다가 어떻게...
-
니부어 : 도덕적으로 용인되지 않는 비합리적 수단 사용 가능? (X)도덕적 개인들이...
-
이현 선생님 0
강의 안 하시나요? 윤리 참 잘 가르쳐 주셨는데 이제 안 하시는 것 같네요 ㅠㅠ
-
급해서 여기에 질문 올립니다. 윤리와 사상 기출문제 관련 질문입니다. (문제사진 첨부) 3
1) 14년도 수능 기출문제 15번에서 을은 도가라고 생각하는데, 도가의 입장에서...
-
윤사 잘하시는분!! 12
인간만이 본연지성을 선천적으로 지니고 있다 이거 맹자주자양명 입장이요맹자 o 주자...
-
인간중심주의, 감정중심주의, 생명중심주의, 생태중심주의 공부하는 중인데요 도덕적...
-
11학년도 수능 12번 문제인데요..을 : 어떤 일을 접해서 희로애락하는 것은...
-
수험생이 소홀하게 넘어갈만한 부분과 오개념 생길만한 부분을 집요하게 파고드네요...
-
윤리는 무조건 이현 들었는데 올 핸 회사경영에 집중하시는지 강의를 안...
-
윤리와 사상, 생활과 윤리 모의고사 정답 및 해설입니다. 12
지난 11일 배포하였던, 윤사와 생윤 모의고사의 정답과 해설입니다. 윤리를 공부하는...
-
안녕하세요. 윤리를 가르치고 있는 교사입니다. 지난주, 6월 모평은 잘 치셨나요?...
-
예비고3입니다 겨울방학동안 사탐1개는개념떼놓자해서 3학년내신과목인 생윤사하려고생윤만...
-
O인가요? X인가요? 이이의 입장에서 '정은 하나이다'라는 구절이 있어서 말이죠
-
기출문제집 뭐가 제일 좋은가요?ㅠㅠ; 아니면 그냥 EBS만 하나요.윤사는 어느정도...
-
사탐 세계사가 그렇게 안좋나요? 그리고 질문좀요 ㅜ 7
개정수능 사탐 윤리랑 세계사 보려고하는데 둘다 재밌고 관심있어서 하는데요 윤리는...
맞아여ㅠㅠㅠㅠㅠ이미 입시에서 괴롭힘당한다구여 ㅜㅜ

정작 문이과 최상위권들은 자기 공부에 바쁘니 신경쓰지 맙시다저도 제친구만 그런지모르겠는데 이과1등하는애가 지는 그런거 없다네요
그럼요. 언제나 우수한 학생들은 다들 자기보다 뛰어난 사람이 어디엔가 있을 걸 알기 때문에 겸손하게 자기 개발합니다 ㅇㅇ
원래 약간 야트막한데서 어설프게 노는 사람들이 남들하고 비교하는데 혈안이 되어있죠
서로를 혐오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나, 이과생들이 더 어려운 공부 한다는 것도 인정해 줘야 하고, 입시도 문과 못지 않게 빡세다는 것도 인정해 줘야 할거 같네요. 최근 몇 년 사이에 이과 쏠림 경향이 심해져서, 고등학교 시절부터 상위권들의 이과 선호가 높아지거나, 문과에서 공부 좀 했던 학생들도 그 다음해 수능 응시할땐 이과로 넘어가는 케이스가 많은데, 대학 정원은 이과 쏠림 이전과 별 차이가 없으니 입시마저도 엄청 빡세진거 같네요. 작년 이과 입시 지켜본 입장에서 현 이과 입시 난이도는 전반적으로 봤을 땐 문과의 90% 수준까진 올라왔고, 가까운 시일 내에 입시 난이도도 동등해지거나 오히려 추월할 가능성도 있다고 봅니다.
네 저도 이과가 어려운거 인정하며, 항상 부러워한다고 본문에 언급했습니다. 더 높은 차원의 수학과 실생활에서 보다 유용한 과학탐구 때문에. 근데 이글은 무시하는 거를 하지말자는거지 이과를 인정해주자는 아니였습니다만..ㅎ
문과 vs 이과 논쟁에서 항상 언급되는게 '문과는 입시가 어렵고, 이과는 공부가 어렵다.'인데, 문과를 옹호하는 입장에선 5년 전마냥 입시 난이도가 이과랑 큰 격차가 있는 듯이 주장해서, 그때와 상황이 다른 입시에 직면한 이과분들이 발끈하며 논쟁이 개싸움으로 번지는 걸 봐서요. 님 글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이런 논쟁이 격화되는 이유에 대해 언급한 정도랄까..
전 입시난이도에 대해 문과가 더어렵다고 한적도없습니다만. 요즘 다들 어려워지는것은 맞습니다. 다들 힘들죠 뭐..ㅎㅎ 서로 배우는것가지고 누가 어렵네마네 하는것은 그만해야한다고생각합니다.
대댓글에도 언급드렸지만, 전 님 글을 비판할 의도는 없으며, 이 글에 국한된 것만이 아닙니다.
네 잘압니다! 다들 서로존중했으면 좋겠다는 취지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