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경제학과19학번 [781276] · MS 2017 (수정됨) · 쪽지

2018-02-13 14:28:09
조회수 725

과학이 진짜 어려운 학문인듯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6104720

수학은 논리적 체계가 머릿속이고,논리적 구조도 어느정도 잡혀(공리)있다고 생각하는데..(물론 ㅈㄴ말로 표현할수없을정도로 어려운 학문인건 팩트지만)

과학은 일단 화학만 놓고보면 물리를 떼고 얘기할수없고

과학을 하기위해서는 내가 뭘 모르는지 알아야되고..등등 고려할게 너무많음


지금 횡설수설하는건 물리없이 화2에서만 이해할려고 하니까 내 자신의 두뇌 자전에 대한 한계를 뼈저리게 느껴서 부들대느라..ㅎ ㅡㅎ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서울대학교경제학과19학번 · 781276 · 18/02/13 14:28 · MS 2017

    결론:화학이라는 학문은 사실상 물리의 부분집합이라고 생각..최소 화2는 ㅋㅋ

  • epi giman jaje jom · 705873 · 18/02/13 14:29 · MS 2016

    ㅋㅋ 그거 제대로 이해할려면 물리화학 들고와야됨

  • 서울대학교경제학과19학번 · 781276 · 18/02/13 14:30 · MS 2017

    제대로도 아니고 이해할려면..사실상 암기밖에 못함 저는

    도저히 암기밖에 못하겠음 이해했다고 생각해도 뒤돌아보면 이해한게 아님

    그리고 여담이지만 이론이 정립되지 않았던 옛날 학자들은 이런걸 다 해결했다는건데 내심 대단..

  • epi giman jaje jom · 705873 · 18/02/13 14:31 · MS 2016

    저도 걍 다 외우고 제멋대로 끼워맞추는중

  • epi giman jaje jom · 705873 · 18/02/13 14:31 · MS 2016

    아인슈타인도 수학없이 상대성이론 생각한 GOAT임.. ㄹㅇ

  • 서울대학교경제학과19학번 · 781276 · 18/02/13 14:33 · MS 2017

    진짜 제 자신에 대한 무력함 때문에 좌절하는중..나는 왜 내가 뭘 모르는지도 모를까..

    이래서 과학사를 배워야됨

  • epi giman jaje jom · 705873 · 18/02/13 14:34 · MS 2016

    전 그냥 병신임 할수있는게 아무것도 없음 ㄹㅇ

  • articaldo · 711166 · 18/02/19 01:14 · MS 2016

    지금 화2가 너무 물리쪽으로 치중되서 그렇게 보이는 듯 하네요.
    자세히 보면 물리랑 화학이 같은 이론을 다른 방향에서 접근하는것을 알 수는 있어요..
    그리고 유기화학이나 무기화학을 보면 그래도 화학 고유의 영역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고 하네요...

  • articaldo · 711166 · 18/02/19 01:24 · MS 2016

    구지 비유를 들자면 물리화학은 미적분학의 기본정리를 증명하는 쪽의 학문이고 유기, 무기는 그 증명을 신뢰하고 이용해서 다양하게 응용하는 부분이죠.
    본질적으로 따지고 들어간다면 화학도 물리의 부분집합이라 할 수는 있으나
    인류사에서 아프리카인과 동양인이 같은 조상에서 나왔으나 한민족이라 하지 않는 맥락으로 보면 될 것 같아요.

    이해 안되는 부분은 신뢰하고 넘어가는 것도 나쁘지는 않아요...

  • articaldo · 711166 · 18/02/19 01:57 · MS 2016

    약간의 도움을 준다면,
    기체분자운동론은 물2 참조하시면 되고요..
    엔탈피 부분은 등압과정이랑 헬름헬츠 자유에너지를 공부해두시면 좋아요. 더 알고 싶으시다면 열역학이랑 카르노,스털링 기관도 알아두시면 나쁘지 않아요.
    표준상태랑 비표준상태 꼭 구분하세요
    엔트로피는 워낙 심오한 부분이라서 수긍해야할 필요가 있어요. 구지 궁금하시다면 클라우지우스에 대해 알아보세요. 물2 열역학으로 표준 엔트로피랑 비표준 엔트로피에 대한 식도 만들어 볼 수 있어요
    자유에너지는 표준자유에너지와 비표준자유에너지를 구분하세요. 특히 표준자유에너지의 정의를 잘알아두시고요.(표준상태에서 1mol반응) 여기서 헷갈리면 답도 없어요
    둘을 구분하는 식이 있는데 dG=dG°+RTlnQ 알아두심 유용해요. 이 식을 증명할 수도 있는데 초보적인 증명은 물2 열역학으로도 가능합니다. 조금 더 고급단계의 증명은 퓨가시티를 쓴다던데 저도 그쪽은 잘 몰라요.


  • articaldo · 711166 · 18/02/19 02:19 · MS 2016

    평형은 그냥 f=ma처럼 편하게 받아들여요. 그게 맘편해요. 그리고 압력평형상수도 알아두세요.
    반트호프방정식도 알면 나름 편해요.(평형상수에 대한)
    상평형은 1성분계라는 점을 생각하면 편해요. 무슨말인지는 인터넷에 찾아보세요. 윤도영쌤 강의들으면 깨끗하게 이해되요. 그리고 재미로 클라우지우스-클라페롱 방정식도 찾아보세요ㅎㅎ
    핸리법칙도 그냥 그러려니하고 받아들이면 되요.
    산염기는 근사를 이용해서 조금 낮설수는 있는데 곧 나아질거에요. 여기선 다양성자산빼곤 그렇게 어려운건 없어요. 핸더슨-하셸바흐 방정식 유용합니다.
    전기화학은 약간 물리적인 지식이 필요하긴 해서 정 이해안가시면 물2 전자기 일부파트 공부하심 되요.
    여기선 전지들 모양 잘 보고 회로도 잘 보세요. 화2에서는 표준상태만 다뤄서 그리 복잡하진 않아요. 단지 비표준상태에 대해서는 네른스트식을 찾아보세요ㅎ
    반응속도론은 별 어려운건 없는데 조금 어렵게 공부하고 싶으시다면 적분속도식(반감기) 알아보시고 아레니우스식(속도상수)을 알아보세요. 꽤나 흥미로울거에요.다단계반응도 꽤 재밌으니 알아보시고요. 단지 조심해야하는게 화2반응속도는 비가역반응에서의 반응속도라는점을 알아야되요.
    효소에 대해서는 미카엘리스 멘텐 메커니즘 알아보세요. 일반화학책에서 자주소개되는 내용이라 하네요.

    이정도면 웬만한 궁금증은 채워질거에요ㅎ 제가 화2공부할 때 생겼던 의문들에 대해서 해결한 것들을 다 적어둔거에요. 저도 이 정도지식으로 일반화학에서 약간의 어드벤티지를 받았어요.
    열공해요ㅎㅎ

  • 서울대학교경제학과19학번 · 781276 · 18/02/20 02:07 · MS 2017

    걍 한마디로 ㄹㅇ 갓 이분이 ㄹㅇ 대단..

    굳이 길게 표현할려는 자체가 실례일만큼..

    너무나도 감사합니다..ㄹㅇ 항상 참고하며 공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