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 커리큘럼은 왜있는거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5751881
인강 커리같은거말고
일반적인 무언가를 배울때 커리큘럼은 왜있는거죠
어떤 학문을 처음접하고 내가 스스로 연구할때 과연 커리라는게 있을까요?
즉,학문의 본질적인 입장에서 본다면 단계별로 배우는게 진정 학문인가요?
라는 ( 말도안되는 ) 강박적 사고가 자꾸 머릿속에 맴도는데
교육학적으로,또는 정신의학이나 철학적으로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농어촌 서류 작성할 때 컴퓨터로 작성하고 뽑는 거야?? 0
나는 출력한 다음 손으로 썼는데...? 이렇게 해도 되는건가??
음... 수험은 학문탐구랑은 좀 다르니깐?
커리들은 베이스작업아닌가요?? 스스로 무언갈 하기위한
함수가 뭔지도 모르고 미적분을 배울수 없듯이
어떤 학문이든 선행단계가 필요하니 만든거 아닐까요
애초에 초중고대학도 커리잖아여
그니가 결국 사회적인 측면에서 선택한 일목요연한 작업..인가 뭔가 조금더 심층적인 설명이 듣고싶다..
선이수 과목을 들어야 그 다음 과목을 들을 수 있는 경우
예시로 약리학을 들자면
일반화학->유기화학->약리학
앞의 과목을 안 배우고 뒷 과목을 배우면 학습에 차질이 생길 경우 앞의 과목을 선이수 과목이라 하죠